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과 사회] 이광수와 동학 -거룩한 죽음을 중심으로

 1  [문학과 사회] 이광수와 동학 -거룩한 죽음을 중심으로-1
 2  [문학과 사회] 이광수와 동학 -거룩한 죽음을 중심으로-2
 3  [문학과 사회] 이광수와 동학 -거룩한 죽음을 중심으로-3
 4  [문학과 사회] 이광수와 동학 -거룩한 죽음을 중심으로-4
 5  [문학과 사회] 이광수와 동학 -거룩한 죽음을 중심으로-5
 6  [문학과 사회] 이광수와 동학 -거룩한 죽음을 중심으로-6
 7  [문학과 사회] 이광수와 동학 -거룩한 죽음을 중심으로-7
 8  [문학과 사회] 이광수와 동학 -거룩한 죽음을 중심으로-8
 9  [문학과 사회] 이광수와 동학 -거룩한 죽음을 중심으로-9
 10  [문학과 사회] 이광수와 동학 -거룩한 죽음을 중심으로-10
 11  [문학과 사회] 이광수와 동학 -거룩한 죽음을 중심으로-11
 12  [문학과 사회] 이광수와 동학 -거룩한 죽음을 중심으로-12
 13  [문학과 사회] 이광수와 동학 -거룩한 죽음을 중심으로-13
 14  [문학과 사회] 이광수와 동학 -거룩한 죽음을 중심으로-14
 15  [문학과 사회] 이광수와 동학 -거룩한 죽음을 중심으로-15
 16  [문학과 사회] 이광수와 동학 -거룩한 죽음을 중심으로-16
 17  [문학과 사회] 이광수와 동학 -거룩한 죽음을 중심으로-1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문학과 사회] 이광수와 동학 -거룩한 죽음을 중심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머리말
1) 자금까지의 연구
2) 춘원과 동학과의 관계

2. 본 말
1) 작품 내용과 구성
2) 작품과 사실과의 관계
2.1) 등장인물
2.2)체포
2.3)순교
3)작품에 반영된 수운사상
3.1)시천주사상
3.2)개벽사상

3.맺음말

#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광수 (李光洙) 1892 평북 정주~1950. 10. 25 자강도 강계.
시인·소설가·문학평론가·사상가.
한국근대문학의 선구자로 계몽주의·민족주의 문학가 및 사상가로 한국 근대정신사의 전개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본관은 전주. 아명은 보경(寶鏡). 호는 춘원(春園)·고주(孤舟)·외배.)

생애와 활동

아버지 종원(鍾元)과 어머니 충주김씨의 3남매 중 외아들로 태어났다. 5세에 한글과 천자문을 깨치고 8세에 동네 서당에서 한학을 배웠다. 가세가 기울자 담배장사를 하던 중 11세에 콜레라로 부모를 여의고 먼 친척집에 맡겨졌으며 어렵게 기식하면서 고대소설에 흥미를 갖게 되었다. 1903년 동학에 입도해 박찬명 대령 집에 머무르며 심부름하다 1905년 천도교와 관련된 일진회의 유학생으로 일본에 건너갔다. 타이세이[大成] 중학교에 입학해 신학문에 접하고 홍명희·최남선 등과 사귀었고, 1906년 학비 곤란으로 일단 귀국했다가 이듬해 다시 건너가 장로교 계통의 메이지[明治] 학원 중학교 3학년에 편입, 미션 학교 분위기 속에서 그리스도교와 톨스토이의 인도주의에 심취했다.
참고문헌
* 김동인[춘원연구](춘호사,1956)

* 구인환 [이광수 사상의 원류],[이병주선생회갑기념논총](이우출판사,1981)
구인환,[이광수소설의 문학적 공간][한국현대소설사연구](민음사,1985)135쪽

* 최원식 [이광수와 동학][백사 전광용 박사 회갑 논문집] 최원식,[동학소설연구]
[논문집]40,1980
* 동학소설 : 본격적인 의미의 최초의 동학소설은 1911년 천도교월보에 발표된 오상준의 [화악산]이라 할 수 있으며, 이는 포덕과 박해를 담은 단편소설이다.(강인수,“신소설[화악산]에 관한 연구”, 부산개방대 논문집 26집,1984)

* 이광수 연보 (이광수 전집 별권, 노양환편 삼중당 1971)를 참조해보면 춘원이 1922년지에 ‘민족개조론’을 실어 필화사건이 일어나자 한때 문필권에서 제외 데다 시피 했는데 1923년 송진우 사장의 추천으로 단편[가실]을 Y생이란 익명으로 동아일보에 연재하였고, 안도산을 그린 장면[선도자]를 장백산이라는 아호로 동아일보에 연재를 시작함과 동시에에 [거룩한 죽음] 을 장백이란 필명으로 게재하였다.

* 노양환 편,[춘원연보][이광수전집]별권(삼중당,1971)152~153쪽

* [다난한 반생의 도정] 1936년지 4월~6월호

* [나의고백], [이광수 전집] 13,185쪽에 [나는 이 기회에 동학이 나에게 준 영향을 말하고 싶다. 내가 동학에 입도한 것은 열 두 살 적 겨울이었거니와, 나를 동학에 끌어넣은 이가 승이달이라는 유식한 선비 두목이었기 때문에 동학의 교리를 잘 들었고, 또 박찬명 두목의 서기로 있어 동경과 서울에서 도인들에게 오는 모든문서를 베껴서 각지로 돌리는 일과 입으로 전하는 일을 하였기 때문에 동학의 이론적 내용과 도인의 실천하는 일상생활을 볼 기회도 많았다.

* [나의고백] [이광수전집]13,188쪽
* [나의 고백] 앞의 책,186~188쪽

*홍사중,[역사와 문학] 2호,1981, 249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