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수회는 아시아 선교를 어떻게 진행했는가

 1  예수회는 아시아 선교를 어떻게 진행했는가-1
 2  예수회는 아시아 선교를 어떻게 진행했는가-2
 3  예수회는 아시아 선교를 어떻게 진행했는가-3
 4  예수회는 아시아 선교를 어떻게 진행했는가-4
 5  예수회는 아시아 선교를 어떻게 진행했는가-5
 6  예수회는 아시아 선교를 어떻게 진행했는가-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예수회는 아시아 선교를 어떻게 진행했는가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예수회는 아시아 선교를 어떻게 진행했는가?
들어가는 말
예수회는 로욜라(1491~1556)의 주도하에 창설된 가톨릭 수도회이다. 1534년 8월 15일인 승천대축제일에 파리의 몽마르트에서 여섯 명이 로욜라와 함께 청빈, 순결과 성지 순례의 서원을 행한 것이 예수회의 상징적 출발점일 뿐 아니라 조직 활동의 시작으로도 인정되어 있지만, 본격적인 활동은 1540년 교황 바오르 3세로부터 현장의 인가를 받는 데서 시작되었다. 거기에서 교황이 지시하는 것이면 무슨 일이든지 실천하며 어느 곳이라도 갈 수 있다고 하는 기동성(mobility)과 유용성(availability)을 가진 준비된 마음으로 끊임없이 더 나은 것(magis)을 추구하는 예수 그리스도의 군사가 될 것을 약속하였다.(선교서약) 김혜경 『예수회의 적용주의 선교 - 역사의 의미』 서강대학교 출판부 2012. 5. pp. 79
예수회는 중세기를 지나 점차 르네상스의 막이 열리고 가톨릭교회의 개혁을 요구하는 소리가 고조되는 시기에 탄생했다. 16세기 유럽에서는 종교혁명이 일어나 신교와 구교간의 갈등이 심화되고 있었다. 가톨릭의 부패와 타락을 비판하면서 프로테스탄트들의 활동과 교세가 활발하게 번져갔으며 루터와 칼뱅의 등장으로 가톨릭의 교세는 위축되기에 이르렀다. 예수회는 이러한 가톨릭의 위기를 배경으로 탄생하였으며 가톨릭의 반성과 혁신을 주장하였다. 예수회의 목적은 하나님의 은총으로 회원 자신뿐만 아니라 이웃의 구원과 완덕을 전심전력으로 추구하는 데 있다. 예수회의 행동양식은 영신수련 영신수련은 양심을 살피는 방법이나 묵상, 관상, 염경, 묵도 등의 방식 및 다음에 말할 다른 영신적 행사들의 방법을 말하는 것이다. 즉 마치 육신의 건강을 위해서 산책이나 걷기나 뛰기 따위의 모든 것을 신체의 단련이라고 하듯이, 영신면에서도 모든 사욕편정을 깨끗이 없애고 구령을 위햐여 자기의 생활을 개선하는 데에 날카로운 양심으로 하느님의 뜻을 찾고 발견하기 위하여 영혼을 준비하고, 이에 대비하는 모든 방법을 영신수련이라 한다. 조길현 『로마 가톨릭 종교개혁의 신학 교육 개력에 대한 연구』. 감로교신학대학교. 2013년 석사 학위 논문 p55 재 인용
을 통해 가난하고 겸손하신 그리스도를 인격적으로 만나고 무조건적으로 따르는 전적인 자기 헌신에서 나오는 영적이며 인간적인 태도이다. 회원 각자의 인격완성과 종교교육문화사업을 통하여 높은 도덕심과 인내, 소명에 따르는 생활을 하도록 이웃에게 봉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예수회의 시대적 과제는 종교 개혁기에 이르기까지 쇠퇴해온 가톨릭교회의 권위와 세력을 회복하고 확장하는 일이었다. 이 과제를 위해 예수회가 벌인 두 가지 주요 사업이 교육과 해외선교였다. 특히 해외선교의 중요성을 크게 의식한 로욜라는 예수회 사제들이 “하나님의 더 큰 영광과 영혼구제의 희망이 있는 곳이라면” 세계의 어느 구석이라도 찾아갈 마음의 자세를 가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1. 예수회 선교 사업
