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가요의 이해, 주요작품 분석

 1  고려가요의 이해, 주요작품 분석-1
 2  고려가요의 이해, 주요작품 분석-2
 3  고려가요의 이해, 주요작품 분석-3
 4  고려가요의 이해, 주요작품 분석-4
 5  고려가요의 이해, 주요작품 분석-5
 6  고려가요의 이해, 주요작품 분석-6
 7  고려가요의 이해, 주요작품 분석-7
 8  고려가요의 이해, 주요작품 분석-8
 9  고려가요의 이해, 주요작품 분석-9
 10  고려가요의 이해, 주요작품 분석-10
 11  고려가요의 이해, 주요작품 분석-11
 12  고려가요의 이해, 주요작품 분석-12
 13  고려가요의 이해, 주요작품 분석-13
 14  고려가요의 이해, 주요작품 분석-14
 15  고려가요의 이해, 주요작품 분석-15
 16  고려가요의 이해, 주요작품 분석-16
 17  고려가요의 이해, 주요작품 분석-17
 18  고려가요의 이해, 주요작품 분석-18
 19  고려가요의 이해, 주요작품 분석-19
 20  고려가요의 이해, 주요작품 분석-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려가요의 이해, 주요작품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고려가요의 이해
(1) 고려가요의 개념
(2) 고려속요
(3) 경기체가
2. 고려속요의 내용별 주요작품 분석
(1) 연주(戀主) - 정과정곡
(2) 모정(母情) - 사모곡
상저가
(3) 무축(巫祝) - 처용가
(4) 삶의 고뇌(苦惱) - 청산별곡
(5) 연정(戀情) - 쌍화점
만전춘별사
이상곡
동동
(6) 풍유(諷諭) - 유구곡
(7) 이별(離別) - 가시리
서경별곡
(8) 송도(頌禱) -정석가
3. 경기체가
(1) 경기체가의 개념
(2) 경기체가의 형식적 특성과 율격
(3) 경기체가의 형식 유형과 변화
(4) 경기체가의 작자와 향유층
(5) 주요작품 - 한림별곡
4. 참요
(1) 참요의 정의
(2) 참요의 성격
(3) 참요의 종류
5. 교과서에서의 고려가요
(1) 고전문학교육의 목표
(2) 2011년 개정 교육과정에 제시된 고전문학의 학습목표
(3) 교과서에서 볼 수 있는 고려가요 작품
(4) 교과서에서의 고려속요와 경기체가
(5) 앞으로 교과서에서의 고려가요 교육 방향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향찰 문자가 아시아의 보편 문자인 한자에 밀려 쓰이지 않게 되자 신라 시대에 융성하던 향가가 고려 시대에는 쇠퇴하게 되고 향가와 고려 가요 사이의 과도기적 형태의 노래가 만들어 진다. ‘향가계 여요’는 신라 때의 향가가 고려 가요로 넘어가는 과정에서 생겨난 과도기적인 시가 형태로, 고려 때 지어졌는데도 그 표기가 향찰로 되어 있거나 향가의 형식을 갖춘 시가를 말한다. 향가계 여요는 향가와 고려가요를 연결하는 교량적 역할을 하는 문학 형태라고 할 수 있다. 신라 때에 형성되어 발전한 향가는 고려 때 까지 계속되었다. 고려 광종 때 균여 대사가 지은 「보현십원가」는 고려 시대까지 향가 문학이 계속되어 온 것을 보여 주는 본보기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고려 초기의 일일 뿐, 향가는 고려 초 이후부터 쇠잔해지기 시작하였다. 예종이 지은 나 의종 때 정서가 지은 것으로 알려진 은 향가의 잔영이 남아 있는 고려가요라 할 수 있다. 는 8구체 향가에 가깝고, 은 고려 가요에 보다 가까웠다. 이러한 향가의 변이를 거쳐 고려 시대에 와서는 새로운 문학 양식이 이루어지는데, 귀족 문학으로는 경기체가, 일반 서민 문학으로는 고려 가요가 등장하게 된 것이다.

