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론] 한국영화 속 남성상의 변화

 1  [영화론] 한국영화 속 남성상의 변화-1
 2  [영화론] 한국영화 속 남성상의 변화-2
 3  [영화론] 한국영화 속 남성상의 변화-3
 4  [영화론] 한국영화 속 남성상의 변화-4
 5  [영화론] 한국영화 속 남성상의 변화-5
 6  [영화론] 한국영화 속 남성상의 변화-6
 7  [영화론] 한국영화 속 남성상의 변화-7
 8  [영화론] 한국영화 속 남성상의 변화-8
 9  [영화론] 한국영화 속 남성상의 변화-9
 10  [영화론] 한국영화 속 남성상의 변화-10
 11  [영화론] 한국영화 속 남성상의 변화-11
 12  [영화론] 한국영화 속 남성상의 변화-12
 13  [영화론] 한국영화 속 남성상의 변화-13
 14  [영화론] 한국영화 속 남성상의 변화-14
 15  [영화론] 한국영화 속 남성상의 변화-15
 16  [영화론] 한국영화 속 남성상의 변화-1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영화론] 한국영화 속 남성상의 변화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 목 차 -

Ⅰ. 서론

Ⅱ. 본론
1. 남성성의 정의
2. 사회의 영화적 재현
3. 한국영화 속 남성상의 변화
3.1. 1960년대 영화에 대한 담론
3.1.1. 1960년대 분위기
3.1.2. 1960년대 영화의 특성
3.1.3. 1960년대 영화해석에 대한 비판
3.2. 1970년대 영화에 대한 담론
3.2.1. 1970년대 분위기
3.2.2. 1970년대 영화의 특성
3.2.3. 1970년대 영화가 갖는 의미에 대한 비판
3.3 1980년대 영화에 대한 담론
3.3.1. 1980년대 분위기
3.3.2. 1980년대 영화의 특성
3.3.3. 1980년대 영화에 대한 비판
3.4. 1990년대 영화에 대한 담론
3.4.1. 1990년대의 분위기
3.4.2. 1990년대 영화의 특성
3.5. 2000년대 영화에 대한 담론
3.5.1. 2000년대의 분위기
3.5.2. 2000년대 영화의 특성
3.5.3. 2000년대 영화에 대한 또 다른 해석

Ⅲ. 결론 및 대안 제시
본문내용
Ⅰ.서론

최근 영화 뿐 아니라 광고와 음악을 포함한 모든 대중문화 영역에서 남성성의 변화는 두드러진다. 이 변화에서 주목 해야 할 점은 대체로 대중문화에서 나타나는 남성적 이미지가 기존의 전통적인 남성성을 이어받기보다는 아주 새로운 성적 정체성을 재현하고 있다는 점이다.
한국영화의 전성기 이래 70년대와 80년대를 거치면서 한국 영화는 근대적 남성성 만들기 프로젝트에 동참하여 주로 가부장적이고 권위적인 남성을 재현하였다. 이 속에서 등장한 남자 배우들은 거의 대부분 마초적 이미지인 남성다움을 가지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었다. 하지만 사회는 변화하고 90년대에 들어서면서 더 이상 근대적 남성성이 각광받지 못하는 시대가 왔다. 실제로 영화 속에서 등장하는 남성 주인공들은 한결 부드러운 속성을 나타내게 되었고, 의존적인 성향까지 보이게 되었다.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이 변화는 점점 더 빨라지고, 특정한 이미지를 꼽을 수 없을 만큼 다양해졌다. 이 같이 남성성이란 더 이상 확고한 고정불변의 개념이 아니라, 시대적 상황에 따라 지극히 유동적일 수 있는 상대적 개념이 된 것이다.
영화는 현실을 반영하고 욕망을 투사하는 매체로서, 영화가 이 시기에 어떤 주체가 어떤 현실적 조건에서 어떤 욕망을 투사하고 있는지를 읽을 수 있게 한다. 그럼으로써 사회적 주체들의 관계, 그 관계를 형성하고 구조화하는 사회적 조건들의 변화와 이행의 흐름, 그리고 사회적 의식에 내장되어 있는 무의식적 욕구가 사회적으로 표출되는 징후를 읽을 수 있다.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는 60년대에서부터 2000년대에 걸쳐 사회변화와 함께 영화 속 남성성의 변화를 시대적으로 살펴보며 그 의미를 분석하고, 앞으로의 방향성에 대해서 제시해 보고자 한다.

Ⅱ. 본론

1. 남성성의 정의

우리가 살펴보고자 하는 남성성은 흔히 생각하는 여성성, 남성성의 개념과 크게 다르지 않다. ‘남성’이라는 성을 규정짓게 하는 몇몇 요소의 집합을 남성성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요소는 그것이 사회의식의 반영이라는 점에서 ‘상식’의 개념 하에 이해할 수 있는 것이며, 따라서 공감의 측면에서는 상당 부분 수용할 수 있는 개념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J.린톤, 김훈순 역, 「영화 커뮤니케이션」, 나남출판, 1999.
김성곤, 『문학과 영화 : 영상시대의 문학론』서울 : 민음사, 1997.
김은실 「한국 근대화 프로젝트의 문화 논리와 가부장성」,『시대비평』8호, 삼인, 1999.
김종원․정중헌, 『우리 영화 100년』, 서울: 현암사, 2001.
유지나 조흡 외 지음『한국영화 섹슈얼리티를 만나다』,생각의 나무, 2004.
이현정, 조한혜정, 「위기적 남성성 재현에 관한 연구 : 90년대 후반 한국 영화를 중심으 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임지현 외 지음,『우리 안의 파시즘』 서울 : 삼인, 2002.



한국영상자료원 http://www.koreafilm.or.kr
씨네서울 http://www.cineseoul.com
한겨례 21 http://h21.hani.co.kr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