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문학사] 모더니즘 시운동의 문학사적 의의

 1  [현대문학사] 모더니즘 시운동의 문학사적 의의-1
 2  [현대문학사] 모더니즘 시운동의 문학사적 의의-2
 3  [현대문학사] 모더니즘 시운동의 문학사적 의의-3
 4  [현대문학사] 모더니즘 시운동의 문학사적 의의-4
 5  [현대문학사] 모더니즘 시운동의 문학사적 의의-5
 6  [현대문학사] 모더니즘 시운동의 문학사적 의의-6
 7  [현대문학사] 모더니즘 시운동의 문학사적 의의-7
 8  [현대문학사] 모더니즘 시운동의 문학사적 의의-8
 9  [현대문학사] 모더니즘 시운동의 문학사적 의의-9
 10  [현대문학사] 모더니즘 시운동의 문학사적 의의-10
 11  [현대문학사] 모더니즘 시운동의 문학사적 의의-11
 12  [현대문학사] 모더니즘 시운동의 문학사적 의의-12
 13  [현대문학사] 모더니즘 시운동의 문학사적 의의-13
 14  [현대문학사] 모더니즘 시운동의 문학사적 의의-14
 15  [현대문학사] 모더니즘 시운동의 문학사적 의의-15
 16  [현대문학사] 모더니즘 시운동의 문학사적 의의-16
 17  [현대문학사] 모더니즘 시운동의 문학사적 의의-17
 18  [현대문학사] 모더니즘 시운동의 문학사적 의의-18
 19  [현대문학사] 모더니즘 시운동의 문학사적 의의-19
 20  [현대문학사] 모더니즘 시운동의 문학사적 의의-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현대문학사] 모더니즘 시운동의 문학사적 의의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 目 次 》

Ⅰ. 序論 ……………………………………………………………………… 2

Ⅱ. 1930年代 모더니즘 詩運動 …………………………………………… 2
1. 1930年代 모더니즘의 登場 背景 …………………………… 2
2. 1930年代 모더니즘의 展開 樣相 …………………………… 3

Ⅲ. 1930年代 代表的 모더니즘 詩人과 作品 …………………………… 5
1. 鄭芝溶 …………………………………………………………… 5
2. 金起林 …………………………………………………………… 8
3. 金光均 …………………………………………………………… 12
4. 白 石 …………………………………………………………… 14
5. 李 箱 …………………………………………………………… 17

Ⅳ. 結論 - 1930年代 모더니즘 詩運動의 文學史的 意義 ……………… 19

* 參考文獻 …………………………………………………………………… 21
* 役割分擔 …………………………………………………………………… 22
본문내용
Ⅰ. 序論

1930년대는 韓國詩史에 있어서 괄목할 만한 성장을 이루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 시기는 韓國詩史에서 중요한 전환기에 해당되는데, 현대시에 대한 의식이 다양한 시 이론과 시 창작으로 나타나면서 전 시대와는 다른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었기 때문이다.
1930년대 우리 문단은 일반적으로 純粹詩, 모더니즘시, 生命派, 靑鹿派 등의 純粹文學的 詩들이 주된 경향을 이룬다. 일본 유학파가 증가하면서 국내에 서구의 文學思潮가 유입되고, 20년대 이념 시에 대한 비판적 성찰이 제기되면서 시의 예술성을 회복하고자 하는 움직임을 보이게 된 것이다. 1920년대 시는 중반까지 주로 感傷的․浪漫主義的 색채를 벗어나지 못했던 반면, 후반에 들어서서는 계급주의 이데올로기를 앞세우면서 시의 예술성보다는 정치성과 사상성을 앞세운 프로시들이 주류를 이루었다. 이는 시를 계급투쟁, 이념 실천을 위한 도구로 전락시키고 마는 결과를 가져왔다. 1930년대의 시는 이와 같이 그동안 이념성과 목적성에 의해 훼손되었던 시의 예술성과 자율성을 회복하고자 하는 지향에서 출발된다. 정치나 이념적 수단으로 변질되었던 시의 본질적 가치를 회복하고자 하는 기본적 지향성을 일관되게 지니고 있었던 것이다.
여기서는 특히 30년대 이루어진 모더니즘 詩運動이 갖는 문학사적 의미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본래 ‘모더니즘’이란 중세의 권위 중심, 봉건성, 제도 우선주의에 대한 상대 개념으로, 넓은 의미로는 과학이나 합리성을 중시하고 널리 근대화를 지향하는 것을 말하고, 좁은 의미로는 기계 문명과 도회적 감각을 중시하여 현대풍을 추구하는 것을 뜻한다. 실상 모더니즘은 문화권이나 시기에 따라 다른 양상으로 전개되는 역사적인 개념이지만 일반적으로 印象主義나 象徵主義를 시작으로 전개되는 일련의 이미지즘, 立體派, 超現實主義 등을 총칭하는 것으로 이해되는 것이 보통이다.
모더니즘이 한국 시단에 등장하기 시작한 것은 1920년대부터이지만, 본격적으로 진행된 것은 30년대의 일이다. 따라서 우리는 1930년대의 社會的, 文學的 背景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모더니즘의 展開樣相을 살펴보고, 모더니즘 詩運動이 갖는 의미를 고찰하고자 한다.

참고문헌
1. 고명수, 『한국 모더니즘 시인론』, 문학아카데미, 1995
2. 고형진, 『백석』, 새미, 1996
3. 김기림, 「1933년 시단의 회고」,『김기림 전집 2』, 심설당, 1988
4. 김영익, 『백석 시문학 연구』, 충남대학교 출판부, 2000
5. 김용직, 『한국 현대시 연구』, 일지사, 1979
6. 김윤식 ․ 김우종 외, 『한국 현대 문학사』, 현대문학, 1989
7. 김윤식, 『한국 현대 문학사』,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2
8. 김명옥, 『한국 모더니즘 시인 연구』, 한국문화사, 2000
9. 김학동, 『김기림연구』, 새문사, 1988
10. 김학동, 『정지용 연구』, 민음사, 1997
11. 김학동 외, 『김광균 연구』, 국학자료원, 2002
12. 박민수, 「현대시의 리얼리즘과 모더니즘」,김용직,『모더니즘연구』.자유세계. 1993
13. 서준섭, 『한국 모더니즘 문학 연구』, 일지사, 1988
14. 서준섭, 「한국문학에서의 모더니즘」, 김윤식 외『한국문학의 리얼리즘과 모더니즘』, 민음사, 1989
15. 송욱, 「정지용, 즉 모더니즘의 자기 부정」,『시학평전』, 일조각 , 1963
16. 신동욱 외, 『한국 현대문학사』,집문당, 2004
17. 이승훈 『한국 모더니즘 시사』, 문예출판사, 2003
18. 이승훈 『이상』, 건국대학교 출판부, 1997
19. 정순진, 『김기림』, 새미, 1999
20. 정한숙, 『현대한국문학사』, 고려대학교출판사,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