Ⅱ. 본론

1. 고려가요의 이해
(1) 고려가요의 개념

고려시대에 불렸던 노래를 일반적으로 고려가요라고 하는데, 이 용어는 그 뜻이 모호할 뿐만 아니라 그 범주 역시 넓기 때문에 이들 시가 작품들에 대한 개념 규정은 연구 초기부터 지금까지 논의의 대상이 되어 왔다.
고려가요가 넓게는 고려시대 시가를 뜻한다고 하면 신라의 향가의 전통을 그대로 이어받은 균여의 향가인「보현십원가(普賢十願歌)」를 비롯하여 사뇌가, 시조, 가사, 민요까지를 넣을 수 있겠으나 사뇌가는 신라가요 향가에서 주로 논의하고 시조와 가사는 조선시대의 노래로 간주되어지기 때문에 고려가요의 범주로 넣기에 모호한 면이 있다.
고려가요를 좁은 뜻으로는 속요만을 말한다. 민요에 기반을 두고 있어 소박하고 곡진한 감정을 담고 있는 서정적 성격의 속요와 신흥대사부들의 새로운 세계관을 특정 형식에 담은 교술적 성격의 경기체가는 향유계층의 이념과 역사적 성격, 표현기법에서 서로 판이한 것이 사실이나, 형식에 있어서 연장의 형태나 후렴구와 감탄사 등 형식에 있어 공통점도 엿보인다. 이러한 형태상 분명한 공통점이 있다 하여, 고려시대의 시가를 전체적으로 포괄하여 가요나 장가라는 명칭보다는󰡐별곡󰡑이라는 명칭이 적절하다는 견해도 있다. 이처럼 고려가요에 대한 정의는 학자나 책마다 용어의 쓰임에 이견이 분분하다.
참고문헌
김학성·김대행 외 , 『외국인을 위한 한국고전문학사』,태학사, 1997.
민족문학사연구소, 『새 민족문학사 강좌』,창비, 2009
조동일, 「경기체가의 장르적 성격」, 『학술원논문집 15』, 1976.
성기옥, 「경기체가」,『한국문학신강』,새문사.
강명혜, 『고려속요·사설시조의 새로운 이해』, (주)북스힐, 2002.
윤성현, 『속요의 아름다움』, 태학사, 2007.
고운기, 『새로 읽는 한국 끄시가』, 드림북스, 1998.
김병국, 『고전시가 잘 알기』, 벽호, 1998.
사회과학원 고전연구소, 『북역고려사』, 신서원, 1997.
권영민, 한국현대문학대사전
『고려사절요』, 권 16, 고종 19년 6월.
네이버 지식백과,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문학 > 고전시가
임현석, 「고려가요 의 연구」, 조선대학교 학위 논문, 2011.
김상철, 『고려시대 시가의 탐색』, 경인문화사, 2004.
성현경, 「만전춘 별사의 구조」, 한국어문학회 편, 『고려시대의 언어와 문학』, 형설출판사, 1975.
이연숙,「의 제의적 성격 연구」,『문학적 형식과 구조를 중심으로, 새얼어문논집 17, 2005.
오연경,「고려속가 의 교육방법 연구」, 인천대학교 교육대학교 학위논문, 2007.
허남춘,「동동의 송도성과 서정성 연구」, 陶南學報 14, 陶南學會, 1996.
이동근, 「유구곡 재고」『한국고전시가작품론1』, 집문당, 1992.
임주탁, , 국어교과서교육학회, 2001.
강대구, , 첨람어문학회, 1995.
최승영, , 한국교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4.
이현주, , 부경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7.
박재민, “정석가의 발생시기” ,한국시가학회, 2003.
박재민, “정석가> 주석재고와 문학적 향방 (2) -"딩아 돌하"를 중심(中心)으로 ,한국고전문학회, 2012.
정병욱, 『국문학산고』, 신구문화사, 1959.
김문기,「경기체가의 종합적 고찰」
이명구, 『고려가요의 연구』, 신아사, 1984.
임기중 외,『경기체가 연구』, 태학사, 1997.
김학성, 「경기체가」, 황패강 외 3인 편,『 한국문학연구입문』, 지식산업사, 1982.
윤석현, 「조선조 경기체가 연구」, 숭실대 석사학위논문, 1933.
임종욱, 『우리의 고전시가1』, 나무아래사람, 2002.
권오경, , 경북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90.
민찬, ,  33, 서울대학교 한국문화연구소 ,2004.
김병욱, , 7,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1976.
조동일, 2권, 제4판, 지식산업사, 2005.
류해춘, , 65호, 한국어문학회, 1998.
이영태, ,, 경인문화사, 2003.
김상기, , 대성출한사, 1947.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