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문학] 가면극에 대하여

 1  [고전문학] 가면극에 대하여-1
 2  [고전문학] 가면극에 대하여-2
 3  [고전문학] 가면극에 대하여-3
 4  [고전문학] 가면극에 대하여-4
 5  [고전문학] 가면극에 대하여-5
 6  [고전문학] 가면극에 대하여-6
 7  [고전문학] 가면극에 대하여-7
 8  [고전문학] 가면극에 대하여-8
 9  [고전문학] 가면극에 대하여-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전문학] 가면극에 대하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가면극의 형성과 기원
2. 가면극 내용과 특징
1) 서낭신제계통극
(1) 하회별신굿놀이
(2) 동해안 별신탈놀음굿
2) 산대도감계통극
(1) 해서 탈춤
(2) 경기 산대놀이
(3) 경남 오광대와 야류

Ⅲ. 결론
◎ 참고 문헌 ◎
본문내용
가면극이 행해졌을 것으로 보이는 것은 3세기 경 여러 부족국가가 성립되어 있던 때 중국인들에 의해 쓰여진 단편적인 기록들로 유추된다. 이른바 농공시필기에 행해졌던 부여의 영고, 예의 무천, 고구려의 동맹, 마한의 춘추제는 국중대회로 연일 음주가무하였던 것으로 신에게 기원한 형태의 가면무극이 존재했을 것으로 짐작된다.
가면극이 어떤 형태로부터 나왔을 것인가에 대한 의견은 그동안 다양하게 전개되어 왔다. 그 기원에 대한 논의는 대체로 다섯 가지로 집약할 수 있는데, 농경의식설, 기악설, 산대희설, 농악대잡색설, 무속설 등이다.
농경의식설은 1920년대와 30년대를 거치면서 문헌과 역사적 연구의 실증주의에 입각한 기원설로 최남선, 이능화, 조윤제, 안확, 김재철, 손진태 등에 의해 발전되었다. 이 기원설은 농민들이 풍요를 기원한 농경의식에서 가면극이 발생했을 것으로 보는 견해이다.
기악설은 이혜구에 의해 제기된 비교연극화설로 백제인 미마지가 중국 남조 오(吳)나라에서 배워 일본에 전했다는 기악이 우리나라 가면극 기원으로 보는 것이다. 13세기 일본 문헌인 《교훈초》에 전하는 기악과 우리의 산대도감극을 가면의 형태, 색깔, 소도구, 오공, 팔먹중․완보와 가루라․금강, 관 쓴 중과 바라문, 노장과 곤륜, 취발이와 역사, 신할아비와 대고, 샌님과 취호, 무악과 무덕악이 대응됨을 밝히고 우리의 산대도감극은 서역계통의 탈놀이로 기악과 동일하다고 주장한 것이다.
참고문헌
김선풍 외, 『민속문학이란 무엇인가』, 집문당, 1993.
한옥근, 『한국 고전극 연구』, 국학자료원, 1996.
이두현, 『韓國의 假面劇』, 일지사, 1979.
서대석, 『한국 민속극의 형성과 전개』, 어문연구 제21집, 충남대 국문연구회, 1991
박진태, 『한국 가면극 연구』, 새문사, 1985.
조동일, 『탈춤의 역사와 원리』, 홍익사, 19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