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가면극사에 대한 조사자료] 한국가면극사에 대한 조사자료

 1  [한국가면극사에 대한 조사자료] 한국가면극사에 대한 조사자료-1
 2  [한국가면극사에 대한 조사자료] 한국가면극사에 대한 조사자료-2
 3  [한국가면극사에 대한 조사자료] 한국가면극사에 대한 조사자료-3
 4  [한국가면극사에 대한 조사자료] 한국가면극사에 대한 조사자료-4
 5  [한국가면극사에 대한 조사자료] 한국가면극사에 대한 조사자료-5
 6  [한국가면극사에 대한 조사자료] 한국가면극사에 대한 조사자료-6
 7  [한국가면극사에 대한 조사자료] 한국가면극사에 대한 조사자료-7
 8  [한국가면극사에 대한 조사자료] 한국가면극사에 대한 조사자료-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가면극사에 대한 조사자료] 한국가면극사에 대한 조사자료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1. 가면극 관련 문헌기록-----------------------------------------------1
① 삼국시대
② 통일신라시대
③ 고려시대
④조선시대

2. 가면극의 기원과 계통-----------------------------------------------2
(1) 가면극의 기원설-----------------------------------------------------------------2
① 산대희기원설
② 산대도감극계통설
③ 풍농굿기원설
④ 기악기원설
⑤ 무굿기원설
(2) 가면극의 계통-------------------------------------------------------------------3
① 본산대놀이 계통 가면극
② 마을굿 계통 가면극

3. 지방 별 가면극의 역사적 유래---------------------------------------4
(1) 경기 지방의 탈춤----------------------------------------------------------------4
① 양주 별산대놀이
② 송파 산대놀이
(2) 해서 지방의 탈춤----------------------------------------------------------------4
① 봉산 탈춤
② 강령 탈춤
③ 은율 탈춤
(3) 영남 지방의 탈춤----------------------------------------------------------------5
① 통영 오광대
② 고성 오광대
③ 가산 오광대
④ 수영 야류
⑤ 동래 야류

