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복과 문화] 중국 전통의상에 대한 분석

 1  [의복과 문화] 중국 전통의상에 대한 분석-1
 2  [의복과 문화] 중국 전통의상에 대한 분석-2
 3  [의복과 문화] 중국 전통의상에 대한 분석-3
 4  [의복과 문화] 중국 전통의상에 대한 분석-4
 5  [의복과 문화] 중국 전통의상에 대한 분석-5
 6  [의복과 문화] 중국 전통의상에 대한 분석-6
 7  [의복과 문화] 중국 전통의상에 대한 분석-7
 8  [의복과 문화] 중국 전통의상에 대한 분석-8
 9  [의복과 문화] 중국 전통의상에 대한 분석-9
 10  [의복과 문화] 중국 전통의상에 대한 분석-10
 11  [의복과 문화] 중국 전통의상에 대한 분석-11
 12  [의복과 문화] 중국 전통의상에 대한 분석-12
 13  [의복과 문화] 중국 전통의상에 대한 분석-13
 14  [의복과 문화] 중국 전통의상에 대한 분석-14
 15  [의복과 문화] 중국 전통의상에 대한 분석-15
 16  [의복과 문화] 중국 전통의상에 대한 분석-16
 17  [의복과 문화] 중국 전통의상에 대한 분석-17
 18  [의복과 문화] 중국 전통의상에 대한 분석-18
 19  [의복과 문화] 중국 전통의상에 대한 분석-19
 20  [의복과 문화] 중국 전통의상에 대한 분석-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의복과 문화] 중국 전통의상에 대한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중국 전통의상에 대한 분석
◎ 중국 의복의 착용 부위별 분류중국의복은 착용 부위에 따라 두의, 체의, 족의 세 가지 형태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두의(頭衣)두의란 모자를 의미하는데, 진, 한 대에 이르기까지 모르는 명칭은 없었다. 두의는 남자의 경우는 관, 면, 변이 있고, 여자의 경우는 잠이 있다.
1) 관: 관은 귀족의 성인남자가 쓰고 다니는 모자로, 남자가 만 20세가 되면 관례를 행 했다. 당시 귀족들은 관례를 지내고 관을 쓰지 않는 것은 예에 어긋나는 것으로 "군자는 죽어도 관을 벗지 않는다." 하는 말이 있는데, 그 만큼 당시 사회에서의 관은 중요했다. 만일 귀족이 잘못을 저지르면 면관사(免冠, 관을 벗으며 사죄함.) 를 행했다. 관을 쓰기 위해서는 머리를 묶어야 했기 때문에 성인남자를 뜻할 때 결발, 속발이라고도 했다. 고대중국에 관을 쓰지 않는 사람은 네 부류인데, 어린 아이, 범죄자, 이민족, 평민이었다. 어린아이의 경우는 머리를 길게 묶어 내리거나 머리 위쪽 좌우에 묶어 올리기도 했는데, 이것이 뿔과 같다 하여 총각이라고 했 다. 범죄자의 경우는 모두 머리를 깍아 버렸기 때문에 창두라고도 불렸다. 또, 평민은 두건만을 머리 에 두르고 다녔다.
2) 면: 면은 머리 위에 장방형이 판을 쓰고 이마 쪽에 구슬을 달아 내리는 것으로, 천 자, 제후, 대부들이 제복이었다. 후에는 천자의 면만 류(류, 면 앞뒤로 내린 구슬 장식)를 장식할 수 있었기 때문에 면류라는 것으로 천자를 대신하기도 했다.
3) 변: 변은 면과 비슷하나 류의 장식이 없는 것으로 피변과 작변으로 구분한다. 피변과 작 변으로 구분한다. 피변은 흰사슴 가죽을 여러 장 잇대어 만든 것이다. 작변은 북은 바탕에 검은 무늬를 넣은 것인데, 이 둘은 색깔만 다를 뿐 동일한 모습이다.
4) 잠: 남자가 20세에 관을 쓰던 것처럼 여자는 15세에 잠을 꽂았다. 여자는 먼저 머리 를 위로 얹은 후 비단으로 싸서 잠으로 고정시켰는데, 여자가 잠을 꽂게 되면 결 혼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여자의 혼기가 되었음을 뜻했고, 이를 급잠 이라고도 했 다. 고대 여성은 검고 윤기 있는 긴 머리카락을 아름답게 여겼으며, 이러한 머리 를 잠으로 꽂 는 것을 멋으로 여겼다. 따라서, 머리가 검지 않거나 윤기가 나지 않는 여성은 남의 머리카락을 사용하기도 해서, 고대에 이미 체라는 가발이 등장 하기도 했다.
