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학] 우리들은 1학년교육과정

 1  [교육학] 우리들은 1학년교육과정-1
 2  [교육학] 우리들은 1학년교육과정-2
 3  [교육학] 우리들은 1학년교육과정-3
 4  [교육학] 우리들은 1학년교육과정-4
 5  [교육학] 우리들은 1학년교육과정-5
 6  [교육학] 우리들은 1학년교육과정-6
 7  [교육학] 우리들은 1학년교육과정-7
 8  [교육학] 우리들은 1학년교육과정-8
 9  [교육학] 우리들은 1학년교육과정-9
 10  [교육학] 우리들은 1학년교육과정-10
 11  [교육학] 우리들은 1학년교육과정-11
 12  [교육학] 우리들은 1학년교육과정-12
 13  [교육학] 우리들은 1학년교육과정-13
 14  [교육학] 우리들은 1학년교육과정-14
 15  [교육학] 우리들은 1학년교육과정-15
 16  [교육학] 우리들은 1학년교육과정-16
 17  [교육학] 우리들은 1학년교육과정-17
 18  [교육학] 우리들은 1학년교육과정-18
 19  [교육학] 우리들은 1학년교육과정-19
 20  [교육학] 우리들은 1학년교육과정-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교육학] 우리들은 1학년교육과정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 ‘우리들은 1 학년’ 교육 과정 개정의 배경
가. 국가 수준의 교육 과정 제시의 필요성
나. 통합 교과 정신의 구현
다. 입학 초기 학교 적응 활동의 특성 고려
라. 학습 경험의 연계성 고려
마. 활동 주제 중심의 통합 운영 강조

2. ‘우리들은 1 학년’ 교육 과정의 변천

3. ‘우리들은 1 학년’ 교육 과정 개정의 중점
가. 입학 초기 학교 생활 적응 활동의 강조
나. 기초 학습 기능의 최소화
다. 학교 및 학습에 대한 긍정적 태도의 형성
라. 한달 수업 시수의 상향 조정
마. 공동 활동을 통한 사회적 관계 영역의 강조
바. 상황 중심, 생활 중심, 경험 중심, 활동 중심의 통합 강조
사. 학습 경험의 연게성 고려
아. 상황 중심, 생활 중심, 경험 중심, 활동 중심의 통합 강조

4. ‘우리들은 1학년’ 교과의 성격
가. 초등 학교 입학 초기의 한 달 동안 공부할 내용을 담은 통합 교과이다
나. 학교 생활의 원만한 시작과 효율적인 적응을 돕는 안내 과정이다
다. 학습과 일상 생활에 필요한 기본 생활 습관 및 가치 형성의 출발점이다
라. 사회로 넓혀 주는 교량적인 기능을 지닌다
마. 후속되는 교과별 학습을 위한 준비와 도입 과정이다
바. 학생들의 다양한 학습 경험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교과이다

5. ‘우리들은 1학년’ 교과의 목표
가. 원만한 학교 생활을 할 수 있다
나. 기본적인 생활 규범을 익혀 바른 학교 생활을 할 수 있다
다. 학습에 필요한 최소한의 기초적인 기능을 습득한다

6. ‘우리들은 1학년’ 교과의 내용
가. 내용 체계
나. 영역별 내용
(1) 기본 생활 규범 영역
(가) 몸을 청결히 하기
(나) 스스로 하기
(다) 주변 깨끗이 정리하기
(라) 인사하기
(마) 질서지키기
(바) 교통 규칙 지키기
(2) 학교 생활 환경 영역
(가) 우리 반 알기
(나) 학교의 모습 알기
(다) 놀이 기구 이용하기
(라) 시설물 사용하기
(3) 사회적 관계 영역
(가) 나를 알리기
(나) 남을 이해하기
(다) 새로운 친구 사귀기
(4) 기초 학습 기능 영역
(가) 학습 용구 바르게 사용하기
(나) 바른 자세로 말하기와 듣기

7. ‘우리들은 1학년’ 교과의 교수․학습 방법
가. 학교 교육 과정의 운영
나. 교수․학습 자료 개발
다. 교수․학습의 실천 사례
(1) 창의력을 기르면서 유대감을 형성할 수 있는 대화 기법
󰊱 잘 들어 주기 단계
󰊲 스스로 대안을 찾게 기다려 주기 단계
󰊳 학생과 함께 생각하기 단계
󰊴 최선책을 찾도록 도와 주기 단계
(2) 친밀감을 주는 환경 조성
󰊱 교실의 물리적 환경
󰊲 학부모 ‘도우미’의 활용
󰊳 놀이 학습의 예 : 교통 규칙 지키기

8. ‘우리들은 1학년’ 교과의 평가
가. 평가 방법과 활용의 예시안
나. 효과적인 관찰과 기록 방법
(1) 관찰시 유의할 점
(2) 기록할 내용