4. 가면극사에 대한 조사를 마치며--------------------------------------7



본문내용
1. 가면극 관련 문헌기록
① 삼국시대
삼국시대에는 중국으로부터 산악(散樂) 또는 산악잡희(散樂雜戲) 산악잡희는 죽방울 받기, 솟대타기, 칼 던지기, 줄타기, 칼 삼키기, 불 토해내기, 쌍칼 돌리기 등의 곡예와 묘기, 그리고 각종 동물로 분장한 가면희와 흉내내기 연희, 악기 연주 등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후대에는 산악의 내용이 더욱 다양해졌다.
라고 불리는 놀이들이 전래되었다. 한국에서는 고구려의 가면극 관계 놀이를 살펴볼 수 있는 문헌기록이 발견되지 않으나, 일본의 문헌에는 고구려 등 삼국의 놀이가 기록되어 있다. 일본에서는 5세기 중엽에서 9세기 중엽에 이르는 동안 신라악, 백제악, 고구려악의 순서로 전래되어 병립했으나, 9세기 중엽에 이르러 외래 악무를 정리할 때, 당나라와 인도(천축)의 악무를 좌방악이라 하고, 삼국 및 발해의 악무를 우방악이라 불렀다.우방악은 일명 고려악이라 해, 고구려악이 삼국악의 총칭으로 불렸다. 고구려 악은 이십사 곡(曲)이었는데, 그 중 십이 곡은 가면무악이다.
고구려 고분인 안악 제3호분 동수묘(冬壽墓)의 벽화 중 후실의 무악도에는 외국 출신으로 보이는 춤꾼이 가면을 착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백제의 가면극 관계 놀이는 가무백희화 황창무를 들 수 있다. 가무백희는 바로 산악잡희와 같은 놀이들로 추정된다. 황창무 황창무는 가면을 쓰고 춤추는 검무이다. 신라의 황창랑이라는 일곱 살의 소년이 검무를 빙자해 백제의 왕을 죽이고 백제인들에게 피살되었으므로, 신라인들이 이를 슬퍼해 그 모습을 가면으로 만들어 쓰고, 그의 춤을 모방해 검무를 추었다는 내용의 유래를 갖고 있다.
는 가면을 쓰고 춤추는 검무이다.
② 통일신라시대
통일신라시대의 가면극 관계 놀이는 오기, 즉 『삼국사기』잡지(雜志) 중 최치원의 「향악잡영」에 묘사된 금환, 월전, 대면, 속독, 산예의 다섯 가지 놀이와 처용무(處容舞)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 가운데 대면, 속독, 산예에 등장하는 놀이꾼은 가면을 쓴 것이 분명하므로, 이 놀이들은 가면희다. 대면은 황금색의 가면을 쓰고 손에 구슬 채찍을 들고 귀신을 쫓는 무서운 춤을 묘사한다. 속독은 원방인이 왕의 덕화를 사모해 떼지어 와서 춤과 음악을 바치는 내용인데, 가면은 쑥대머리에 얼굴이 파란 귀면이었다. 산예는 사자가면을 쓰고 추는 사자춤인데, 이 시는 사자춤이 서역 계통임을 명시하고 있다.
통일신라시대의 처용무는 『삼국유사』권2 「처용랑 망해사」조를 통해 그 유래를 살펴볼 수 있다. 신라 헌강왕대의 처용설화에 의하면, 처용이 밖에 나가 밤늦도록 놀다가 집에 들어오니 역신(疫神)이 자기의 아내를 차지하고 있었는데, 처용이 「처용가」라는 향가를 지어 불렀더니 역신이 나타나 용서를 빌면서 “맹세코 이후로는 공(公)의 형용을 그린 것만 보아도 그 문에 들어가지 않겠습니다”라고 말하고는 물러갔다고 한다. 처용무는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의 나례에서 계승되었는데, 가면을 착용하고 역귀를 쫓아내는 춤을 추었다.
③ 고려시대
고려시대에는 불교적 제전인 연등회와 토속신에 제사 지내는 팔관회에서 채산(彩山) 또는 채붕(綵棚)이라 하는 가설무대를 설치하고, 거기서 가무백희를 연행했다. 여기에서 연행된 놀이를 산대희라고 하는데, 여러 종류의 가면이 사용되었다. 그리고 나례에서도 방상시, 창사, 십이지신, 처용 등이 가면을 착용했따.
원래 나례는 섣달 그믐날 궁중과 민간에서 가면을 쓴 사람들이 일정한 도구를 가지고 주문을 외치면서 귀신을 쫓는 동작을 해, 묵은 해의 잡귀를 몰아내던 의식이다. 고려 말에는 점차 나례에서 구역의식보다 잡희부가 확대되면서, 나례가 잡히인 나례희, 즉 나희로 인식되어 갔다. 조선시대에는 이러한 현상이 더욱 심해져 본말이 전도될 정도였다.
고려말 이색의 한시 「구나행」에 묘사되어 있는데, 나례에서 구역이 끝난 뒤 나희가 시연되는데, 이 가운데 제일 처음 나오는 오방귀무는 이미 중국의 나례에서도 발견된다. 중국과 한국의 나례에서 모두 오방귀가 보이는데, 오방귀의 춤이 설정되어 있다. 이 춤은 성현의 『악학궤범』에 나례에서 연행한 것으로 기록하고 있는 「학연화대처용무합설」의 오방처용무와 함께, 현존하는 가면극의 오방신장무과장에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악학궤범』에 의하면 나례에서 오방처용이 다섯 방위를 상징하는 청, 적, 황, 백, 흑색의 의상에 처용의 가면을 쓰고 사방의 잡귀를 물리치는 춤을 추었다고 한다.
