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학 - 인간의 이해, 사회문화적 영적 이해

 1  간호학 - 인간의 이해, 사회문화적 영적 이해-1
 2  간호학 - 인간의 이해, 사회문화적 영적 이해-2
 3  간호학 - 인간의 이해, 사회문화적 영적 이해-3
 4  간호학 - 인간의 이해, 사회문화적 영적 이해-4
 5  간호학 - 인간의 이해, 사회문화적 영적 이해-5
 6  간호학 - 인간의 이해, 사회문화적 영적 이해-6
 7  간호학 - 인간의 이해, 사회문화적 영적 이해-7
 8  간호학 - 인간의 이해, 사회문화적 영적 이해-8
 9  간호학 - 인간의 이해, 사회문화적 영적 이해-9
 10  간호학 - 인간의 이해, 사회문화적 영적 이해-10
 11  간호학 - 인간의 이해, 사회문화적 영적 이해-11
 12  간호학 - 인간의 이해, 사회문화적 영적 이해-12
 13  간호학 - 인간의 이해, 사회문화적 영적 이해-13
 14  간호학 - 인간의 이해, 사회문화적 영적 이해-14
 15  간호학 - 인간의 이해, 사회문화적 영적 이해-15
 16  간호학 - 인간의 이해, 사회문화적 영적 이해-16
 17  간호학 - 인간의 이해, 사회문화적 영적 이해-17
 18  간호학 - 인간의 이해, 사회문화적 영적 이해-18
 19  간호학 - 인간의 이해, 사회문화적 영적 이해-19
 20  간호학 - 인간의 이해, 사회문화적 영적 이해-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간호학 - 인간의 이해, 사회문화적 영적 이해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인간의 이해
: 사회문화적·영적 이해
< 차 례 >
Ⅰ. 서론
Ⅱ. 본론
1. 사회문화적 이해
2. 영적 이해
3. 스트레스-적응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Ⅴ. 국가고시 기출문제
Ⅵ. 의학용어
Ⅰ. 서 론
우리는 간호학 312 package part2에서 schizophrenia paranoid type으로 본원(탐라병원)에 Adm. 중인 정조현님께서는 입원 전 “누가 나를 쫓아온다.”, “누가 나를 조종하고 있다.” 등 delusion과 auditory hallucination을 호소하였으며 아버지의 죽음에 관하여 말할 때 unusual behavior를 보였다. 약 한 달간 입원치료, 약물치료 및 지지요법으로 delusion과 auditory hallucination의 증세는 완화되는 듯 보였지만 아직까지도 증상은 남아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에 정조현님을 다학적인 측면에서 치료하고, 효과적인 전인간호를 제공하기 위하여 대상자의 사회문화적·영적 이해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Ⅱ. 본 론
1. 사회문화적 이해
문화적 역량(Cultural Competence)
- 간호사가 대상자의 문화적 인식, 문화적 지식, 문화적 기술을 개발하여 대상자에게 효과적으로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제공 하는 과정
- 간호사의 다양한 다른 문화의 가치와 신념을 이해하는 능력
1) 문화적 역량 모델
- Camphinha-Bacotee가 정신건강간호사가 문화적으로 효과적인 간호를 제공할 수 있도록 ‘건강관리 서비스에서 문화를 존중하는 간호과정’이라 불리는 문화적 역량 모델을 제시함
→ 5단계로 구성되어 있음
(1) 문화적 인식(Cultural Awareness)
참고문헌
Ⅳ. 참고문헌
1. 임숙빈 외(2015). 정신간호총론 제 7판. 수문사, 95-116.
2. 도복늠 외(2012). 최신정신간호학 개론. 정담미디어, 86-92.
3. 성미혜 외(2011). 간호과정. 정문각, 245-250.
4. 한국간호과학회 정신간호학회(2013). 정신간호학 국가시험 대비 문제집. 대한간호협회, 46-48.
Ⅴ. 국가고시 기출문제
1. 문화와 정신건강과의 관련성에 관한 설명은?
가. 어린 시절 양육과정이 성인기 정신건강에 주요한 역할을 한다.
나. 종교적 관습과 신념은 흔히 건강관리 행동양식에 영향을 미친다.
