[한국소설론] 김동인과 대동강 -`배따라기`, `눈을 겨우 뜰 때`, `대동강은 속삭인다` 를 중심

 1  [한국소설론] 김동인과 대동강 -`배따라기`, `눈을 겨우 뜰 때`, `대동강은 속삭인다` 를 중심-1
 2  [한국소설론] 김동인과 대동강 -`배따라기`, `눈을 겨우 뜰 때`, `대동강은 속삭인다` 를 중심-2
 3  [한국소설론] 김동인과 대동강 -`배따라기`, `눈을 겨우 뜰 때`, `대동강은 속삭인다` 를 중심-3
 4  [한국소설론] 김동인과 대동강 -`배따라기`, `눈을 겨우 뜰 때`, `대동강은 속삭인다` 를 중심-4
 5  [한국소설론] 김동인과 대동강 -`배따라기`, `눈을 겨우 뜰 때`, `대동강은 속삭인다` 를 중심-5
 6  [한국소설론] 김동인과 대동강 -`배따라기`, `눈을 겨우 뜰 때`, `대동강은 속삭인다` 를 중심-6
 7  [한국소설론] 김동인과 대동강 -`배따라기`, `눈을 겨우 뜰 때`, `대동강은 속삭인다` 를 중심-7
 8  [한국소설론] 김동인과 대동강 -`배따라기`, `눈을 겨우 뜰 때`, `대동강은 속삭인다` 를 중심-8
 9  [한국소설론] 김동인과 대동강 -`배따라기`, `눈을 겨우 뜰 때`, `대동강은 속삭인다` 를 중심-9
 10  [한국소설론] 김동인과 대동강 -`배따라기`, `눈을 겨우 뜰 때`, `대동강은 속삭인다` 를 중심-10
 11  [한국소설론] 김동인과 대동강 -`배따라기`, `눈을 겨우 뜰 때`, `대동강은 속삭인다` 를 중심-11
 12  [한국소설론] 김동인과 대동강 -`배따라기`, `눈을 겨우 뜰 때`, `대동강은 속삭인다` 를 중심-12
 13  [한국소설론] 김동인과 대동강 -`배따라기`, `눈을 겨우 뜰 때`, `대동강은 속삭인다` 를 중심-13
 14  [한국소설론] 김동인과 대동강 -`배따라기`, `눈을 겨우 뜰 때`, `대동강은 속삭인다` 를 중심-14
 15  [한국소설론] 김동인과 대동강 -`배따라기`, `눈을 겨우 뜰 때`, `대동강은 속삭인다` 를 중심-15
 16  [한국소설론] 김동인과 대동강 -`배따라기`, `눈을 겨우 뜰 때`, `대동강은 속삭인다` 를 중심-16
 17  [한국소설론] 김동인과 대동강 -`배따라기`, `눈을 겨우 뜰 때`, `대동강은 속삭인다` 를 중심-17
 18  [한국소설론] 김동인과 대동강 -`배따라기`, `눈을 겨우 뜰 때`, `대동강은 속삭인다` 를 중심-1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소설론] 김동인과 대동강 -`배따라기`, `눈을 겨우 뜰 때`, `대동강은 속삭인다` 를 중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며


2. 김동인의 생애


3. 김동인 작품의 틀
―김윤식, 을 토대로
3.1. 시점 A형식의 사상
3.2. 인형 조종술과 단순성의 논리


4. 대동강, 그 정서의 역사와 김동인의 대동강
4.1. 김윤식, 의 해석
4.2. ‘김동인과 대동강’ 에 대한 또다른 시선


5. 작품 속 대동강의 이미지
5.1. 대동강과 불놀이
5.2. 대동강과 기생
5.3. 축제의 공간으로서의 대동강


6. 형식은 곧 운명이다 : 김동인 문학의 시기상 구분
―역시 김윤식, 을 토대로


7. 결론
본문내용
김동인은 많은 작품을 통해 대동강과 평양의 특정한 이미지를 형성하고 있다. 작품의 분석을 통해 김동인에게 있어 대동강은 단순히 향수의 공간이 아니라 특정한 종류의 명상을 불러일으키는 존재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대동강을 통한 명상이 작품에 직접적으로 드러난 것 외에도 대동강의 사상이 내면화된 작품이 대다수인 것은 김동인에게 있어 소설의 공간이 갖는 의미가 대동강이라는 공간이 갖는 의미와 거의 일치한다는 것을 말해주고 있다. 대동강은 단순히 작품 내에서 이미지를 보여주는 것뿐만 아니라 작품의 형식으로서 고안한 것이다. 즉, 김동인의 예술세계의 핵심은 대동강의 사상과 감정이라는 결론에 도달하게 된다. 여기에서는 김동인의 작품 중 , 그리고 를 중심으로 김동인에 있어 대동강은 무엇인가와 그 유래와 또한 이러한 대동강의 사상과 감정이 어디로 귀결되었는지 김동인의 생애와 경험을 바탕으로 밝히고자 한다.
참고문헌
김동인, 「대동강은 속삭인다 」, 삼천리 54호, 1934.
김동인, 김동인 단편선『감자』, 문학과 지성사, 2004.
김윤식, 「김동인 문학의 세 가지 형식」,한국학보, 1985.
김윤식, 「김동인 연구」, 민음사, 1987.
강인숙, 「김동인-작가의 생애와 문학」, 건국대학교출판부.
신범순, 「주요한의 와 축제 속의 우울」.
이광린, 「평양과 기독교」, (http://user.chollian.net/~ikch0102/nm10-3.htm).
권영민 편, 『김동인문학연구』, 조선일보사, 19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