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포스트 모더니즘 작가와 작품연구

 1  한국의 포스트 모더니즘 작가와 작품연구-1
 2  한국의 포스트 모더니즘 작가와 작품연구-2
 3  한국의 포스트 모더니즘 작가와 작품연구-3
 4  한국의 포스트 모더니즘 작가와 작품연구-4
 5  한국의 포스트 모더니즘 작가와 작품연구-5
 6  한국의 포스트 모더니즘 작가와 작품연구-6
 7  한국의 포스트 모더니즘 작가와 작품연구-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의 포스트 모더니즘 작가와 작품연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포스트 모더니즘
1.개념
포스트모더니즘(Post Modernism)은 지난 20세기에 걸쳐 서구의 문화와 예술, 삶과 사고를 지배해 온 모더니즘에 대한 반동으로서 1960년대이래 미국유럽에서 시작된 일련의 새로운 문화조류로 모더니즘 이후 발생한 예술문화운동이다. 본래 건축에서 사용되던 개념이었으나 80년대 이후 예술 전 영역에 걸쳐 쓰이게 된 것이다.
정치 경제 사회의 모든 영역과 관련되는 한 시대의 이념으로의 포스트모더니즘은 미국과 프랑스를 중심으로 학생운동 여성운동 흑인민권운동 제3세계운동 등의 사회운동과 전위예술, 그리고 해체 혹은 후기구조주의 사상으로 시작되었으며, 1970년대 중반 점검과 반성을 거쳐 오늘날에 이른다.
하나의 통일된 사조나 운동은 아니지만, 그 중심적 동기는 모더니즘을 통해 수립된 고급문화와 저급문화의 엄격한 구분, 예술 각 장르간의 폐쇄성에 대한 반발이라 볼 수 있다. 다니엘 벨(Daniel Bell), 핫산(Ihab Hassan), 오더허티(rian ODoherty), 로젠버그(Harold Rosenberg) 등 많은 사상가들이 모더니즘의 종말을 선고했다. 벨은 “오늘날 모더니즘은 쇠잔했다. 거기에는 긴장도 없고, 창조적인 충동의 기운도 빠져 버렸다. 모더니즘의 반란적 충동은 제도화되었고, 그 실험적인 형식은 광고와 고급문화의 기호와 구문으로 흡수되어 버렸다"고 썼다. 모더니즘의 확립된 양식들이 의심을 받게 되자, 양식에 대한 확실성이 무너지고, 다양성이 대두된 것이다.
일단 후기 모더니즘 또는 탈 모더니즘으로 해석할 수 있다. 중세에 대해 스스로를 모던이라 칭했던 근세에서 벗어났다는 의미로 사용하는 용어이다. 보통은 후기와 탈을 구분 없이 사용하지만, 사회학에서는 후기로 번역하며 탈은 꺼리는 편이다. 어떤 시대도 앞 시대의 영향 없이 구축되지 않았다는 이유에서 그러하다. 그렇지만 대체로 후기는 시대의 연속성을 강조할 때, 탈은 비판성을 강조할 때 쓰인다고 할 수 있겠다.
포스트모더니즘은 아직은 확정되고 일관성 있는 사상의 체계는 아니며, 근본적인 변화에 대한 욕망에 의해 촉발된 회의주의적이고 비판적인 의식이다.
2.한국의 포스트 모더니즘
우리 나라에서 포스트모더니즘은 1980년대 후반 젊은 예술가 집단과 문학이론가들에 의해 소개된 이후 대단히 활발한 논쟁의 장이 되어 왔다. 그 논쟁의 한쪽 입장은 포스트모더니즘을 70년대 이후 우리 사회가 처했던 모더니즘과 민중 문학의 첨예한 대결과 갈등을 융화시킬 수 있는 대체 세력으로 수용하고 그것이 시민 사회의 다양성과 자율성, 그리고 참여 등을 통해 모종의 변혁 에너지를 제공해주는 대안으로 받아들이는 태도이고, 다른 한편은 포스트모더니즘의 등장을 미국의 독점적인 세계 지배 전략이 해체되는 시기와 일치하는 것으로 파악하고 탈정치, 탈이데올로기를 내세운 포스트모더니즘이 진보적, 보수적, 반동적 제 사상이 혼재된 채, 제 2, 제 3 세계의 진보적인 이데올로기들을 무력화시키는 새로운 문화 침투 전략이라고 경계하는 입장이었다
우리나라에서 포스트모더니즘의 수용은 90년대 초반에 왕성하게 이루어졌다. 그리고 이후 90년대는 가히 포스모더니즘의 전성기라 할만 했다. 흥미로운 것은 당시 소련을 비롯한 동구권의 몰락이 한국에서 정치적으로 진보와 민주화 운동을 무력화시키는 데 큰 역할을 했다면, 포스트모더니즘은 그 몰락의 당위성과 필연성을 설명하는 정신적, 문화적 흐름으로써 사용되었다는 점이다.
3.한국 포스트모더니즘 작가와 작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