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가] 향가 심층 고찰

 1  [향가] 향가 심층 고찰-1
 2  [향가] 향가 심층 고찰-2
 3  [향가] 향가 심층 고찰-3
 4  [향가] 향가 심층 고찰-4
 5  [향가] 향가 심층 고찰-5
 6  [향가] 향가 심층 고찰-6
 7  [향가] 향가 심층 고찰-7
 8  [향가] 향가 심층 고찰-8
 9  [향가] 향가 심층 고찰-9
 10  [향가] 향가 심층 고찰-10
 11  [향가] 향가 심층 고찰-11
 12  [향가] 향가 심층 고찰-12
 13  [향가] 향가 심층 고찰-13
 14  [향가] 향가 심층 고찰-14
 15  [향가] 향가 심층 고찰-15
 16  [향가] 향가 심층 고찰-16
 17  [향가] 향가 심층 고찰-17
 18  [향가] 향가 심층 고찰-18
 19  [향가] 향가 심층 고찰-1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향가] 향가 심층 고찰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며
Ⅱ. 향가의 작가
Ⅲ. 향가의 율격
Ⅳ. 향가의 민요적 성격과 민요적 향가
1. 향가의 민요적 성격
2. 민요적 향가
Ⅴ. 향가의 사상적 배경
1. 불교의 유입
2. 신라 불교의 특징
Ⅵ. 작품 분석
1. 서동요
2. 헌화가
3. 처용가
4. 풍요
5. 도솔가
6. 안민가
7. 제망매가
8. 원앙생가
9. 도천수대비가
10. 찬기파랑가
11. 혜성가
12. 우적가
본문내용
향가란 본래 중국의 노래에 대한 ꡐ우리의 노래ꡑ를 뜻하는 명칭으로, 보다 좁은 의미로는 신라 시대부터 고려 초기까지 향찰식 문자로 지어진 노래 전반을 총칭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향가는 달리 ꡐ詞腦歌ꡑ, ꡐ詩內歌ꡑ, ꡐ思內樂ꡑ 등으로도 지칭된다.
향가는 4?8?10구체가 있는데, 4구체는 이름없는 사람들이 지어 부른 민요풍의 노래이고, 8?10구체는 불교적 귀족 문화를 배경으로 고도의 서정을 노래한 서정 가용이다. 특히 10구체 향가는 통일신라 시대의 문화적 관록이 고도로 양식화된 것으로서 향가의 완성형이라 일컬어지며, 이것이 ꡐ사뇌가ꡑ라는 하나의 장르 개념으로 이해되기도 한다.
현존하는 향가는 에 실린 14수와 에 실린 11수를 합하여 모두 25수이며, 12세기 초 고려 예종이 지었다는 와 정서가 지은 을 각각 그 문자와 형식의 유사성을 근거로 하여 향가의 잔영으로 파악하고 있다.
향가의 작가는 대부분 승려나 화랑 등으로 보이며 그 내용 역시 불교적 색채가 짙은 것이 많다. 진성여왕대에 각간 위홍과 대구 화상이 이라는 향가집을 편찬했다는 기록이 있을 뿐 현전하는 향가집은 없다. 소재 향가는 대부분 그 배경 설화와 함께 전승되고 있어 노래 자체의 올바른 해석을 위해 설화와의 관련성 여부가 논란거리로 대두되기도 한다.
통일신라 시대에 꽃핀 불교적 귀족문화를 배경으로 민족 문학으로서의 개성을 지니고, 사상이나 내용 면에서 고대 시가와는 다른 일정한 수준을 보여 주었다는 데에 향가의 문학사적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Ⅱ. 향가의 작가

작자층은 왕, 장안 사녀(士女), 노인, 부녀자, 화랑, 승려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화랑은 신체단련뿐만 아니라 예능도 중요한 덕목으로 삼았다. 그리고 그들의 정신적?종교적 지도자로 승려들이 있었다. 따라서 화랑과 승려는 향가의 주 작가층이었다. 작가가 화랑이자 승려인 경우도 드물지 않은데, 〈혜성가〉를 지은 융천사(融天師)는 화랑의 지도자였던 승려이다. 〈도솔가〉?〈제망매가 祭亡妹歌〉를 지은 월명사(月明師)는 피리를 잘 분 예능인이며 국선(國仙)에 속하는 승려이다. 〈찬기파랑가 讚耆婆郞歌〉를 지은 충담사(忠談師)도 화랑인 기파랑을 찬양하여, 화랑도와 무관하지 않은 승려로 보인다. 승려 중에서 균여대사만 당대에 이름난 고승이고 나머지는 〈삼국유사〉 이외의 문헌에 이름이 보이지 않는다. 작가의 작명법(作名法)에서 특징적인 점은 대부분 그 배경설화와 연관되어 이름이 붙여져 있다는 것이다. 하늘의 변괴를 없앴다 하여 융천사, 피리를 잘 불어 지나가던 달도 멈추었다 하여 월명사, 임금께 치국안민(治國安民)의 도를 말했다 하여 충담사, 눈을 뜨게 해달라는 기도의 노래를 지었다 하여 희명(希明), 도적들도 익히 그 명성을 알고 있을 정도로 향가를 잘 지었다 하여 영재(永才), 임금과 자신 간의 신의 및 임금에 대한 연모의 정을 노래했다 하여 신충(信忠) 등과 같이 이름에 설화의 내용이 수용되어 있다. 따라서 향가 작가의 상당수는 실존인물이 아니라 설화상의 가공인물일 것이라고 보는 견해도 있다. 그러나 이들이 실존하지 않았다고 보기는 어려우며, 이름이 별로 알려진 인물들이 아니었기 때문에 설화와 어울려 구전되는 과정에서 본명이 유실된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