2. 체의(體衣)체의란 몸에 걸치는 섬유의복으로 보통 의와 상으로 구분하고 있다. 의는 상의를 뜻하며, 고대에는 짧은 상의와 긴 상의, 홑상의와 겹상의가 있었다. 짧은 상의는 유 또는 요유라고 했는데, 요유는 옷이 허리 정도까지 내려왔다. 상의는 심의(심의, 때로는 상하의가 함께 붙어 있는 경우도 있다)라고 했는데, 옷이 넉넉하여 신체의 모든 부분을 잘 감출 수 있었다.대개 소순(素純, 무늬가 없는 흰색)의 옷감으로 만들었다.홑상의는 단이라고 했으며, 겹상의는 겹 또는 복(複)이라고 했으며, 겨울에 입는 것으로 솜을 넣은 겹상의, 짧은 웃옷을 복유(複孺)라고도 했다. 또, 겨울에 추의를 막기 위해 입던 한의(寒衣)로 구(구)가 있는데, 구는 가죽으로 만든 겨울용 상의이다.이밖에 잠잘 때 쓰는 침의(寢衣)가 있다. 침의는 피(被) 또는 금(衾)이라고 불렸는데, 피는 작은 것이고 금은 대피(大被)로 보다 큰 것이며, 이는 옷이 아닌 이불을 뜻했다. 침의는 부자인 경우 수를 놓은 것을 사용하기도 했으며, 가난한 경우 문양없는 백색의 침의만을 사용하기도 해서 포금(布衾) 또는 포피(布被)라고 하며 청빈한 생활을 상징했다. 상은 하의로 군 이라고도 불렸는데, 이는 낮에 입는 활동복이다. 그 크기를 보면 (의례)(상복(喪服)에서 정현(鄭玄)은 "무릇 상의 크기는 앞은 세 폭, 뒤는 네폭이다."라고 주해를 달고 있는데, 현대의 측량단위로 하면 약 4미터에 해당되는 길이이다.
1)남성의 체의의 특성 한 대 남성복장 중 대표적인 것은 포의 일종인 첨유와 요금포이다. 첨ㅇ는 긴 길 이에 옷깃이 교차하는데 오른쪽으로 여미는 것이 있었고, 다른 하나는 요금포로 전신을 몸 뒤로부터 휘감아싸는 방식이었다. 그 후 첨유는 시대에 따라 옷깃, 옷 의 길이, 폭, 소매의 장단, 대소가 변화하면서 발전되어 갔다. 당대에 남자들이 일 상적으로 입고 있던 복식으로 원렬포삼(圓領布)이 있다. 원령포삼은 북방민족의 복식이며, 또 둥근깃을 지니고 있었기 때문에, 원령의 명칭을 얻었다. 원령포삼은 문관의 것과 무관의 것이 구별되는데, 문관의 것은 길이가 길어 복숭아뼈 아니면 땅에 닿았고, 무관의 옷은 길이가 짧아 무릎까지 왔으며, 소매는 별로 넓은 편이 아니었다. 명대의 남성민복은 크게 선비들이 입던 사령대금관수삼, 옷깃이 비스듬 하고 소매가 넓은 삼)과 일반평민이나 농부들이 입던 삼, 군, 고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선비들이 입던 삼은 길이가 연장자들의 경우 신발에까지 늘어지는 것도 있 었다. 그 후 점차 짧아졌으나 소매는 점점 길어졌다. 청대 남자복식의 기본은 포에 있었으며 특징은 명대의 관의 대수(넓은 옷에 큰 소매)를 고쳐 착수통신(소매가 좁고 몸에 붙는 옷)으로 만든 데 있다. 이 포는 황 족은 옆의 네 군데를 터서 입었으나 평민은 트지 않았다. 이는 북방의 추위를 피 하기 위해 손을 덥도록 고안된 것으로 수렵을 하고 활을 쏠때에는 걷어올려 활동 에 장애를 받지 않았다. 예를 취할때는 전수를 내려야 했고, 예가 끝나면 다시 걷 어올려야 했다.
2) 여성의 체의의 특성 여성의 체의를 한 대의 여성복식은 이전의 심의를 이어받아 입고 있었는데, 크게 보아 남성의 포복과 유사한 점이 많았다. 한 대 여성들의 심의는 허리나 둔부에 비단띠를 도여매는 것이 특이했으며, 의령이 매우 깊어 안에 입는 내의와 중의가 모두 드러나 심의의 의령과 함께 모두 드러났기 때문에 이를 삼중령심의 또는 삼 중의 라고 했다. 또, 당시의 복식은 옷깃을 서로 다른 색깔로 붙이기도 했기 때문 에 중연의 라고도 불렸다. 위. 진. 남북조시대 부녀들은 남자들이 이미 입지 않고 있던 심의를 여전히 즐겨 입었다. 여성 심의의 변화는 앞자락에서 일어났다. 아랫폭은 삼각으로 재단하여 만들었고, 위는 넓고 아래는 뾰족하여 여러 겹으로 겹쳤다. 당시 부녀들은 꽃을 수놓은 신발을 신고 금과 비취 또는 꽃으로 머릴 장식하는 등 화려한 모습을 하 고 있었는데, 이는 당시 군대를 따라다녔던 기녀들이 일으킨 유행으로, 귀족들의 부녀와 기녀들이 앞다투어 모방을 했다. 수. 당. 오대 시기의 여자복식은 중국복식사에 있어서 가장 정교하고 화려한 시기 로 세인을 놀라게 했는데, 중요한 것으로 유군복 남장, 호복의 변형을 들 수 있 다. 유군복은 단유(짧은 저고리) 또는 삼을 입고, 아래는 장군(긴 치마)을 입으며, 반비(짧은 덧옷), 또는 피백(어깨에 걸치는 비단)을 걸치는 형식의 복식이다. 남 장은 남자복식을 입는 것으로 역시 당대 여성복식의 큰 특징이다. 당시 여성들이 남성복식을 즐겨 입은 것은 초탈한 먹을 내기 위한 것과 당시 이복에 남녀의 차 이가 많지 않았기 때문으로 보인다. 호복은 당대에 서역과의 관계가 빈번해지면 서 자연스레 유입된 복식으로 당대 부녀들의 이목을 일신시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