다. 동질적인 문화권에서 지지를 받을 때 개인의 적응능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라. 문화적인 충격은 흔히 우울, 불안 등 정신건강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① 가, 나, 다 ② 가, 다 ③ 나, 라 ④ 라 ⑤ 가, 나, 다, 라
[답] ⑤ 문화란 어떤 집단에 소속된 사람들이 공통으로 갖는 조상으로부터의 습득, 축적된 사회경험의 총화로 정의되며, 여기에는 관습적 태도, 예의, 습관, 언어, 부모 자식관계, 자녀양육방식, 종교 등이 포함된다. 또한 문화적인 요인은 정신건강과 정신질환의 발병원인, 경과와 예후에도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문화의 급격한 변화로 인하여 문화충격이 올 수 있는데 이는 불안, 우울, 고립감, 비현실감, 이인증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2. 간호사는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정신 간호대상자의 환경적 차이를 생각하고, 이를 실무에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간호실무에서 정신장애 유발요인을 사정하기 위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
가. 연령 나. 성별 다. 소득 라. 인종
① 가, 나, 다 ② 가, 다 ③ 나, 라 ④ 라 ⑤ 가, 나, 다, 라
[답] ⑤ 정신장애에서의 사회·문화적 위험요인이란 정신장애로 발전될 수 있는 가능성을 증가시키거나 회복잠재력을 감소시키는 개인의 특성들이다. 연령, 성별, 교육, 소득, 신념체계, 인종 등을 말할 수 있는데, 위험요인이 있다고 꼭 병에 걸리는 것은 아니지만 이는 정신장애에 걸릴 취약성을 높이고, 질병의 유발 및 경과, 회복에 영향을 미치므로 중요하게 생각해야 한다.
3. 한국문화의 특징인 가족중심주의에 관한 설명은?
가. 불교사상을 기초로 하여 형성되었다.
나. 현대에는 가족중심주의가 가족이기주의로 변하기도 하였다.
다. 핵가족화와 개인주의의 확대는 정신건강에 긍정적 영향을 주고 있다.
라. 가족중심주의는 전통사회 안정의 기본이었다.
① 가, 나, 다 ② 가, 다 ③ 나, 라 ④ 라 ⑤ 가, 나, 다, 라
[답] ③ 한국의 가족중심주의는 유교사상에 기초하며, 최근에는 핵가족화, 개인주의의 팽배 등에 따라 가족개념이 변화하고 자체의 지지력도 약해졌으며 끊임없는 세대간의 갈등으로 정신건강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4. 한국의 대표적 문화 특유증후군인 화병에 관한 설명은?
가. 분노의 억제로 인해 발생하는 증후군이라 할 수 있다.
나. 중년 이후의 여성에게 흔하며 우울과 불안의 혼합으로 보인다.
다. 한국인의 교류 특성, 불평등한 성 역할 등의 문화적 요인과 관련이 있다.
라. 갑자기 발병하여 빠르게 진행되는 급성 경과를 보인다.
① 가, 나, 다 ② 가, 다 ③ 나, 라 ④ 라 ⑤ 가, 나, 다, 라
[답] ① 화병은 주로 중년 이후의 여성에게 나타나고 낮은 사회경제적 계층에서 많이 보이며 만성적인 경과를 가진다.
5. 문화적 차이가 있는 정신 간호대상자에 관한 간호사의 태도로 옳은 것은?
가. 대상자의 문화에 대한 수용적 태도가 중요하다.
나. 대상자 문화에 대한 간호사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검토한다.
다. 객관적 자료에 근거하여 대상자의 문제를 진단한다.
라. 대상자가 불편해 할 수 있으므로 일정한 거리를 유지한다.
① 가, 나, 다 ② 가, 다 ③ 나, 라 ④ 라 ⑤ 가, 나, 다, 라
[답] ① 대상자와 간호사간의 사회문화적 차이는 상호이해를 저해하고 때로 대상자가 간호사를 거부하는 원인이 될 수도 있지만 이런 차이점을 오히려 중요한 문제를 토론하게 하여 간호사의 경험을 키워 줄 수 있다. 또한 간호사가 간호사실에서만 머무르거나 의료진 집단과 무리지어 지내며 대상자와 거리를 유지하는 행동은 선입견과 편견의 표현으로 이해될 수 있으므로 하지 않아야 한다.
