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정치학]동북아 국제정치에 대한 완벽분석

 1  [국제정치학]동북아 국제정치에 대한 완벽분석-1
 2  [국제정치학]동북아 국제정치에 대한 완벽분석-2
 3  [국제정치학]동북아 국제정치에 대한 완벽분석-3
 4  [국제정치학]동북아 국제정치에 대한 완벽분석-4
 5  [국제정치학]동북아 국제정치에 대한 완벽분석-5
 6  [국제정치학]동북아 국제정치에 대한 완벽분석-6
 7  [국제정치학]동북아 국제정치에 대한 완벽분석-7
 8  [국제정치학]동북아 국제정치에 대한 완벽분석-8
 9  [국제정치학]동북아 국제정치에 대한 완벽분석-9
 10  [국제정치학]동북아 국제정치에 대한 완벽분석-10
 11  [국제정치학]동북아 국제정치에 대한 완벽분석-11
 12  [국제정치학]동북아 국제정치에 대한 완벽분석-1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제정치학]동북아 국제정치에 대한 완벽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며

Ⅱ. 1990년대 이후 북 ・중관계
1) 북한의 핵개발
2) 탈북자 문제


Ⅲ. 마치며
본문내용

I. 들어가며

북한과 중국과의 관계는 1950년 한국전쟁 이후 이른바 혁명적 혈맹이라는 깃발아래 이념적 연대를 기초로 하는 군사동맹이라는 특수 관계를 유지해 왔다. 중국의 한국전쟁에 대한 참여는 북한을 둘러싼 소련과의 영향력 경쟁이 되면서 중 ・ 소간 갈등의 요인들 중 하나의 이유가 되었다. 이러한 북 ・ 중관계는 시작될 때부터 양국 최고지도부간의 밀접한 ‘동지적 관계’, ‘인간적 관계’에 바탕을 둔 ‘혈맹관계’였다. 그러나 1992년 한국과 중국이 수교를 맺은 이후, 북 ․ 중 관계가 정치적 ․ 군사적인 면에서 변함없는 우호협력 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나 과거의 냉전시기 같은 혁명적 색채는 많이 약해지는 변화가 있었다. 이에 대한 이유에는 모택동, 주은래, 김일성 등의 양국 혁명 1세대들의 사망, 은퇴 등이 있겠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국은 지금까지도 사실상 아무런 조건 없이 북한과의 우호선린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유일한 나라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북 ・ 중관계는 현시점에서 동북아평화에 있어 중요하게 주목되고 있으며 핵을 통한 벼랑 끝 외교를 펼치고 있는 북한과 전 세계의 안보를 거론하며 경찰국가를 자처하고 있는 미국과의 관계에서도 중요한 대목이다. 이점을 고려하여 다음에 있어서 세계적 차원과 동북아적 차원, 그리고 한반도 차원이라는 틀 속에서 1990년대 이후, 그리고 후진타오체제의 등장 후의 북 ・ 중관계를 설명하고자 한다.
II. 1990년대 이후 북 ・ 중관계
세계적 차원에서의 북 ・ 중관계
1989년 몰타에서는 미 ・ 소 정상회담이 열렸으며, 이를 통하여 냉전체제가 종식되게 되었다. 소련의 고르바초프는 개혁과 개방으로 소련을 변화시켰으며 1991년 12월 25일 소련연방의 해체와 위성국가들을 완전한 주권국가로 만들어주었다. 냉전체제의 양대 진영에서 한 축이 무너지게 되자 국제정세는 단 하나의 월등한 힘을 가지는 단 ・ 다극체제가 형성되게 되었고 미국은 국제경찰국을 자임하면서 전 세계의 안보를 관할하려 하고 있으며 중국과 북한도 미국의 간섭을 받고 있다. 이에 대하여 중국은 미국의 패권주의를 경계하고 있으며 북한과의 연대를 통해 이에 대처하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 이는 다음의 사건들을 통하여 이를 알 수 있다.
참고문헌
http://www.naver.com 뉴스사이트

도서자료

김계동, 북한의 외교정책 벼랑에 선 줄타기외교의 선택, 서울: 백산서당, 2002
김유남, 두개의 한국과 주변국들 = The Two Koreans and there Neighbours, 서울:훈민정음. 1996
소치형, 중국외교정책론, 서울: 골드(골드기술사). 2004
이정복, 북핵문제의 해법과 전망, 서울: M&B. 2003
이종석, 북한-중국관계 1945~2000, 서울: 중심. 2001


논문자료

김경수, 2003, 김정일 시대 이후 북한의 대외정책 -중국, 러시아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정치외 교사학회, 한국정치외교사 논총, 25권, 2호.
문흥호, 2003, 북한 핵문제에 대한 중국의 기본 인식과 정책 기조, 한국국제정치학회 추계학술회의
발표문(2003/09/23),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타.
박병광, 2004, 북한 핵문제에 대한 중국의 입장과 정책, 서강대학교 동아연구소.
서진영, 2003, 후진타오 체제의 중국과 북한 핵 문제 -중국의 대한반도정책은 변하고 있는가-, 고려 대학교 동아시아교육연구단, 동아시아연구 제7호.
신동호, 2003, 중국 위협론의 실체와 한 · 중 관계의 전망, 단국대 행정법무 대학원.
신상진, 2003, 핵위기 발생 이전 북한의 대외관계 개선정책과 중국의 대응, 광운대학교 인문사회과학 연구소.
신상진, 2002, 후진타오시대 중국의 대내외정책 전망 -중국공산당 제16차 전국대표대회 결과분석을 중심으로-, 통일연구원, 통일정세분석 2002-06.
안영섭, 2000, 북한⋅중국관계의 변화와 한반도 안보정세: 북한의 최근 변화동향을 중심으로, 북한연 구학회, 4권, 2호.
유별준, 2001, 중국의 대남북한관계에 대한 고찰, 연세대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윤덕민, 2003, 북한 핵문제 : 6자회담 평가와 전망, 외교안보연구원, 국방부, 군비통제세미나,
2003/11/27.
이태환, 2005,
하고 싶은 말
동북아 국제정세의 변화와 시사점을 조사한 레폿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