9. ‘우리들은 1학년’ 교과의 교수․학습 계획과 지도
가. 시간 배당의 측면
(1) 내용의 중요도에 따른 시간 배당
(2) 단위 시간의 융통성
(3) 열린 시간표 운영
나. 주제 선정 및 내용 조직의 측면
(1) 학생들의 생활 주변에서 주제를 선정하여 통합하도록 한다
(2) 지역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교육 과정의 하위 영역을 재구성한다
(3) 지도 방법의 측면

10. ‘우리들은 1학년’ 신․구 교육 과정의 비교



참고자료




본문내용
1. ‘우리들은 1 학년’ 교육 과정 개정의 배경
교육 과정 개정에 대한 요청은 교육 과정이 적용되는 특정 사회의 시대적, 역사적 상황이 변하고, 기존의 교육 과정이 적절한가에 대한 반성과 검토가 누적되면서 새로운 교육 과정을 도입할 필요성이 커짐에 따르는 것이다. 제 7 차 교육 과정에서 ‘우리들은 1 학년’을 개정하게 된 배경은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로 살펴볼 수 있다.
가. 국가 수준의 교육 과정 제시의 필요성
제 7차 교육 과정에서 ‘우리들은 1 학년’ 교육 과정을 제정하게 된 것은 국가 수준의 교육 과정을 제시해야 할 필요성이 크다고 인식되었기 때문이다. 제 6 차 교육 과정에서는 ‘우리들은 1 학년’의 경우, 지역 수준의 교육 과정 체제를 도입하여 교육 과정 운영의 지방화․분권화를 시도하였다. 이러한 취지에 따라 교육부에서는 제 6 차 교육 과정에서의 ‘우리들은 1 학년’ 교육 과정의 편성과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의 편찬 권한을 각 시․도의 교육청에 위임함으로써 교육 과정 편성 운영의 자율화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곧 이러한 조치가 의도했던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었다. 그 비판의 요지는, 첫째, 초등 학교에 갓 입학한 학생들에게 국가 수준에서 반드시 가르쳐야 할 내용을 제시해 주지 않는다는 것은 문제가 있다는 것이었고, 둘째, ‘우리들은 1 학년’ 교육 과정 체제를 보면 각 시․도의 특징적인 모습이 별로 드러나지 않고 국가 수준의 교과 교육 과정 체제를 그대로 따르는 경향이 있다는 점이었다. 이에 따라, 각 시․도에서 편찬한 교과서의 내용도 서로 비슷한 모습을 띨 수밖에 없었고, 결국 비슷한 교과서를 편찬하기 위해 막대한 예산을 투입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이러한 지적에 따라, 입학 초기 학생들에게 국가 수준에서 꼭 가르쳐야 할 최소한의 기준을 제시해 주는 것은 현장 교사들이 입학 초기의 학교 적응활동을 지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전개하는 데 필요하고도 중요한 일이라고 본 것이다.
나. 통합 교과 정신의 구현
교육 과정에서 통합 교과의 정신을 최대한 구현하고자 하였다. 제 6 차 교육 과정에서 각 시·도별로 개발한 교육 과정을 보면, 형식적으로는 통합 교과의 방식을 취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교과간의 인위적인 구분이 많았다. 따라서, 제 7 차 교육 과정에서는 교과의 인위적인 구분을 배제하고, 통합 교과의 정신을 교육 과정에서 구현하고자 하였다. 즉, 제 7 차 교육 과정에서의 ‘우리들은 1 학년’ 교육 과정은 관련되는 개별 교과의 내용들을 하나의 교과서로 종합해 놓은 합과 형식을 취하는 것이 아니라, 입학 초기 학교 적응 활동에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학생의 경험을 설정하여 이를 통합하고자 한 것이다. 특히, ‘우리들은 1 학년’은 학문 영역별 분과에 따라 생긴 교과가 아니라, 모든 교과가 아동의 학교 생활 적응 활동을 돕는다는 목적 아래 하나로 통합되는 것이므로, 초등 학교 저학년의 다른 통합 교과들, 즉 ‘바른 생활’, ‘슬기로운 생활’, ‘즐거운 생활’에 비해 통합의 범위가 매우 넓다고 할 수 있다. 이처럼 제 7 차 교육 과정에서 ‘우리들은 1 학년’을 비롯한 초등 학교 저학년 통합 교과에는 형식적이고 교과 안배적인 차원의 통합이 아닌, 진정한 의미에서의 통합 교육 과정 제정을 실현하자는 강한 의지가 담겨져 있는 것이다
참고문헌
구자억(한국 교육 개발원)/
남미숙(서울 특별시 교원 연수원)
임명자(서울 염창 초등 학교)
김만곤(교육부)
하고 싶은 말
나름대로 열심히
자료를 정리 했습니다.
수업 중 제출한 자료와 검색 통해
정리한 것에 제 의견을 넣었습니다.

자료 잘 참고하시어
학업에 좋은 결과가 있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