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연구방법론] 꿈과 현실의 경계를 넘어서 -`말무리반도`의 공간기호론적 분석

 1  [문학연구방법론] 꿈과 현실의 경계를 넘어서 -`말무리반도`의 공간기호론적 분석-1
 2  [문학연구방법론] 꿈과 현실의 경계를 넘어서 -`말무리반도`의 공간기호론적 분석-2
 3  [문학연구방법론] 꿈과 현실의 경계를 넘어서 -`말무리반도`의 공간기호론적 분석-3
 4  [문학연구방법론] 꿈과 현실의 경계를 넘어서 -`말무리반도`의 공간기호론적 분석-4
 5  [문학연구방법론] 꿈과 현실의 경계를 넘어서 -`말무리반도`의 공간기호론적 분석-5
 6  [문학연구방법론] 꿈과 현실의 경계를 넘어서 -`말무리반도`의 공간기호론적 분석-6
 7  [문학연구방법론] 꿈과 현실의 경계를 넘어서 -`말무리반도`의 공간기호론적 분석-7
 8  [문학연구방법론] 꿈과 현실의 경계를 넘어서 -`말무리반도`의 공간기호론적 분석-8
 9  [문학연구방법론] 꿈과 현실의 경계를 넘어서 -`말무리반도`의 공간기호론적 분석-9
 10  [문학연구방법론] 꿈과 현실의 경계를 넘어서 -`말무리반도`의 공간기호론적 분석-10
 11  [문학연구방법론] 꿈과 현실의 경계를 넘어서 -`말무리반도`의 공간기호론적 분석-11
 12  [문학연구방법론] 꿈과 현실의 경계를 넘어서 -`말무리반도`의 공간기호론적 분석-12
 13  [문학연구방법론] 꿈과 현실의 경계를 넘어서 -`말무리반도`의 공간기호론적 분석-13
 14  [문학연구방법론] 꿈과 현실의 경계를 넘어서 -`말무리반도`의 공간기호론적 분석-14
 15  [문학연구방법론] 꿈과 현실의 경계를 넘어서 -`말무리반도`의 공간기호론적 분석-1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문학연구방법론] 꿈과 현실의 경계를 넘어서 -`말무리반도`의 공간기호론적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서론

Ⅱ.공간기호론

Ⅲ.말무리반도

-1.서사구조
a.과거에 해당하는 스토리
b.현재 해상리에서 일어난 사건의 시간적 전개

-2.공간기호론적 분석
a.이항 대립적 공간 분석
1) 주인공의 공간 이동 - 수평적 층위의 현실억압과 탈출욕구
2) 남자와 여자의 이항대립 - 또 다른 현실과 꿈의 표상
3) 꿈과 현실의 이항대립 -현실에서 발견하는 꿈
b.경계항
1) 남자의 경계 - 현실과 꿈 사이의 갈등과 유보
2) 아버지의 꿈과 언니의 자살 - 경계에서 파국으로
3) 여자의 경계 - 현실로부터 벗어나려는 꿈
4) 남자, 서른일곱 - 새로운 꿈으로의 여정
c.주요공간상징 분석 -환상과 현실 그 경계의 모호함에 대하여
1) ‘예림기획’의 작업실 - 꿈을 억압하는 현실
2) 별장 -도피를 넘어서 새로운 깨달음으로
3) 금강산 건봉사 -소멸에서 또다른 시작으로
4) 고성읍 해상리 - 환상과 허구 속의 진실
5) 버스정류장 - 현실과 환상의 매개항

Ⅳ.결론

본문내용
소설가 박상우는 문학만이 전하는 독특하고 소중한 심미적 경험을 고도로 압축된, 엄격하고 절제된 언어로 형상화하는 작가다. 그의 소설 세계는 난해하면서도 치밀하게 구성된 짜임을 통해 완성적이고 다층적인 작품 세계를 보여주고 있다.
박상우의 는 1997년 발표작으로 현실을 이유로 꿈을 잃은 한 남자의 존재론적 고뇌를 그리고 있다. 꿈을 잃은 주인공과 그에 의탁해 새로운 꿈을 꾸려는 여자의 만남을 통해 꿈의 중층적 의미를 탐구하고 있다. 주인공은 현실에서 패퇴했다. 아내를 비롯한 가족들 때문에 자신의 꿈을 희생했고, 그 아내와 이혼하고 말았고 삶의 터전인 사업도 망했다. 그에게 남은 것은 꿈의 잔해로 스스로 존재의 윤곽선을 잃어버렸다고 말한다. 윤곽선을 잃어버렸으므로 그 안에 어떤 내용도 채울 수 없다. 그가 괴로워하는 것은 바로 이 점으로, 그가 친구의 별장을 빌려 여행을 하는 것은 잃어버린 꿈을 다시 어떻게 찾을 것인가 하는 탐색의 과정이 된다.
이와 같이 는 꿈과 자아를 탐색해가는 과정을 그린 구도적 발상의 소설이다. 현실의 황폐나 절망은 그것대로 직시하면서도 작은 희망의 단서를 기어코 찾아내려는 작가의 성숙한 시선을 느낄 수 있는데, 주인공은 삶의 암흑 속에서도 부단히 상처를 치유하고 실존적 사유를 시도할 자신만의 '공간’을 추구한다. 이때의 공간은 작품의 배경을 형성하면서 주체의 행동이나 이동과 함께 서사를 구성하는 것 이상으로 주제를 구현해내는 데에 직접적인 역할을 한다. 특히 에서는 꿈과 자아를 찾기 위해 해상리로 떠나는 여로 형식을 띠는 것에 따라 주인공이 삶을 고뇌하고 찾아 헤매는 과정은 장소의 이동으로 형상화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