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호시조란 산중잡곡 율리유곡 전가팔곡

 1  강호시조란 산중잡곡 율리유곡 전가팔곡-1
 2  강호시조란 산중잡곡 율리유곡 전가팔곡-2
 3  강호시조란 산중잡곡 율리유곡 전가팔곡-3
 4  강호시조란 산중잡곡 율리유곡 전가팔곡-4
 5  강호시조란 산중잡곡 율리유곡 전가팔곡-5
 6  강호시조란 산중잡곡 율리유곡 전가팔곡-6
 7  강호시조란 산중잡곡 율리유곡 전가팔곡-7
 8  강호시조란 산중잡곡 율리유곡 전가팔곡-8
 9  강호시조란 산중잡곡 율리유곡 전가팔곡-9
 10  강호시조란 산중잡곡 율리유곡 전가팔곡-10
 11  강호시조란 산중잡곡 율리유곡 전가팔곡-11
 12  강호시조란 산중잡곡 율리유곡 전가팔곡-12
 13  강호시조란 산중잡곡 율리유곡 전가팔곡-13
 14  강호시조란 산중잡곡 율리유곡 전가팔곡-14
 15  강호시조란 산중잡곡 율리유곡 전가팔곡-15
 16  강호시조란 산중잡곡 율리유곡 전가팔곡-16
 17  강호시조란 산중잡곡 율리유곡 전가팔곡-1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강호시조란 산중잡곡 율리유곡 전가팔곡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강호가도가 시조에 구현된 것
강호시조 란?
강호시조에 나타나는 자연은 작자의 사상과 감정이 담겨있음
작자층이 ‘사대부’라고 하는 특정집단
강호시조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강호에 투영되는 사대부의
이념과 인식을 제대로 이해할 필요가 있음
훈구의 몰락으로 강호 ↔ 정치의 이분법이 사라짐
사림 내부의 분파에 따른 붕당정치기
성리학적 가치관 퇴색
- 임진왜란 ▶ 신분제의 동요
- 생산성 강화 ▶ 근대
정계 진출에 경험이 거의 없는 지방의 한미한 사족들이 새로운 시조 작자층으로 떠오름
훈구 vs 사림 (‘사화’ - 권력투쟁)
사림 : 지방을 생활기반으로 하는 중소 지주. 강호시조의 작자층
성리학적 이념에 따라 出(출)-處(처)를 반복
’강호 자연’ = 수기를 실천하고 도학적 이념을 닦는 공간
자신들의 본거지를 연학의 장소로 규정함으로써 훈구에 대한 순수성과
도덕적 우위 증명하려고 함
작자층은 대부분 중앙에서 관료 생활을 경험한 사람들 중심
16세기 시조의 배경
17세기 시조의 배경
-유교적 이념인 도학적 측면을 치중
-16세기 강호 시조에서의 자연
“수기를 실천하는 도학적 이념의 공간”
-이분법적 세계관
출 : 정치 현실 처 : 강호 자연
-시간관 : 영원함. 순환적
-개체의 삶을 우주적 질서에 포함된 것으로 보아 개체의 삶보다는 보편적 질서를 강조
-관념적인 소재 사용
16세기 강호 시조의 특징
이듕에시름업스니어부의생애이로다.
일엽편주(一葉扁舟)를만경파(萬頃波)에띄워두고
인세(人世)를 다니젯거니날 가는 줄을 안가.
구버는천심녹수(千尋綠水)도라보니만첩청산(萬疊靑山)
십장홍진(十丈紅塵)이 언매나가롓난고
강호애월백(月白)하거든더옥무심(無心)하얘라.
청하(靑荷)애바블싸고녹류(綠柳)에 고기 께여
노적화총(蘆荻花叢)애 배 매야 두고
일반청의미(淸意味)를어늬부니아라실고.
산두(山頭)에 한운(閒雲)이 기(起)하고 수중(水中)에 백구(白驅)이 비(飛)이라.
무심코 다정(多情)하니 이 두 거시로다.
일생(一生)애시르믈닛고너를 조차 노로리라.
장안을도라보니북궐(北闕)이 천리로다.
어주(漁舟)에 누어신달니즌스치이시랴.
두어라 내 시름안니라제세현(濟世賢)이 업스랴
어부단가(漁父短歌) - 이현보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