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사와 사택지적비

 1  대통사와 사택지적비-1
 2  대통사와 사택지적비-2
 3  대통사와 사택지적비-3
 4  대통사와 사택지적비-4
 5  대통사와 사택지적비-5
 6  대통사와 사택지적비-6
 7  대통사와 사택지적비-7
 8  대통사와 사택지적비-8
 9  대통사와 사택지적비-9
 10  대통사와 사택지적비-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대통사와 사택지적비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6세기 초 동아시아 국가 정세

2. 양 나라와 백제의 관계

3. 대통사를 둘러싼 기존의 견해

4. 대통사와 법화 사상

5. 백제 사택지적비와 그 역사적 의의

6. 법화경의 계보를 통해 살펴본 백제 왕권강화와 사택지적

7. 주요 의문과 우리의 견해

8. 맺음말

본문내용
9 -
1. 6세기 초 동아시아 국가 정세
6세기 초 한반도의 정세는 고구려가 우위를 잡고 있었다. 이 시기 고구려는 중국대륙을 둘로 나누고 있던 북위와 우호적인 관계를 맺고 남진정책으로 한강유역을 획득하고 백제와 신라에 압박을 가하고 있었다. 한강유역을 빼앗긴 백제는 웅진천도 이후 한성 함락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과 왕실의 권위회복을 위한 방편의 하나로 대 남조 교섭을 적극적으로 시도하였다.
그중 남조의 양과의 교섭이 활발하게 이루어졌음을 문헌적으로도 확인되고 있는데, 성왕이 양나라에 사신을 파견하여 모시박사와 등의 경의(經義)에 밝은 학자 및 공장ㆍ화사를 요청하여 실현된 것이라든지, 그 뒤 강례박사(講禮博士)를 청하자 육후(陸詡)가 백제로 온 사실 등은 양나라와의 관계가 매우 긴밀하였음을 짐작하게 한다. 이는 사찰의 경우 남조식 가람배치가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고, 무령왕릉 또한 묘제 특유의 보수적 성향에도 불구하고, 양나라 건축분의 영향을 받아 조영되었다. 이는 기층문화 기반인 한강유역을 상실한 백제 왕실이 단절된 문화적 공백을 선진적인 남조문화로써 메워 그 취약한 기반을 극복하려 하는 왕실의 권위회복을 위한 방안에서 추진하였다 이도학, [새로쓰는 백제사] (푸른 역사, 1997) p.332~3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