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제인간] 인간복제 문제

 1  [복제인간] 인간복제 문제-1
 2  [복제인간] 인간복제 문제-2
 3  [복제인간] 인간복제 문제-3
 4  [복제인간] 인간복제 문제-4
 5  [복제인간] 인간복제 문제-5
 6  [복제인간] 인간복제 문제-6
 7  [복제인간] 인간복제 문제-7
 8  [복제인간] 인간복제 문제-8
 9  [복제인간] 인간복제 문제-9
 10  [복제인간] 인간복제 문제-10
 11  [복제인간] 인간복제 문제-11
 12  [복제인간] 인간복제 문제-12
 13  [복제인간] 인간복제 문제-13
 14  [복제인간] 인간복제 문제-14
 15  [복제인간] 인간복제 문제-15
 16  [복제인간] 인간복제 문제-1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복제인간] 인간복제 문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며

2. 더 이상 두려움의 대상만이 아닌 복제인간

3. 복제기술에 대한 이해와 오해
3.1. 복제기술에 대한 간단한 소개
3.2. 복제에 대한 오해
3.2.1. 나와 동일한 인간을 만드는 것이 아닌 복제
3.2.2. 유전병에 관한 오해
3.2.3. 복제의 변수로 작용하는 환경요인

4. 공상과학소설이 아닌 복제 인간
4.1. 공상과학소설의 편견
4.2. 복제 인간도 동동한 권리를 지닌 사람
4.3. 똑같은 나를 만드는 것은 착각

5. 윤리에 관한 문제들
5.1. 개인의 자유 침해
5.2. 최악의 상황에 대한 편견
5.3. 비탈길이론에 관한 오해

6. 인간의 무성생식을 허용하기 위한 논의
6.1. 생식의 개인적 자유
6.2. 유전병으로부터의 자유
6.3. 불임부부의 권리

7. 인류의 삶을 향상시키는 복제
7.1. 종교적 반대의 비합리성
7.2. 열린 시각으로 바라보기

본문내용
우리는 생명과학 윤리 중에서 복제에 대해서 이야기하려고 한다. 1997년 복제양 돌리 탄생 발표를 기점으로 하여 생명복제를 둘러싼 국내의 생명윤리논쟁은 본격화 되었다. 그러나 인간복제에 대한 충분한 논의가 이루어지기 전에 세계 각국은 인간복제를 금지하였다. 인간복제를 둘러싼 공포와 오해를 제거하고 인간복제의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을 비교 분석하여 복제기술이 인류의 복지를 위하여 활용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해볼 필요가 있다.
인간 개체복제는 목적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생각해 볼 수 있으며 이 중에서 특히 양육을 목적으로 한 개체복제는 인간의 존엄성과 평등원칙에 위배되지 않는다. 복제에 대한 과학기술의 안전성이 보다 확립되고 좀 더 나은 질서 체계가 잡힌다면 개체 복제를 굳이 반대할 이유가 없다.
복제인간은 독립된 개체로서 정체성을 가질 것이다. 또한 인간은 생식 방법에 대한 자유를 가진다. 개체복제는 분명 부모의 존엄성을 해치지 않는다. 성행위에만 의미를 부여하여서 개체복제에 반대하는 견해는 옳지 못한 것이다. 현 단계에서 볼 때 동성애자 출산을 위한 목적으로서 복제기술이 이용되지는 않을 것이다. 또한 현 시점에서는 개체복제를 허용하여도 가족제도나 혼인 문제에 크게 혼란이 오지는 않을 것이며 가족에 대한 재정의도 내려 보아야할 시점이다. 이웅희, “개체복제 허용 여부와 허용 기준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법의학 석사 논문, 서론부분에서 인용

안전성이 보장된 상태에서 당사자의 유전자를 이용한 복제는 마땅히 허용되어야 한다.
따라서 지금부터 유전자 조작기술에 대해서 찬반을 따져 보면서 궁극적으로 물을 수 있는 것이 인간복제 문제라고 가정하고 인간복제에 초점을 맞추어 생각해 보려한다.
참고문헌
그레고리 E. 펜스, 『누가 인간복제를 두려워하는가?』, 도서출판 양문, 2001.
그레고리 E. 펜스, 『인간복제 무엇이 문제인가』, 울력, 2002.
구영모, 『생명의료윤리』, 동녘, 2004.
구인회, 『생명윤리의 철학』, 서울 : 철학과 현실사, 2002.
권복규, “배아복제의 윤리적 문제점”, 『대한의료법학회지2』, 2001.
데이비드로비크, 『복제인간』, 사이언스북스, 1997.
박종대 ․ 이태하 ․ 김석수 공저, 『현대인의 삶과 윤리』, 민지사, 2000.
스티븐 제이 굴드 外, 『클론 and 클론』, 도서출판 그린비, 1999.
아마가사 게이스케, 『유전자와 생명복제에 관한 100문 100답』, 고려문화사, 2001.
이승구, 『인간복제 그 위험한 도전』, 예영커뮤니케이션, 2003.
이웅희, “개체복제 허용 여부와 허용 기준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법의학 석사 논문.
이은정, “생명복제를 둘러싼 국내의 생명윤리논쟁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의학논문. 임종식, 『생명의 시작과 끝』, 로뎀나무, 1999.
조홍섭, 『프랑켄슈타인인가 멋진 신세계인가』, 한겨레, 1999.
파브리스 빠삐용, 『인간복제』, 푸른 미디어, 1999.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