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근대사] 친일파

 1  [한국근대사] 친일파-1
 2  [한국근대사] 친일파-2
 3  [한국근대사] 친일파-3
 4  [한국근대사] 친일파-4
 5  [한국근대사] 친일파-5
 6  [한국근대사] 친일파-6
 7  [한국근대사] 친일파-7
 8  [한국근대사] 친일파-8
 9  [한국근대사] 친일파-9
 10  [한국근대사] 친일파-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근대사] 친일파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 . . 1
2. 본론
2-1. 기존 친일파 연구의 시선 . . . 1
2-2. 친일파에 대한 기존연구의 결과론적 비판과 모순 . . . 4
2-3. 친일과 민족개량주의 . . . 5
2-4. 친일파로 돌아선 민족개량주의자들에 대한 재조명의
필요성과 활동사례 . . . 7
3. 결론 . . . 9
4. 참고문헌 . . . 10
본문내용
1.서론

식민지에서 해방된 나라로서 식민지 시기의 반민족적 범죄와 유산을 청산하는 것은 반드시 필요한 일이다. 유럽 국가들도 나치에 협력한 자들의 문제를 일찍이 해결하였고, 북쪽에서도 이러한 문제들은 국가 수립과 함께 해결되었다. 유독 우리나라에서만 친일파 청산의 문제가 독립과 국가 수립이라는 계기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청산되지 못한 채 지금까지 이어져 오게 되었다.
60년이 지난 지금에서라도 친일파 청산의 필요성이 사회 전반적으로 확산된 것은 분명 반길 일이다. 그러나 그것이 나아가는 방향에 대해서는 의문이 드는 것은 사실이다. 친일을 택한 이유나 목적은 무시되고 친일을 했다는 결과만으로 그 모두를 친일파라는 한 단어로 규정짓고 청산의 대상으로 여기고 있다. 아버지나 할아버지가 친일 활동을 했다는 사실 때문에 아들과 손자가 사회의 적으로 여겨지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방향에 누군가가 의문을 던지면 그 사람은 반민족적이라는 단어와 함께 지탄의 대상이 된다.
대통령에서부터 10대 청소년들까지, 우리 국민 대다수가 지니고 있는 친일파에 대한 이러한 인식은 우리조로 하여금 문제의식을 갖게 하는 계기로 작용하였다. 과연 친일파는 무조건 우리 모두의 적인가, 또한 그들은 정말 우리 사회에 기여한 바 하나 없이 자신들의 안위를 위해서만 친일을 하였는지 의문이 들었다. 우리는 친일파라는 이유 하나로 그 모든 것을 무시하기 보다는 잘못된 점은 비판하되 잘한 점은 인정해주는, 이성적이고 합리적인 자세와 함께 균형 잡힌 역사인식을 갖출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 유영렬, 『한국근대사의 탐구』, 경인문화사, 2006
 민족문제연구소, 『한국근현대사와 친일파 문제』, 아세아문화사, 2000
 임종국, 『日帝侵略과 親日派』, 청사, 1982
 김삼웅, 정운현 공저, 『친일파 2』, 학민사, 1992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일제의 식민지배와 일상생활』, 혜안, 2004
 민족문제연구소, 『친일파란 무엇인가』, 아세아문화사, 1997
 방기중, 『일제하 지식인의 파시즘체제인식과 대응』, 혜안, 2005
 신용하, 『일제식민지 근대화론 비판』, 문학과 지성사, 1998
 반민족문제연구소, 『친일, 그 과거와 현재』, 아세아 문화사, 1994
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식민지근대화론의 이해와 비판』, 백산서당, 2004
 공제욱 외, 『식민지의 일상 지배와 균열』, 문화과학사, 2006
 김상웅 외, 『친일파-그 인간과 논리』, 학민사, 1990
 강만길, 『고쳐쓴 한국현대사』, 창작과 비평사, 1984
 김상태, 『윤치호 일기』, 역사비평사, 2001
 반민족문제 연구소, 『친일파 99인』, 돌배게, 1993
 역사문제연구소, 『인물로 보는 친일파 역사』, 역사비평사, 1993
 김상태, 「일제하 윤치호의 내면세계 연구」,『역사학보』165, 2000
 양현혜,『윤치호와 김교신』, 한울, 1994
 유영렬, 『개화기의 윤치호 연구』, 한길사, 19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