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미술사] 국전 평가

 1  [한국미술사] 국전 평가-1
 2  [한국미술사] 국전 평가-2
 3  [한국미술사] 국전 평가-3
 4  [한국미술사] 국전 평가-4
 5  [한국미술사] 국전 평가-5
 6  [한국미술사] 국전 평가-6
 7  [한국미술사] 국전 평가-7
 8  [한국미술사] 국전 평가-8
 9  [한국미술사] 국전 평가-9
 10  [한국미술사] 국전 평가-10
 11  [한국미술사] 국전 평가-11
 12  [한국미술사] 국전 평가-12
 13  [한국미술사] 국전 평가-13
 14  [한국미술사] 국전 평가-1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미술사] 국전 평가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글의 목적
국전의 창설 배경
국전의 의의와 문제점
글의 방향
Ⅱ. 본론
1. 국전의 전개
1) 구조의 변화
① 1949~1960년(1회~9회)
② 1961~1968년(10회~17회)
③1969~1973년(18회~22회)
④1974~81년(23회~30회)
2) 저항의 움직임
① 국전 자체에 대한 저항-4인전, 벽전, 60년전
② 심사에 대한 저항-낙선전, 장외전
2. 국전에서 나타난 특징과 당대 미술계와 사회에 끼친 영향
1) 출품작의 소재와 화풍의 경직성
2) 작가들의 이중경향과 교육파행
3) 국민의 미에 대한 가치관 오도
Ⅲ. 결론
1) 국전 평가
2) 미술정책에 대한 국가의 역할
본문내용
한국 현대미술의 기점을 설정하는데 있어 그 근거는 다르나 대체로 일치를 보이는 시점은 많은 미술단체들이 등장하는 1957년으로 볼 수 있다. 이때 등장한 단체들은 공통적으로 반국전을 기치로 기성화단에 대해 도전하고 있었다. 따라서 이들이 새로운 미술창조를 위해 결별을 마지않았던 국전은 어떤 양상을 띠고 있었으며 그러한 저항에도 불구하고 그 이후에도 끊이지 않는 잡음 속에서 20년 이상 지속될 수 있었던 이유가 무엇인지 알아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또한 반국전 세력에 의해 한국 현대미술의 방향이 정해졌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므로 국전에 대해 알아보는 것은 한국 현대미술의 흐름을 이해하기 위해서 선행되어야 할 일 일것이다.
국전이란 대한민국미술전람회(大韓民國美術展覽會)의 약칭으로, 그 규정 2조에 명시되어 있듯이 “우리나라 미술의 발전 향상을 위해” 정부가 주관하는 미술진흥책의 하나로 출발하였다. 국전이 창설된 것은 남한 단독 정부가 수립된 다음해인 1949년의 일로 동양화부, 서양화부, 조각부, 공예부, 서예부(사군자 포함)의 5대 부문으로 시작되어 후에 건축부와 사진부가 추가되었다.
해방 후 화단에서는 미술 자체를 위한 예술 운동이나 단체의 결성을 찾아보기 힘들다. 정치적·사회적 혼란은 미술가들에게도 갈등과 대립의 장으로서의 미술세계를 구축하게 했으며, 특히 민족미술의 구현을 내세우면서 사회주의 문화이념을 표방하여 정치적 주도권을 잡으려는 좌익계열이 적극적으로 행동함으로서 우익세력과 심한 마찰을 빚었다. 그러나 보수우익세력의 집권으로 정부가 수립되자 미술정책도 국가정책에 편승하여 문교부고시 제1호로 창설된 것이 국전이다. 이러한 국전 창설의 목적에 대해 미술평론가 이경성은 다음과 같이 밝히고 있다. “국전 창설의 진의는 정부 수립 후 그때까지 방향을 못 잡고 있었던 전체 미술인들에게 정치적인 신념을 심어주고 국가적인 보호와 육성을 제공하는데 있었다... 민주진영의 미술인들에게 그들의 거점을 제공한 것이 국전이다
참고문헌
국전도록
이구열, 『국전 30년』, 수문서관, 1981
류경채, 『국전연보』
서성록, 『한국의 현대미술』, 문예출판사, 1994.
오광수, 『한국 현대미술의 미의식』, 재원, 1995.
오광수, 『한국현대미술사 - 1900년 이후 한국미술의 전개』, 열화당, 1979.
이규일, 『 뒤집어 본 한국미술』, 시공사, 1993
허영, 『한국헌법론』, 박영사, pp.163~164
오광수, “한국 근대회화의 정취적, 목가적 리얼리즘의 계보”, 『미술사 연구』7호, 미술사 연구회, 1993
정영목, “한국 현대회화의 추상성, 1950~1970 : 전위의 미명 아래”,『조형』(제 18호),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1995
정영목, “한국 현대 역사화 : 그 성격과 위상” 서울대학교 조형연구소 주최 ‘근현대 역사화의 전개’ 심포지움, 1997
박서보, “국전의 검은 백서”, 월간중앙, 1968.11, pp.304~315
이구열, “국전은 왜 해마다 말썽인가: 권위구조의 발자취”, 신동아, 1967.10. pp230~240
박서보, “국전 정지론”, 세대, 67.2,pp.176~179
이경성, “국전의 정체와 행방”, 사상계, 1969.11,pp.258~264
허천, “우리나라 국전에 대한 소고”, 국회보, 68.11, pp. 39~42
이경성, “국전·그 내역과 허실”, 체신, 74.10, pp.64~68
이일 외, “국전: 지금대로 좋은가”, 공간, 76.3, pp.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