갯벌의 기능과 우리의 문제점

 1  갯벌의 기능과 우리의 문제점-1
 2  갯벌의 기능과 우리의 문제점-2
 3  갯벌의 기능과 우리의 문제점-3
 4  갯벌의 기능과 우리의 문제점-4
 5  갯벌의 기능과 우리의 문제점-5
 6  갯벌의 기능과 우리의 문제점-6
 7  갯벌의 기능과 우리의 문제점-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 레포트 > 기타
  • 2006.08.21
  • 7페이지 / hwp
  • 1,200원
  • 36원 (구매자료 3% 적립)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갯벌의 기능과 우리의 문제점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갯벌의 정의

2. 조석의 원인

3. 갯벌의 형성

4. 갯벌의 유형

5. 갯벌의 기능
1) 경제적 가치
2) 자연 정화조의 기능
3) 자연 재해와 기후 조절의 기능
4) 생태적 서식지로서의 기능
5) 문화적 기능

6. 우리나라 갯벌 보전 노력

7. 우리나라 갯벌정책의 문제점

8. 외국의 갯벌 보전 노력
본문내용
1) 경제적 가치

우리 식탁에 오르는 대부분의 수산물은 연안에서 생산된 것이다. 그 중 어류는 어획략으로는 50%, 종류별로는 95%를 차지하며, 게 조개류 등은 거의 100%를 차지한다. 이런 이유 때문에 갯벌의 개발은 수산 자원에 큰 영향을 준다.
예를 들어 새만금 사업 이전, 이 지역의 연안에서 어류는 74종, 이매패류는 15종, 갑각류는 10여 종이 서식하고 있었다. 사업이 진행된 이후, 어류의 어획량이 40% 감소하였는데. 1990년 초반까지 1만여 톤이 생산되었던 이매패류는 1997년경에는 80% 이상 감소하였고, 특히 1천여 톤에 이르던 바지락의 생산량이 60~70톤으로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백합류와 가무락 역시 감소하였다.
갯벌의 수산물 생산 기능의 경제적 가치를 조사한 예를 들어보면 대부도 남리는 286.2ha의 면적에서 22억 원, 영종도 310ha의 면적에서 30억 원, 홍보 지구에서는 781.94ha의 면적에서 73억 원, 군장 지구는 40ha의 면적에서 3억 4천 6백만 원이었다. 4곳의 사례 지구에서 생산되는 연간 총생산액은 128억 원이다. 이런 식으로 우리나라 전체 갯벌의 면적에서 생산되는 수산물의 경제적 가치를 알아보면 엄청날 것이다.

2) 자연 정화조의 기능

인구가 증가하고 산업이 발달하면서 많은 오염 물질이 바다로 흘러 들어가는데, 이렇게 유입되는 오염 물질을 먼저 여과하는 곳이 염습지 식생이나 갯벌이다. 유입된 오염 물질로 인해 바다에 식물성 플랑크톤의 성장을 촉진시키는 무기영양염인 질산염, 인산염, 암모니아 등을 가진 자연수가 풍부해지면 처음에는 생산량을 증가시키지만 나중에는 생물의 순환 체계를 악화시키는 부영양화의 원인이 된다. 염습지 식생이나 갯벌은 이렇게 과잉 공급되는 영양 염류나 오염 물질을 흡수하여 정화하는 데 일익을 담당한다. 즉 갯벌 생태계는 육상 등 외부에서 유입되는 유기물을 분해하고, 분해된 무기영양염을 이용하여 높은 생산성을 유지시킨다. 갯벌의 다양한 생물들은 물 속의 유기물과 영양염(질소, 인)을 섭취하여 갯벌의 수질을 정화하며, 상위 포식자에게 잡아먹혀 수질을 악화시키는 물질을 갯벌에서 제거시키는 구실을 한다.
예를 들어, 해남 간척지에서는 부영양화를 일으킬 수 있는 질소와 인이 1㎡당 연간 각각 497g과 67.9g이 제거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생산성과 이에 따른 정화 능력은 기질과 유기물 함량과 관계가 있는데, 유기물 함량이 높은 지역은 낮은 지역에 비하여 2~10배 이상의 정화 능력이 있다.
갯벌 퇴적물의 깊이별 유기물 분해 능력은 연간 1㎡당 함평 갯벌이 3.0~18.7g, 시화방조제 축조 이전 반월 갯벌이 311~520g, 장항 갯벌이 14.7~15.7g, 대산 갯벌이 2.2~226.7g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의 평균 분해 능력은 연간 1㎡당 30g이며, 이것을 기준으로 우리 나라 전체 갯벌에서 분해되는 유기물의 양을 계산하면 약 21만 톤(생물학적 산소 요구량 22만 톤)이다. 우리 나라 2만 8천여 개의 공장에서 방류하는 생물학적 산소 요구량(BOD)의 소비량이 3만 6천 통이라고 하니 갯벌의 정화 능력이 얼마나 대단한지 짐작할 수 있다.
미국 조지아 대학의 오덤교수에 의하면 갯벌은 1ha당 1일 생물학적 산소요구량 21.7kg을 정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고문헌
1. 갯벌환경과 생물, 2002년 이학곤 아카데미서적
2. 한국의 갯벌(환경, 생물 그리고 인간), 2001년 고철환 서울대학교출판부
3. 갯벌이야기, 2003년 백용해 여성신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