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래장사상연구 레포트

 1  여래장사상연구 레포트-1
 2  여래장사상연구 레포트-2
 3  여래장사상연구 레포트-3
 4  여래장사상연구 레포트-4
 5  여래장사상연구 레포트-5
 6  여래장사상연구 레포트-6
 7  여래장사상연구 레포트-7
 8  여래장사상연구 레포트-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여래장사상연구 레포트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大乘起信論』 해석에서 드러난
원효, 법장 주석의 특징
1. 들어가며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의 연구에 있어서 원효(元曉,617~686)와 법장(法藏, 643~712)의 관점이 차지하는 비중과 역할은 매우 크다. 원효의 『대승기신론소』(大乘起信論疏)와 법장의 『대승기신론의기』(大乘起信論義記)가 출현한 이후 『기신론』 사상의 틀이 많은 부분 규정되어졌다.
특히 현대 일본학계에서 집중적으로 탐구하여 괄목할 만한 성과를 축적한 결과 불교사상의 확고한 위상을 차지하게 된 ‘여래장사상’에 관한 연구는, 원효와 법장의 『기신론』 관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 『기신론』 사상에 대한 법장의 평가인 ‘여래장연기종설’(如來藏緣起宗說)은 불교사상사에 있어서 여래장 사상이라는 일련의 독자적 사상체계를 설정하게 끔까지 그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기신론』 자체의 사상체계와 내용에 대한 원효화 법장의 입장은 같은 듯하면서도 다른 차이를 보이고 있다. 또한 둘 이전의 『기신론』 연구자들인 담연(曇延, 516~588)이나 혜원(慧遠, 523~592) 입장을 음미해 보면, 『기신론』사상에 대한 원효와 법장의 관점은 이들과 또한 미세하게 다름을 알 수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구체적으로 탐구해보고자 한다.
2. 원효의 관점
원효에 의해 일단 그 주석사 상의 정점을 맞이하였던 『기신론』은 원효를 바로 뒤이어 등장한 법장에 의해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들게 된다. 법장은 원효의 『기신론』해석을 상당부분 답습하는 가운데서도, 화엄가로서의 종파적 의식이 반영된 나름대로의 개성을 확보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그 결과 법장은 『기신론』사상을 여래장연기종설로 평가하여 이후의 『기신론』 사상연구에 결정적 영향을 끼치게 된다.
원효가 특정한 종파의식이나 교학적 편견에 사로잡히지 않고 자유롭고 객관적으로 『기신론』을 파악하고 있는데 반해, 법장은 다분히 화엄종의 입장을 의식한 종파적 편견을 지니고 『기신론』을 해석하고 있다는 점은 학계 일반의 공통된 지적이기도 한다. 법장은 특히 법상종을 의식하면서 화엄종의 우위를 확보하고 천명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기신론』 주석에서 나는 원효와 법장의 명백한 차이점들 가운데 대표적인 것으로서는, 『기신론』 심식설과 팔식설(八識說)의 배대에 있어서 원효가 삼세육추의 지상(智相) 등을 제칠식에 배속시키는데 비해 법장은 이에 반대하여 제칠식과의 대비를 배제하고 오직 제팔식 및 육식에 의한 배대만을 행하고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점이 『기신론』을 해석하는 법장의 관점에 개입되어 있는 종파의식의 면모를 확인할 수 있는 측면이기도 하다. 그런데 원효와 법장의 『기신론』관이 지니는 차이와 관련하여 더욱 근본적인 차이를 이문(二門)과 삼대(三大)의 배대에서도 찾을 수 있다.
고익진에 의하면 원효는 체대(體大)를 진여문에, 상(相), 용(用), 이대(二大)를 생멸문에 배속시키는데 비해, 법장은 체대를 진여문에 배속시키는 한편 체(體), 상(相), 용(用) 삼대 모두를 생멸문에 배속시키고 있다는 점에서 근본적인 차이를 발견할 수 있으며, 특히 원효의 견해는 『기신론』을 중관과 유식의 지양, 종합으로 파악한 결과라고 한다. 그리하여 원효의 입장이 『기신론』의 본의에 부합되는 것이라고 평가하고 있다. 원효는 이문에 중관, 유식을 배대시켜 『기신론』을 중관 유식의 지향, 종합으로 파악하였다고 보는 견해를 뒷받침해주는 강력한 논거로서, 이문과 삼대의 배대를 들고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