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만중과 구운몽] 서포 김만중과 구운몽의 작품 분석

 1  [김만중과 구운몽] 서포 김만중과 구운몽의 작품 분석-1
 2  [김만중과 구운몽] 서포 김만중과 구운몽의 작품 분석-2
 3  [김만중과 구운몽] 서포 김만중과 구운몽의 작품 분석-3
 4  [김만중과 구운몽] 서포 김만중과 구운몽의 작품 분석-4
 5  [김만중과 구운몽] 서포 김만중과 구운몽의 작품 분석-5
 6  [김만중과 구운몽] 서포 김만중과 구운몽의 작품 분석-6
 7  [김만중과 구운몽] 서포 김만중과 구운몽의 작품 분석-7
 8  [김만중과 구운몽] 서포 김만중과 구운몽의 작품 분석-8
 9  [김만중과 구운몽] 서포 김만중과 구운몽의 작품 분석-9
 10  [김만중과 구운몽] 서포 김만중과 구운몽의 작품 분석-10
 11  [김만중과 구운몽] 서포 김만중과 구운몽의 작품 분석-11
 12  [김만중과 구운몽] 서포 김만중과 구운몽의 작품 분석-12
 13  [김만중과 구운몽] 서포 김만중과 구운몽의 작품 분석-13
 14  [김만중과 구운몽] 서포 김만중과 구운몽의 작품 분석-1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김만중과 구운몽] 서포 김만중과 구운몽의 작품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김만중의 생애
2. 저작동기
3. 시대적 배경
4. 구운몽의 연구사
5. 구운몽 줄거리
6. 구운몽의 기본사상 및 주제
7. 몽유록과 구운몽
1) 몽유전기소설(夢遊傳奇小說) : 13세기 ~ 16세기 중엽
2) 몽유록(夢遊錄) : 16세기 중엽 ~ 17세기 말엽
3) 몽유장편소설(夢遊長篇小說) : 17세기 말 ~ 19세기
4) 애국계몽기의 몽유록(夢遊錄)
8. 작품의 구조
9. 구운몽의 창조적 변용
10. 구운몽의 줄거리 및 개요
11. 구운몽의 한계점

본문내용
김만중(金萬重, 1637~1692)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소설가로 본관은 광산(光山), 아명(兒名)은 선생(船生), 자(字)는 중숙(重叔), 호는 서포(西浦), 시호(諡號)는 문효(文孝)이다. 조선조 예학(禮學)의 대가인 김장생(金長生)의 증손이고, 충렬공(忠烈公) 익겸(益謙)의 유복자이며, 숙종의 장인인 광성부원군(光城府院君) 만기(萬基)의 아우로서, 숙종대왕의 초비(初妃)인 인경왕후(仁敬王后)의 숙부이다. 그의 어머니 해평 윤씨는 인조의 장인인 해남부원군(海南府院君) 윤두수(尹斗壽)의 4대손이고 영의정을 지낸 문익공(文翼公) 방(昉)의 증손녀이며, 이조참판 지(遲)의 따님이다.
또한 사계 김장생의 증손으로 인조 15년에 태어나 벼슬은 병조판서를 지냈고, 현종 14년 9월 허적의 파직을 주장했다가 현종의 진노를 사고 금성으로 정배된 것을 첫 번으로 하여 숙종 13년 언사의 죄로 선천에 귀향갔고 숙종 15년 인현왕후 민씨 폐출의 화에 관하여 부당함을 주장하다가 남해에 장찬되었다가 2년 뒤에 적소에서 56세로 선화하였다. 그의 정치생활은 노론의 중진으로 활약하였다. 그리고 그는 문학에 대한 이해도 깊었던 양반 관료의 대학자였다. 이러한 서포가 말년에 심각한 정치적 패배를 통해 좌절을 느끼고 불도의 설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는데, 이것은 정신적 안식처의 모색이라고 할 수 있다.
그는 유교적 사유체계에서 도불적 사유체계로 옮겨졌다고 할 수 있는데 은 바로 이러한 사유체계의 전이과정에서 나타나는 갈등의 자기 극복적 모습을 보여 준 것이 아닌가 한다.

2. 저작동기

저작 동기에 대해서 조동일은 김만중이 사대부에 영합하는 대신에 흥미로운 소설을 원하는 독자들을 위해 지었다고 했으나 대부분의 학자들은 陶庵(도암) 李縡(이재, 1680~1746)의 글을 근거로 효성이 지극했던 작자가 어머니를 위로하기 위해 지었다는 데에 입을 모으고 있다. 이에 대해 이화형은 선비의 아내로서, 어진 어머니로서 어렵게 살아온 어머니의 삶을 정당화시키기 위한 김만중의 지혜였다고 덧붙이고 있으며, 김병국은 ‘ 작품의 그 화려한 환상과 꿈과 탐미의 원천적 소재는, 서포의 뇌리에 형성된 어머니의 심상이었다’고 하면서 ‘爲大夫人(위대부인)’설을 지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