한편, 『고려사』권124 「전영보」전에 의하면, 고려시대에 가면을 쓰고 놀이하는 사람을 광대(廣大)라고 불렀다고 한다.
④조선시대
성현의 『용재총화』를 통해 조선 전기에 궁궐에서 거행하던 나례를 살펴보면, 가면을 쓰는 인물은 창사, 방상시 네 명, 지군 다섯 명, 판관 다섯 명, 조왕신 네 명, 소매 여러 명, 십이지신이다. 이 중 재미있는 것은 십이지신이 각 띠에 해당하는 동물의 가면을 쓴다는 사실이다. 나례에서 가면을 쓰고 귀신을 쫓아내는 구나의 형식은 봉산탈춤의 팔먹중춤과 양주별산대놀이의 연잎춤, 눈꿈쩍이춤에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성종 24년(1493)에 편찬된 『악학궤범』의 「학연화대처용무합설」조에 의하면, 나례에서 악공들이 음악을 연주하고 기녀들이 노래하는 가운데 처용무, 학무, 연화대무를 춘 것으로 나타난다. 그리고 『증보문헌비고』권64 「나(儺)」조에 나례에 사용하는 가면의 제작에 관한 내용이 발견된다. 원래 나례에 사용하는 가면을 종이로 만들었으나 매년 나례 때마다 제작하기 때문에 비용이 많이 드므로, 앞으로는 나무가면을 만들어 매년 계속 사용할 수 있게 하라는 상소이다. 여기에서 나례에 사용하던 가면은 원래 종이가면이었으며, 나례에서 약 백육십 여 개의 매우 많은 가면이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유득공의 『경도잡지』권1 「성기(聲伎)」조에 가면극의 성립에 관한 매우 중요한 기록이 보인다. 이 무렵 나례에 동원되어 공연하던 전문적 놀이꾼의 놀이 가운데 야희, 즉 산대를 설치하지 않고 마당에서 노는, 야외놀이화된 가면극이 성립되어 가고 있었다는 사실이다.
이상과 같이 이미 삼국시대부터 산악백희를 연행하는 전문적 놀이꾼이 존재했고, 이들이 통일신라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를 거치면서 일반 잔치, 과거급제자의 축하 잔치, 나례나 중국 사신 영접 같은 국가적 행사, 서울의 시정과 민간 등에서 계속 현존하는 가면극과 관련있는 가면극을 전승해 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 가면극의 기원과 계통
(1) 가면극의 기원설
① 산대희기원설
산대희기원설에 의하면, 산대희에서 산대극(산대도감극)이 생겨났다고 한다. 산대희는 신라시대 이래 조선 중기까지 지속되었다. 산대는 채산, 채붕이라고 하는 가설무대로서, 산과 같이 높은 무대, 비단으로 장식한 다락무대라는 의미에서 붙인 명칭이다.
② 산대도감극계통설
이두현은 가면극의 기원을 서낭제 탈놀이와 산대도감계통극으로 나누어 논의했다. 하회별신굿탈놀이, 강릉관노가면극 등 서낭제에서 놀았던 서낭제 탈놀이는 서낭제에서 기원해 발전한 토착적 가면극이라고 보았다. 그러나 서울 근교의 산대놀이, 해서탈춤, 야류와 오관대는 산대도감계통극이라고 주장한다. 이는 종래의 산대희기원설을 더욱 발전시킨 것이다.
③ 풍농굿기원설
조동일은 가면극이 농악대 주고의 풍농굿에서 기원했다고 주장했다. 마을굿에서 농악대의 가면을 쓰고 노는 무리가 잡색으로 따라다니며 이따금씩 허튼 수작을 하기도 하지만, 마을굿을 하는 원래의 행사가 끝난 다음에 기회를 얻어서 놀이를 한바탕 따로 벌인 것이 가면극이라고 하면서, 가면극이 마을굿에서 자생적으로 생성 발전했음을 강조했다. 그리고 가면극을 농촌탈춤과 도시탈춤으로 나누어 설명했다. 농촌탈춤이 도시탈춤으로 발전하는 데에는 떠돌이 놀이패의 가면극이 그 모형을 제공했으리라고 보았다. 그리고 오광대의 경우는 초계 밤마리의 오광대패와 같은 떠돌이놀이패의 가면극이 직접적인 영향을 끼쳤음을 인정하고 있다. 이 견해는 가면극 연구의 초창기부터 가장 유력한 학설이었던 산대희기원설, 산대도감극계통설과 대립되는 입장이다. 가면극의 형성을 국가적인 행사와는 별도로 존재하던 민중적 전승에서 찾아야 할 것이라면서, 가면극의 산대희, 산대도감계통극 기원설을 부정했다.
④ 기악기원설
백제인 미마지(味摩之)가 중국 남조 오(吳)에서 배워 612년 일본에 전했다는 기악이 가면극의 기원이라고 한다. 기악의 내용은 13세기 일본 문헌인 『교훈초』에 소개되어 있는데, 절에서 불사 공양의 무곡으로 연출되던 교훈극으로서 묵극이었다.
⑤ 무굿기원설
김재철은 농사를 마치고 신을 즐겁게 하려는 단순한 무당의 의식에서 점점 복잡한 가무가 발달해 비로소 가무극이 발생하게 된 듯하다고 추론했다. 그리고 산대극의 첫과장에 고사 장면이 있는 점, 미얄할미의 죽음 후에 하는 넋두리국 등 무당과 관련된 내용이 많은 점을
하고 싶은 말
열심히 구한 자료입니다.
저를 믿고 꼭 구매해 주세요.
제가 직접했으니깐 믿고 구매 부탁드려요. ㅅ ㅅ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