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문학] 고려가요 작품분석

 1  [고전문학] 고려가요 작품분석-1
 2  [고전문학] 고려가요 작품분석-2
 3  [고전문학] 고려가요 작품분석-3
 4  [고전문학] 고려가요 작품분석-4
 5  [고전문학] 고려가요 작품분석-5
 6  [고전문학] 고려가요 작품분석-6
 7  [고전문학] 고려가요 작품분석-7
 8  [고전문학] 고려가요 작품분석-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전문학] 고려가요 작품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가시리
2) 서경별곡
3) 여성화자의 태도
3) 여성화자의 태도


본문내용
우리의 서정 시가들은 그 출발부터가 이별을 주제삼고 있다. “백수광부의 수직적 지향과 그 아내의 수평적 마찰에서 오는 이별을 서정화󰡓 강성천,“헤어짐과 만남󰡓,[現代文學],통권 268호, P.42.한 가 그렇고 한 남편이 아내를 잃고 그 슬픔을 노래한 “순박한 古代人 의 서정성을 흠뻑 맛볼 수 있는 일품(逸品)󰡓 이경기, [國文學全史 ],(新丘文化社,1960), p.42.이라는 찬사를 받고 있는 가 그렇다.
소박 진솔한 서민이나 부녀자들의 생활의 표현이 그 주축을 이루고 있는 고려가요에 오면 이별이 작품 전체를 기술하는 주제로 내포되고 이들 이별은 점층적인 방법에 의해 더욱 고조되어 나타난다.
고려 속요는 사랑을 노래한 것들이 많아 ‘男女相悅之詞’ 혹은 ‘淫詞’라는 평을 듣곤 한다. 그러나 단순한 남녀상열만을 노래하는 것이 아니라 남녀상열적인 노래 속에도 우리의 피 속으로 흐르는 면면한 전통이 내재해 있는 것이다.
당시 고려 상황을 보면 고려 여인들은 끊임없는 외적의 침입으로 인한 남자들의 출정, 남부여대로 호구지책의 마련, 공녀제도에 의한 元으로의 강제 이별 등을 겪음으로서 겪음으로써 어떤 어려움이 있어도 좋으니 사랑하는 임과 함께 사는 것이 평생소원일 것이다. 이성주, [고려시가의 연구],(서울:웅비사,1991), P.196. 이런 소원을 지닌 여인들에게는 임이 떠난다는 것은 곧 죽음과 같은 것이 없을 것이며 님을 보내지 않기 위해 노력했을 것이다. 이런 배경을 지니고 고려가요를 보면 단순히 유교적 도덕관에 맞지 않는다는 이유에서 남녀상열지사, 음사라며 문학적 가치를 비하시키는 것은 잘못된 것이다. 설사 지나친 性愛의 감정을 표출하더라도 그것은 어쩔 수 없는 고려인의 솔직한 정서와 심상이요 적나라한 사회적 현실이므로 오히려 문학적 가치는 더욱 높이 평가될 수도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김창룡, 한국옛문학론, 새문사
권수정(2002), 고려가요 화자연구 : 이별의 노래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원미자(1998), 속요에 나타난 여성형상 연구: 염원과 개념의 정서를 중심으로,석사학위논문.
남광우(1996), 고려속요에 나타난 여성에 관한 연구 : 특히 ‘심상’과 ‘성’을 중심으로, 석사 학위논문.
황영미(1995), 古俗謠의 女性話者 연구 : 님의 부재에 대한 반응 양상을 중심으로, 석사학 위논문.
박상익(1993), 高麗俗謠에 나타난 主題 연구 : 愛情과 恨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이동주(1992), 高麗俗謠 연구 : 話者의 態度類型에 따른 內容的 特性을 중심으로, 석사학위 논문.
정남희(1989), 高麗俗謠에 나타난 女性意識, 석사학위논문.
금성숙(1988), 高麗歌謠의 硏究: 修辭技巧을 中心으로, 석사학위논문.
조정길(1986), 高麗俗謠 硏究:詩語의 表出構造와 이미지分析을 中心으로, 석사학위논문.
김종길(1985), 高麗俗謠에 나타난 愛情觀, 석사학위논문.
이정임(1985), 高麗歌謠의 語調(Tone)硏究, 석사학위논문.
이광우(1982), 高麗歌謠의 美學的 接近, 석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