예수회가 선교 사업에 나설 무렵에는 벌서 많은 수의 선교사들이 아메리카, 아프리카와 인도 방면의 여러 지역에 진출해서 활동하고 있었다. 그러나 예수회의 선교 사업은 체계적인 선교방법과 선교목적을 지닌 점에서 기존의 선교와 달랐다. 예수회의 3대 총장(1565~1572)는 보르지아(Francisco de Borjia. 1510~1572)는 교황 비오 5세(1566~1572)에게 해외선교에 관한 두 가지 방침을 제안했다. 그 하나는 해외선교에 대한 교황청의 지도와 감독을 일원화하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원주민들을 신앙으로 이끌어오기 위해서는 그들을 인도적으로 대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선교사들의 입장에서 볼 때 적응주의 노선은 현지사회지도층의 자발적 참여를 끌어들여 기존 질서의 파괴를 최소화 하면서 그 사회를 통째로 기독교화 하는 것이었다. 우화에 갖다 댄다면 나그네의 겉옷을 벗기기 위해 바람으로 몰아치는 것이 아니라 햇볕으로 덥게 만든다는 식이라 하겠다.
2. 예수회 선교사업의 창시자 사비에르
여러 세기에 걸쳐 펼쳐질 예수회의 선교 사업을 가장 앞서서 상징한 인물은 프란치스코 사비에르(1506~1552)였다. 근세 가톨릭교회의 위대한 선교사로서 모든 선교사업의 수호성인으로 모셔진 사비에르는 1534년 예수회 창립 7인 멤버의 하나였다. 1540년 예수회가 교황의 정관 인가를 받기 몇 달 전 예수회 최초의 선교사로 로마를 떠난 사비에르는 1542년 5월 인도의 고아에 도착, 세상을 떠날 때까지 10년 남짓한 아시아 선교활동을 시작하게 된다.
1549년 인도와 말레이군도 등 포르투갈인 들의 진출지역에서 활동하는 동안 사비에르는 탁월한 선교업적을 쌓아올렸다. 그 과정에서 사비에르는 장차 예수회 선교의 가장 중요한 선교방침으로 자리 잡게 될 적응주의 노선을 형성해 나갔다. 타밀어로 된 교리서 작성, 원주민을 위한 고아신학교 설립 등, 이 시기에 그가 노력을 쏟은 주요한 사업들에는 적응주의의 핵심적인 원칙들이 나타나 있었다. 사비에르는 일본선교의 미진한 가운데 헌신과 열정을 다해 그들을 돌보며 애덕을 실천하는 행동만으로는 개종을 일으키기가 어렵다는 것, 유창한 논변으로 설득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 철저한 가부장적 사회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하층민을 대상으로 선교를 해봐야 소용이 없다는 것, 국토가 다양한 영지(領地)로 분할되고 영지의 지배권을 가진 귀족 출신인 무사(사무라이)와 이들의 우두머리인 다이묘(大名)를 상대하여야 한다는 것
참고문헌
참고 문헌
김상근, 『동서문화의 교류와 예수회 선교역사』, 서울: 한들출판사, 2006.10
전석재, 『21세기 세계선교전략』, 도서출판 대서, 2010.11
김혜경, 『예수회의 적응주의 선교』, 서강대학교 출판부, 2012.5
김기협, 『예수회 선교의 적응주의 노선과 중국일본의 서학』, 역사비평사, 1994
조길햔, 『로마 가톨릭 종교개혁의 신학 교육 개혁에 대한 연구』
-예수회를 중심으로-감리교신학대학교 대학원 학위논문, 2013
6. 이그나티우스, 『영신수련』, 윤양석역, 서울: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1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