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한국방송의 역사

 1  [한국사] 한국방송의 역사-1
 2  [한국사] 한국방송의 역사-2
 3  [한국사] 한국방송의 역사-3
 4  [한국사] 한국방송의 역사-4
 5  [한국사] 한국방송의 역사-5
 6  [한국사] 한국방송의 역사-6
 7  [한국사] 한국방송의 역사-7
 8  [한국사] 한국방송의 역사-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사] 한국방송의 역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서 론


한국 방송의 역사에 대해 논하며 들어가는 말





본 론

(1) 일제 식민지 방송

(2) 미군정기의 방송

(3) 이승만 정권하의 방송

(4) 박정희 정권하의 방송

(5) 전두환 정권하의 방송

(6) 노태우 정권하의 방송







결 론


한국 방송의 대한 맺음말

본문내용
초기에는 한·일 두 나라 말을 혼합하여 방송하는 방송 체제를 이루고 있었지만, 당시 경성방송국의 편성은 일본 방송의 중계를 전제로 한 편성이었다. 이때 순수한 한국어 방송으로는 창이나 민요, 동화 등이 방송되었고 일본어 방송은 주로 뉴스나 경제 상황 보도 등이었다. 그리고 한·일어 혼합 방송으로는 물가 시세 및 일기 예보, 공지사항 등이었다. 또한 50명의 경성방송국 직원 가운데 한국인은 단 5명뿐이었다. 따라서 말이 경성방송국이었지 인원 구성부터 프로그램에 이르기까지 모두 우리나라에 거주하는 일본인을 위한 일본 방송국의 중계소와 다를 바 없었다.
일제는 무력에 의한 억압 통치에서 간접적인 문화 통치로 통치 전략을 수정하면서 그 일환으로 한·일 이중 방송 체제를 추진하였는데 그것은 우리말 전용 방송의 독립을 허용하는 것이었다. 1932년 4월 7일 경성방송국을 사단법인 조선방송협회로 개칭한 것도 그러한 정책 변화의 일환이었다. 이러한 경성방송국의 이중 방송 체제는 한국인의 편리와 필요에서라기보다는 일제의 소위 ‘황국 신민사’, ‘내선 일체’, ‘신전 개발’ 정책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고안이라고 하겠다. 단순한 경제적 이유에서만의 수신기 보급이나 한국인의 문화적 필요에 부응한 제도라기보다는 한국인을 상대로 한 대중적 커뮤니케이션 전략이라고 봐야 할 것이다. 그러나 어쨌든 우리말 방송이 시작되면서 한국인의 라디오 수신기 보유 대수는 급속히 늘어났다. 1932년 이전까지만 해도 6년 동안 거의 증가 없이 300대에 불과했던 라디오 보유 대수가 이중 방송을 하는 1935년 7월부터는 3,663대라는 무려 12배의 급속한 증가율을 나타냈다. 경성방송국을 중앙방송국으로 이름을 바꾸었고, 9월에는 부산방송국을 개국하면서 평양, 함흥, 이리 방송국 등을 차례로 개국하였다.
참고문헌
韓國放送史 - 범우사 이범경 저 ( 1994년 발행본, p489 )
한국방송 70년의 평가와 전망
- 커뮤니케이션 북스 강대인 외 4인 (1997년 발행본, p242)
한국방송의 역사와 전망 - 한울아카데미 조항제 저 ( 2003년 발행본, p403 )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