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혼인제도] 조선시대의 혼인제도

 1  [조선시대, 혼인제도] 조선시대의 혼인제도-1
 2  [조선시대, 혼인제도] 조선시대의 혼인제도-2
 3  [조선시대, 혼인제도] 조선시대의 혼인제도-3
 4  [조선시대, 혼인제도] 조선시대의 혼인제도-4
 5  [조선시대, 혼인제도] 조선시대의 혼인제도-5
 6  [조선시대, 혼인제도] 조선시대의 혼인제도-6
 7  [조선시대, 혼인제도] 조선시대의 혼인제도-7
 8  [조선시대, 혼인제도] 조선시대의 혼인제도-8
 9  [조선시대, 혼인제도] 조선시대의 혼인제도-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 레포트 > 기타
  • 2007.07.13
  • 9페이지 / hwp
  • 900원
  • 27원 (구매자료 3% 적립)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조선시대, 혼인제도] 조선시대의 혼인제도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혼인의 의미
2.혼례식의 절차
3.조선 전후기 혼인의 형태
4.황실 양반 그리고 서민의 혼인비교
5.조선 전후기 혼인제도와 재산상속
6.혼례의복
7.조선시대의 이혼
8.조선왕조의 여성지배이념
9.조선시대의 동성애
본문내용
1. 혼인의 의미
- 혼인은 하나의 중요한 사회현상이다. 혼인은 두 남녀가 만나서 부부관계를 맺고 가정을 이루는 개인적인 측면뿐 아니라, 사회적 의미를 갖는다. 따라서 혼인을 살펴보고 분석함으로써 당시의 사회상을 복원 해 낼 수 있다.


2. 혼례식의 절차
- 혼례식의 순서는 전국적으로 거의 같다.
- 식순을 잘 아는 부락의 노인이 예식을 지휘,
- 식순을 분명하게 알리기 위하여 홀기(笏記) (혼례나 제례 때에 의식의 순서를 적은 글)를 부른다.
예) 경북 안동군에서 행하는 홀기
◦ 서지부가(壻至婦家) - 신랑이 신부집에 도착하여 예식이 시작되는 것을 말한다.
◦ 준우차 - 신랑이 잠시 멈추어 선다.
◦ 주인출영 - 신부집 주인이 문 앞으로 가서 신랑을 맞아 안으로 들게 한다.
◦ 행전안례 - 이제 전안(혼례 때, 신랑이 기러기를 가지고 신부 집에 가서 상 위에 놓고 절함)의 예를 행하라는 것이다.
◦ 북향궤 - 북쪽을 향하고 전안상 앞에 꿇어앉는다.
◦ 치안우지- 안부(雁夫-기러기 아비)가 나무오리를 신랑에게 주면 신랑이 이것을 받는다.
◦ 주인시자수지(主人侍者受之) - 신부 측에서 한 사람이 나와 이것을 상 위에 놓는다.
◦ 면복흥 - 신랑이 허리를 구부리고 일어선다.
◦ 소퇴재배 - 약간 뒤로 물러서 재배한다. 재배가 끝나면 신랑측에서 한 사람이 나와 나무오리를 안아다 신부가 있는 안방에 던진다.
◦ 행교배례 - 이제부터 신랑 신부의 교배례가 행해진다.
◦ 서동부서 - 신랑은 동쪽, 신부는 서쪽에 대례상을 마주보고 선다.
◦ 부선재배 - 신부가 큰 절을 두 번 한다.
◦ 서답일배 - 신랑이 큰 절을 한 번 한다.
◦ 부우선재배 - 신부가 큰 절을 두 번 한다.
◦ 서우답일배 - 신랑이 큰 절을 한 번 한다.
◦ 행합례 - 술잔을 나누는 예를 행한다.
◦ 취분치서부지전 - 술잔 또는 표주막을 신랑신부 앞에 각각 하나씩 놓는다.
◦ 서읍부취좌 - 신랑이 허리를 굽혀 읍을 하고 신부는 자리에 앉는다.
◦ 서부관세 - 시자가 대야에 물을 떠오고 신랑 신부는 각기 손을 닦는 시늉을 한다.
◦ 시자짐주 - 시자가 술을 따른다.
◦ 서읍부거음 - 신랑이 자기의 술을 마시고 신부에게 읍을 하면 신부는 술잔을 들어 읍에 대었다 물린다.
◦ 시자우짐주 - 시자가 둘째 잔을 따른다.
◦ 서읍부제주 - 둘째 잔을 마시고 비운다.
◦ 진찬 - 안주를 내놓아 먹게 한다.
◦ 서읍부졸주 - 신랑이 술을 마시고 읍하면 신부도 마신다.
◦ 거찬 - 안주를 둔다.
◦ 철찬 - 찬을 물린다.
◦ 예필 - 이로써 예식이 끝났다.

▶ 혼례식 후
① 대례가 끝나면 신부가 먼저 안방에 들어가고 신랑이 들어간다.
(신랑이 신부와 같은 방에 있게 되면 병풍을 쳐 서로 보지 못하게 한다)
② 관대벅금(관대벗김) - 방안에 들어오면 신랑은 사모관대를 벗고, 신부집에서 만든 옷을 입는다.
③ 간단한 요기상을 받고, 요기상을 물리고 나면 얼마 후에 신랑과 상객에게 별도로 큰상을 차려 올린다. (큰상은 신부집에서 신랑과 상객에게 올리는 선물이기에 갖은 정성을 다하여 차린 것이다. 신랑이나 상객은 몇 가지 맛만 보고 상을 물리며 물린 상은 고스란히 신랑집에 보내진다.)
④ 상객이 사랑방에서 큰상을 받는 시간을 전후하여 신부측 윗사람들이 사랑방에 와서 인사를 나눈다.
⑤ 저녁이 되고 잔치에 왔던 손님들이 대부분 돌아가고 나면 신랑과 신부가 신방에 든다.
⑥ ‘근록상(주안상)’이 들고, 신랑 신부가 근록상에 마주 앉아 요기를 하고 신랑이 신부의 족두리와 예복을 벗기고 잠자리에 든다.
⑦ ‘신방엿보기’라 하여 가까운 친척들이나 집안 아녀자들이 신방의 창문을 뚫고 구경한다.
하고 싶은 말
조선시대 혼인제도에 대해서 정리해논 자료입니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