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비평] 환유되는 사랑의 은폐된 지점 -방현희의 `바빌론 특급우편`과 `말해줘, 미란`을 중심으로

 1  [현대비평] 환유되는 사랑의 은폐된 지점 -방현희의 `바빌론 특급우편`과 `말해줘, 미란`을 중심으로-1
 2  [현대비평] 환유되는 사랑의 은폐된 지점 -방현희의 `바빌론 특급우편`과 `말해줘, 미란`을 중심으로-2
 3  [현대비평] 환유되는 사랑의 은폐된 지점 -방현희의 `바빌론 특급우편`과 `말해줘, 미란`을 중심으로-3
 4  [현대비평] 환유되는 사랑의 은폐된 지점 -방현희의 `바빌론 특급우편`과 `말해줘, 미란`을 중심으로-4
 5  [현대비평] 환유되는 사랑의 은폐된 지점 -방현희의 `바빌론 특급우편`과 `말해줘, 미란`을 중심으로-5
 6  [현대비평] 환유되는 사랑의 은폐된 지점 -방현희의 `바빌론 특급우편`과 `말해줘, 미란`을 중심으로-6
 7  [현대비평] 환유되는 사랑의 은폐된 지점 -방현희의 `바빌론 특급우편`과 `말해줘, 미란`을 중심으로-7
 8  [현대비평] 환유되는 사랑의 은폐된 지점 -방현희의 `바빌론 특급우편`과 `말해줘, 미란`을 중심으로-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현대비평] 환유되는 사랑의 은폐된 지점 -방현희의 `바빌론 특급우편`과 `말해줘, 미란`을 중심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사회적으로 태어나지 못한 남자들
2. 변장된 무의식의 세계
3. ‘미란’에 대한 끝없는 천착
4. 방현희 소설의 병리적 설득력
본문내용
환유되는 사랑의 은폐된 지점
-방현희의「바빌론 특급우편」과「말해줘, 미란」을 중심으로-


1. 사회적으로 태어나지 못한 남자들

방현희의「바빌론 특급우편」과「말해줘, 미란」의 공통점은 두 작품 모두 ‘사회적으로 태어나지 못한’ 남자들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는 데 있다. 라깡의 용어를 빌리자면, ‘상징계’(symbolic)로 진입하지 못한 존재들인 셈인 것이다. 그는 인식의 세 차원으로 ‘상징계’, ‘상상계’(imaginary), ‘실재계’(real)라는 개념을 사용한다. 성인의 경우, 이 세 영역은 모두 함께 기능하여 인간의 의식 세계를 구성한다. 하지만 태어나면서부터 그런 것은 아니다.
라깡은 생후 6개월부터 18월까지의 아기의 정신세계를 ‘거울의 단계’(stade du miroir)로 설명한다. 아이는 거울에 비친 자신의 모습을 완벽한 것으로 오인하고 그 이미지를 자신을 돌봐주는 어머니나 아버지에게 투사한다. 자아와 타인의 구별이 없고 결핍을 모르기에 그 이미지는 이상형이 된다. 아이는 자아와 만물을 동일시하며 아무것도 구별할 수 없다. 그러기에 남을 때리고도 자신이 맞았다고 울고, 무엇이든 움켜쥐고 내놓지를 않는다. 세상 모두가 내 것이고 나는 부족함을 모른다. 이기적이고 소유적이며 남을 인정하지 못하는 속성은 이 단계의 것이다. 또 연인이나 사회적으로 존경받는 이상형은 이 단계에 형성된 이미지로서 자신의 모습이기도 하다. 이 단계가 사회적으로 인정된 경우 독재자가 된다. 집단에 의해 공인된 유아가 바로 독재자이며, 이것이 상상계적 퇴행이다. 「바빌론 특급우편」과「말해줘, 미란」의 두 주인공 역시 어머니와 아내를 자신과 분리해서 생각하지 못하는 미숙한 정신의 남자들이다.
이들이 온전히 상징계로 진입하지 못한 이유 중 하나로 ‘아버지의 부재’를 꼽을 수 있다. 두 작품 모두 아버지의 존재감이 거의 없다시피 하다. 아버지는 아들에게 대타자(Other)다. 아버지는 상징계가 자신에게 부여한 위치를 지키며, 가족에게 각자의 위치를 지키도록 한다. 하지만 아이는 어머니가 아버지의 것임을 안 순간부터 아버지와 삼각관계가 된다. 아이는 어머니를 단념할 수가 없다. 그래서 아버지가 없어져주길 바란다. 이것이 오이디푸스 콤플렉스(oedipus-complex)다. 그러나 아이는 어느 날 어머니와 여자아이에게 남근이 없음을 보고 거세의 공포를 느낀다. 어머니를 단념하지 않으면 자신도 그리 된다는 두려움으로 그는 아버지와 같이 되어 어머니 같은 연인을 얻으리라 마음먹는다. 라깡은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결과, 아이는 상징적 회로 속에 편입되고 어머니와의 직접적인 관계에서 벗어난다고 설명한다. 두 소설의 주인공들은 대타자로서의 아버지가 없을뿐더러, 어머니와의 분리에서도 실패한 존재들이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