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적 시민운동의 가능성

 1  한국적 시민운동의 가능성-1
 2  한국적 시민운동의 가능성-2
 3  한국적 시민운동의 가능성-3
 4  한국적 시민운동의 가능성-4
 5  한국적 시민운동의 가능성-5
 6  한국적 시민운동의 가능성-6
 7  한국적 시민운동의 가능성-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적 시민운동의 가능성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한국적 시민운동의 모습
(1)8.15이전의 한국 시민운동
(2)분단시대의 시민운동
3. 한국의 현실 시민운동의 모습
(1)사상의 뿌리는?
(2)현안에는 제대로 대처
(3) 시민사회단체의 고속성장
(4)"시민없는 시민운동"
(5)'언론 플레이'
4. 한국 시민사회단체의 민주성
5. 결론: 한국 시민운동의 발전방향
본문내용
1. 서론
오늘날 우리사회에 주어진 질문은 “한국적 시민운동은 있는가?”이다. 한국적 시민운동은 한국에 사상의 뿌리를 둔 운동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조선시대에 한국적 시민운동의 뿌리는 경세치용(經世致用), 이용후생(利用厚生) 학파의 등장으로부터 시작된다. 한국적 시민운동의 기원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유형원(柳馨遠), 이익(李翼), 정약용(丁若用)의 실학사상으로부터 동학사상과 개화파, 의병운동의 흐름으로까지 발전해 나간 상황을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아울러 현재의 시민운동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일제 식민통치 기간과 분단과정에 대한 사회와 운동사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이것은 방대한 지식사회학적인 작업이다. 그러나 일단 여기에서는 첫째, 역사적 이념형의 모델을 설정하고, 그것과 비교하는 방식을 취하는 접근방식을 취할 필요성이 있다. 이 방식은 다음과 같은 순서에 따라 진행해야 한다. ①역사적-이념적으로 한국적 시민운동을 설정해야 한다. ②현실에서 전개되는 시민운동의 전개양상을 면밀히 검토해야 한다. ③역사적-이념형의 운동과 현실에서 전개되는 운동을 비교 검토해서, 과연 현실의 운동이 역사적-이념형의 운동을 얼마나 제대로 쫓아가고 있는가에 대해서 결론을 내려야 한다. 둘째, 현실 시민운동이 과연 시민사회 운동의 역사성을 얼마나 ‘계승’하고 있으며, 또한 얼마나 ‘혁신’하고 있는가 하는 것을 살펴봐야 한다. 현재 한국의 시민운동은 과거의 전통은 다소 무시하는 듯이 보여진다. 즉 계승의 측면이 다소 약하게 나타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현재의 모순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지금은 시민운동이 언론의 지지를 강력하게 받고 있다는 점을 중요한 특징이라고 지적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현실 시민운동의 민주성을 살펴 볼 차례이다. 우리는 지금까지의 경험을 통해서 어떤 시민운동도 임시방편적으로 운영이 되었을 경우에는 결국은 심각한 문제점을 파생시킨다는 점을 잘 알고 있다. 그렇다면 시민운동이 지향하는 점이 민주성인 만큼 결국은 스스로 시민단체의 민주성을 시험해 보지 않으면 안될 것이다. 민주성을 제대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일단 회원들의 참여문제, 재정문제를 얼마나 투명하게 공개하고 있는가부터 살펴봐야 할 것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적지 않은 시민단체들이 지금도 회원들의 참여를 봉쇄하면서, 관료주의적인 운영을 해 나가고 있는 현상을 볼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여기서는 시민운동의 장점을 충분히 인정하면서, 잘못된 부분에만 지적하는 내재적 비판론의 관점만을 유지할 것이다.

참고문헌

김광식, 인간을 위하여, 미래를 위하여 서울, 열린세상, 1997
김광식, 한국 NGO, 서울, 동명사, 1999
한국민중사연구회, 한국민중사 I, II, 서울, 풀빛, 1986
민경배, 서울YMCA운동사, 서울, 노출판, 1993
조효제편역, 2000. NGO의 시대, 창작과 비평사.
http://web.kyunghee.ac.kr/~ngo/ 경희대학교 NGO 대학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