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평] 옛이야기와 어린이문학

 1  [서평] 옛이야기와 어린이문학-1
 2  [서평] 옛이야기와 어린이문학-2
 3  [서평] 옛이야기와 어린이문학-3
 4  [서평] 옛이야기와 어린이문학-4
 5  [서평] 옛이야기와 어린이문학-5
 6  [서평] 옛이야기와 어린이문학-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추천자료
  • 설화와 전래 동화의 장르적 경계선 아기장수 이야기를 중심으로 아기장수 이야기 설화 아기장수 이야기 장르 아기장수 이야기 전래 동화 아기장수 이야기 소개 아기장수 이야기 조사
  • 아동문학 -옛이야기
  • 그림책 두 가지를 선정한 후 선정한 그림책의 미술적 특징 비교 분석.
  • 전래동화(전승동화) 필요성, 전래동화(전승동화) 세계관, 전래동화(전승동화) 기능, 전래동화(전승동화) 해석, 전래동화(전승동화) 문학적 체험, 전래동화(전승동화)와 아동심리, 전래동화(전승동화)와 창의성 사례
  • 아동문학의 구성요소를 쓰고, 전래동화와 환상동화를 아동 문학의 구성 요소 별로 비교하여 기술하시오
  • [동화의이해] 동화의이해
  • 아동문학2공통 전래동화와 환상동화 장르에 해당하는 좋은그림책을 각1권씩 선정하여 문학적미술적특징을 분석 반응중심문학교육의 목적과특징 계획안작성하시오00
  • [독서지도] `전래동화` 수업모형에 관하여.
  • 전래동화(전승동화)의 개념, 특징, 전래동화(전승동화)의 세계관, 전래동화(전승동화)의 지도상유의점, 전래동화(전승동화) 패러디화, 전래동화(전승동화)와 태모원형동화, 전래동화(전승동화)와 창의성증진프로그램
  • 전래동화(전승동화)의 정의, 전래동화(전승동화)의 의의, 전래동화(전승동화) 활용, 전래동화(전승동화) 감상, 전래동화(전승동화)와 표현놀이, 전래동화(전승동화)와 햇님달님, 전래동화(전승동화)와 전래동화연구
  • 소개글
    [서평] 옛이야기와 어린이문학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들어가며
    2.옛이야기의 성격과 특징
    3.어린이를 위한 옛이야기의 선택과 창조적 계승
    4.옛이야기의 계승에 대한 의문점
    5.나오며
    본문내용
    1. 들어가며
    우리의 어른들은 어렸을 때 책을 구하기 힘들었다. 가난한 서민들에게 책은 사치였을지도 모른다. 이런 옛어린이들에게 재미있는 이야기를 들려주는 사람은 할머니였다. 할머니를 통해 전해들은 옛이야기는 옛어린이들에게 재미와 감동을 주었다. 그럼 할머니는 이 이야기를 어떻게 알게 되었을까? 할머니 역시 할머니의 할머니에게서 전해 들었을 것이다. 이렇게 많은 이야기들이 아주 오랜 옛날부터 입에서 입으로 전해져 내려왔다. 말로 전해지는 과정에서 사람에 따라 수없이 변형되었을 것이다. 그러나 이렇게 전해져 내려오는 이야기들은 우리 어린이들에게 적절한 것도 있고 오히려 해가 되는 것도 있다. 그러면 우리는 이런 이야기들을 오늘날의 어린이들에게 계속해서 들려주어야할 것인가 하는 문제에 부딪치게 된다. 이 글의 저자는 이런 이야기들을 ‘옛이야기’라는 용어로 지칭하고 있으며, 이 책을 통해 옛이야기를 어린이문학으로 간주할만한 것인지에 대해 밝히는데 주력하고 있다.

    2. 옛이야기의 성격과 특징
    이 책의 1,2,3장에서는 우선 옛이야기가 무엇인지 규명하고 있으며, 옛이야기의 성격과 특징을 살펴보고 있다. 어떤 것이 어린이에게 유용한가 아닌가에 대한 판단을 내리기 위해서는 우선 그 대상의 속성을 먼저 밝혀야 한다. 대상에 대한 정확한 분석 결과를 자세히 살펴 본 이후에야 우리는 그것에 대한 올바른 판단을 내릴 수 있다. 따라서 저자는 먼저 옛이야기에 대한 분석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저자는 먼저 옛이야기에 대한 정의를 내리고 있다. 예로부터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를 우리는 보통 설화라 일컫는다. 그런데 어린이문학으로 간주할 수 있는 특별한 양상의 설화를 지칭할 수 있는 합의된 용어를 우리는 가지고 있지 않다. 그래서 이 글의 저자는 그러한 설화를 ‘옛이야기’라는 용어로 지칭한다. 어린이와 어른 모두 한결같이 어린이를 위한 설화로 인정하는 설화가 있다면, 달리 말해서 어린이가 듣고 싶어 하는 재미있는 설화이면서 동시에 어른이 들려주고 싶어 하는 교훈적인 설화가 있다면, 그것은 ‘진정으로 어린이를 위하는 설화’로 간주해야 한다고 본다. 그리고 교훈도 있고 재미도 있는 것이 ‘좋은 옛이야기’이다. 신화 ․ 전설 ․ 민담은 장르적 특성 차이 때문에 어린이 친연성의 정도가 서로 다를 수밖에 없지만, 이러한 사실에 지나치게 압도되어 특정 장르에 속하는 각편을 모두 옛이야기에서 배제하여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결국 옛이야기의 채택 여부는 장르별로 유형별로 결정할 것이 아니라 각편별로 결정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이 글에서 저자는 옛이야기 속에 드러난 욕망의 미학에 대해서도 말한다. 옛이야기는 성 ․ 돈 ․ 힘에 대한 모든 욕망을 긍정한다. 욕망만 긍정하는 것이 아니다. 욕망 충족을 위한 모든 수단과 방법까지 정당화한다.
    참고문헌

    이지호 저
    집문당,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