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근세사] 조선 전기 효도휴가와 특별휴가

 1  [한국근세사] 조선 전기 효도휴가와 특별휴가-1
 2  [한국근세사] 조선 전기 효도휴가와 특별휴가-2
 3  [한국근세사] 조선 전기 효도휴가와 특별휴가-3
 4  [한국근세사] 조선 전기 효도휴가와 특별휴가-4
 5  [한국근세사] 조선 전기 효도휴가와 특별휴가-5
 6  [한국근세사] 조선 전기 효도휴가와 특별휴가-6
 7  [한국근세사] 조선 전기 효도휴가와 특별휴가-7
 8  [한국근세사] 조선 전기 효도휴가와 특별휴가-8
 9  [한국근세사] 조선 전기 효도휴가와 특별휴가-9
 10  [한국근세사] 조선 전기 효도휴가와 특별휴가-10
 11  [한국근세사] 조선 전기 효도휴가와 특별휴가-11
 12  [한국근세사] 조선 전기 효도휴가와 특별휴가-12
 13  [한국근세사] 조선 전기 효도휴가와 특별휴가-13
 14  [한국근세사] 조선 전기 효도휴가와 특별휴가-14
 15  [한국근세사] 조선 전기 효도휴가와 특별휴가-15
 16  [한국근세사] 조선 전기 효도휴가와 특별휴가-16
 17  [한국근세사] 조선 전기 효도휴가와 특별휴가-17
 18  [한국근세사] 조선 전기 효도휴가와 특별휴가-18
 19  [한국근세사] 조선 전기 효도휴가와 특별휴가-19
 20  [한국근세사] 조선 전기 효도휴가와 특별휴가-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근세사] 조선 전기 효도휴가와 특별휴가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I. 머리말 ........................................... 1


II. 효도휴가 .......................................... 2

1. 종류, 규정 및 정비과정
2. 운영실태


III. 특별휴가 ........................................... 12

1. 학업휴가
2. 특명휴가
3. 출산휴가
4. 재해휴가


Ⅳ. 맺음말 ............................................ 23


Ⅴ. 참고문헌 ........................................... 26

본문내용
I. 머리말

조선시대는 유교를 국가이념을 삼았던 만큼 효를 매우 중시하였다. 그래서 부모에게 효도하는 것은 국가적 도덕규범이었으므로 국가는 효의 실천을 적극적으로 지원했다. 그의 한 방편으로 국가가 구체적으로 효도를 실행할 수 있도록 권장한 것이 바로 효도 휴가이다. 효도 휴가란 말 그대로 효를 위한 휴가라는 뜻인데, 여기서 우리가 다루고자 하는 것은 부모를 찾아뵙는 일 가운데 부모의 병과 관련된 사항을 제외한 나머지이다. 부모의 병가에 관한 내용은 ‘병가’조에서 다루고 있기에 우리는 정기적으로 혹은 영광된 일이 있는 경우에 부모를 찾아뵙는 일만 다루고자 한다. 이에 해당되는 구체적인 효도 휴가는 정기적으로 부모를 뵈러 가는 근친, 부모의 묘를 찾아가서 무덤을 깨끗이 하고 제사를 지내는 소분, 과거에 급제한 후 잔치를 열어 부모를 영광되게 하는 영친이다. 우리는 다음에서 효도휴가의 종류, 규정 및 운영실태를 근친, 소분, 영친의 순서대로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조선 전기의 중심 이념과 사회상을 알아볼 것이다.
이와 관련한 선행 연구는 2005년의「갑순이 연구」가 있다. 그러나 갑순이 연구는 근친과 관련한 휴가만을 중점적으로 언급하여 소분이나 영친에 있어서의 휴가제는 소략하게 다룬 부분이 있었다. 이에 우리는 이미 언급된 내용 중에 중요한 부분은 요약하여 싣고 미처 발견하지 못한 내용을 중점적으로 알아보도록 하겠다.
특별휴가는 조선시대 휴가의 종류를 구별할 때 비교적 그 경계와 규정이 명확한 병가, 혼․상․제 휴가, 그리고 효도휴가를 제외한 것으로 특별한 목적을 위해 주어진 것이다. 이에는 학업휴가, 특명휴가, 출산휴가, 재해휴가가 있는데 학업휴가를 제외하고는 관련된 사례가 적고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하지만 특명휴가 중 통치의 안정화를 위한 포상휴가나 민생 복지적 성격의 출산 ․ 재해휴가는 조선 초 세종의 통치와 맞물려 그 시대의 사회상을 짐작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학업휴가는 새로운 사회변동에 놓인 조선 초의 역동성을 인재양성과 학업진작을 통하여 살펴볼 수 있다.

참고문헌
1. 사료
《고려사》
《조선왕조실록》
《경국대전》

2. 단행본
박영규,《세종대왕과 그의 인재들》, 들녘, 2002
박영규,《한권으로 읽는 조선왕조실록》, (웅진)지식하우스, 개정증보판, 2005 (초판1쇄
2004).

3. 논문
갑돌이, , 2005
갑순이, , 2005
김상기, , 「진단학보」17호, 1955
김중권, , 「서지학연구」14호, 1997
서범종, , 「한국교육학연구」제9권 제2호,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