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능력 레포트

 1  음악능력 레포트-1
 2  음악능력 레포트-2
 3  음악능력 레포트-3
 4  음악능력 레포트-4
 5  음악능력 레포트-5
 6  음악능력 레포트-6
 7  음악능력 레포트-7
 8  음악능력 레포트-8
 9  음악능력 레포트-9
 10  음악능력 레포트-10
 11  음악능력 레포트-11
 12  음악능력 레포트-12
 13  음악능력 레포트-13
 14  음악능력 레포트-14
 15  음악능력 레포트-15
 16  음악능력 레포트-16
 17  음악능력 레포트-17
 18  음악능력 레포트-18
 19  음악능력 레포트-19
 20  음악능력 레포트-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음악능력 레포트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테스트를 통한 음악능력의 차별화

2. 음악 적성 검사와 음악 성취도 검사
1) 음악 적성 검사
가. 음악 적성의 개념
나. 음악 적성 검사의 종류
다. 대표적인 음악적성검사 연구
(1) The seashore Measures of Musical Talent
(2) Kwalwasser-Dykema Music Test, 1930
(3) The Standarized Test of Musical Intelligence
(4)Music Aptitude Profile (MAP) -E.Gordon
(5)Measurement of Music Auadiation-E.Gordon
5-1)Primary Measurement of Music Auadiation(PMMA)
5-2)Intermediate Measurement of Music Auadiation(IMMA)
5-3)The Advanced Measurement of Music Auadiation(AMMA)

2-2.음악성취도검사
(1)음악성취란?
(2) 음악성취도검사 종류
(3)대표적인 음악성취도검사
1)Music Achievement test-Aliferis(1947)
2)Music Achievement test - Aliferis, stecklein(1962)
3)Music Achievement Test - Snyder Knuth (1965)
4-1)Elementary Music Achievement Test - R.Colwell (1965)
4-2)Silver Burdett Music Competency Tests - R.Colwell((1979)
5)Iowa Tests of Music Literacy (ITML) - E. Gordon(1970)

Ⅲ.결론
본문내용
Ⅰ. 서 론

음악심리학자 Edwin, E, Gordon은 그의 저서 에서 '모든 인간은 음악적인 잠재성을 가지고 있다'고 말한다. 교육의 목표는 개인의 잠재능력을 최대한 발달시키는 것이고, 음악 교육의 목표 또한 모든 인간이 가지고 있는 이 음악적 잠재력을 최대한으로 발달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학생개개인의 음악적 잠재력을 발견하고, 교육을 통해서 각자가 가진 음악적 잠재력을 향상시켜 주는 것은 음악교사의 해야 할 일이다. 또한 학생들의 능력에 관한 정보는, 능력의 측정과 평가에서 더 나아가 각 학생의 개인차에 따른 교수, 교육과정 및 프로그램에 대한 객관적인 근거가 되므로 중요하다.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현재까지는 음악적인 능력이나 잠재력에 대한 정의와 평가가 매우 주관적이고 모호한 기준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경향이 강했다. 따라서 표준화 되어있는 검사들을 통해서 이러한 일들이 이루어진다면 좀 더 객관적이고, 신뢰할 만하다고 하겠다.
20c를 들어서면서부터 거의 한 세기 동안 이러한 음악적 잠재력과 그 능력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그 용어와 그 정의에 대한 많은 논쟁이 있다. 이러한 용어에 대한 개념을 명확히 하고, 이를 바탕으로 조사한 평가도구들의 특징을 파악하여 그 자료의 효율적인 이용을 통하여, 학생개개인의 음악적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시켜주는 데에 이 연구의 목적이 있다.


Ⅱ. 본 론

1. 테스트를 통한 음악능력의 차별화
가치있는 평가도구는 객관적인 테스트 실행이라는 관점에서 시험(test), 측정 (measurement), 평가(evaluation)의 개념을 구분해야 할 필요가 있다. 먼저 ‘시험’은 한 개인의 특수한 과제나 일련의 과제에 대한 행동을 관찰하는 일체의 체계적 절차를 의미한다. ‘측정’은 시험과제를 입증할 수 있는 양의 체계를 포함한다. ‘평가’는 세 가지 용어 중에서 가장 넓은 의미이며, 행동이나 그 밖의 시도와 관련된 자료의 체계적인 수집과 분석, 해석이 포함되어야 한다. 경험 있는 교사와 행정가의 계몽되고 자각 있으며 전문성 있는 판단과 정확한 시험과 측정의 자료 합성은 음악능력의 평가에서 좀 더 좋을 결정을 하게 돕는다.
참고문헌
최은식(1991).『학습 활동의 위계화를 통한 음악 학습 증진 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대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박은실(2004). 『다중 지능 이론에서 본 음악 지능 척도 개발 연구』
조효임, 최은식, 정진원(1996). 『한국 초등학생의 음악 적성에 관한 연구』. 음악 교육연구 제15호. 한국음악교육협회
주대창(2000), 『음악성의 음악 교육적 의미』, 음악과 민족 제 19 호.
한국교육과정 평가원(2002). 『초등학교 음악과 교수. 학습 방법 연구』
김윤희(1997). 『서양음악 적성 검사를 통한 한국음악 적성특정의 가능성에 대해 관한 연구』음악 교육 연구 제16호. 한국음악교육협회
신인숙(1996). 『음악 적성과 성취도 검사를 위한 음악 학습 프로그램 개발』. 음악 교육 연구 제 15호. 한국음악교육협회
박영윤(1995). 『전공자를 위한 음악능력 테스트 개발에 관한 연구』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조효임(1995), 『음악능력의 정의와 평가방법에 관한 고찰』,음악 교육 연구 제 14호. 한국음악교육협회
현경실, 『한국 학생들에 대한 고급 오디에이션 능력검사 사용가능성 조사연구』음악교육연구, 음악교육협회
방금주(1994), 『조기교육을 위한 고든의 음악학습이론』, 음악교육연구 제 13집, 한국음악교육학회,
RICHARD. COLWELL. 『The Evaluation of Music and Learning』
PAUL R. LEHMAN. 『Tests and Measurements in Music』
http://www.chungdong.or.kr(중동학원)
http://amadeusclass.co.kr/education1/contents(아마데우스클래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