Ⅵ. 의학용어
* 시나리오
NP[njurouskaitri] 신경정신과
schizophrenia paranoid type
[|skts|fri:ni prnid taip] 편집증형 조현병
persecutory delusion[|p:s|kju:trd|lu:n]
피해망상
hallucination[h|lu:s|nen] 환각
insomnia[n|s:mni] 불면증
unusual behavior[n|ju:ul biheivjr]
비정상적인 행동
poor appetite[pr ptat] 부족한 식욕
* 강의안
mind[maind] 정신
phrenon[frenou-, -n-] 횡격막
cyclothymic[saiklθaimik] 순환성성격
thymus[θaims] 흉선
hystery[histri] 히스테리
hysteron[histrn] 자궁
mental health[mentl helθ] 정신건강
Positive attitudes toward self[pztiv titjuːd twːd self]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
Self-Awareness[selfwrnis] 자신에 대한 인식
Growth[grouθ] 성장
Development[divelpmnt] 발달
Self Actualization[self kulizein] 자기실현
Integration[intgrein] 통합력
Autonomy[ːtnmi] 자율성
Reality perception[rilti prsepn] 현실지각
Environmental mastery[invairnmentl mstri] 환경의 지배
Fully functioning person[fulli fΛŋknin pːrsn] 완전하게 기능하는 인간
mental illness[mentl lns] 정신질환
complex problem[kmpleks pr:blm] 복합적인 문제
DSM-Ⅴ(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Fifth Edition)[dagn:stk nd sttistikl mnjul v mentl ds:rd(r)- f:rθ dn]
정신장애의 진단 및 통계 편람
organic disease[:rgnk dzi:z] 기질적 질환
functional disease[fŋknl dzi:z] 기능적 질환
precipitating factor[prsptt fkt(r)] 촉진적 요인
predisposing factor[pri:dspoz fkt(r)] 소인적 요인
insight[nsat] 병식
Development stage and norms[dvelpmnt sted nd n:rm]
발달단계의 기준
Cultural relativism[kltrl reltvzm] 문화적 상대성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sakitrk mentl helθ n3:rsŋ] 정신간호
Use of self[ju:z v self] 자기이용
therapeutic use of self[θer|pju:tk ju:z v self] 자신을 의미 있게 사용 therapeutic use of self 자신을 의미 있게 사용(=치료적인 자기이용)
Psychiatric nursing[sakitrk n3:rsŋ] 정신병 간호
Mental health nursing[mentl helθ n3:rsŋ] 정신건강 간호
Community mental health nursing[kmju:nti mentl helθ n3:rsŋ]
지역사회 정신건강간호
Day care center[de ker sentr] 낮 병원 Day care center 낮 병원(=day hospital)
Clinical Coordinator[klnkl kou:rdneitr] 임상조정자
Primary therapist 1차 치료자
Model[mdl] 모형 Model[mdl] 모형(=Theory[θiːri])
간호학 312 package part 2
Psychoanalysis model[saikounlisis mdl]
정신분석 모형
collective unconsciousness
[klektiv n|k:nsns] 집합적 무의식
free association[fri:|soi|en] 자유연상
dream analysis[driːm nlsis] 꿈 분석
resistance[rizistns] 저항
interpretation[intːrprtein] 해석
libido[libiːdou] 리비도
transference[traensfːrns] 전이
counter transference[kauntr traensfːrns]
역전이
shadow person[dou pːrsn] 음영자
session[sen] 치료
Interpersonal model[|ntr|p3:rsnl mdl]
대인관계 모형
stranger[streindr] 이방인
resource person[riːsːrs pːrsn] 자원인
teaching role[tiːiŋ roul] 교육자
leader[liːdr] 지도자
surrogate role[sːrgeit roul] 대리인
counseling role[kaunsliŋ roul] 상담가
Social model[soul mdl] 사회적 모형
Existential model[egzistenl mdl]
실존주의 모형
logotherapy[l(ː)gouθerpi] 의미치료
gestalt therapy[gtːlt θerpi] 게슈탈트치료
reality therapy[rilti θerpi] 현실치료
RET(rational-emotive therapy)
[rnl imoutiv θerpi] 합리적 정서치료
encounter group therapy
[inkauntr gruːp θerpi] 집단만남치료
common humanity[kmn hjuːmnti] 인격체
Communication model[kmjuːnkein mdl]
의사소통의 모형
TA(transactional analysis)
[traensknl nlsis] 상호교류분석
complement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