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학] 한국의 신흥종교-통일교fp

 1  [종교학] 한국의 신흥종교-통일교fp-1
 2  [종교학] 한국의 신흥종교-통일교fp-2
 3  [종교학] 한국의 신흥종교-통일교fp-3
 4  [종교학] 한국의 신흥종교-통일교fp-4
 5  [종교학] 한국의 신흥종교-통일교fp-5
 6  [종교학] 한국의 신흥종교-통일교fp-6
 7  [종교학] 한국의 신흥종교-통일교fp-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종교학] 한국의 신흥종교-통일교fp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한국신흥종교의 발생원인
1) 민족과 국가의 위기감 팽배
2) 사회의 기강해이
3) 기성종교 대처하는 가치체계로 작용

3. 통일교
1) 교주 문선명의 약력
2) 문선명의 교리
3) 교리의 내용
(1) 인간의 타락에 대하여
(2) 그리스도의 강림에 대하여
(3) 세례 요한에 대하여
(4) 예수 그리스도에 대하여

4. 문선명, 그는 과연 메시야인가

5. 결론



본문내용
`신흥종교`란 사회적으로 인정받고 있는 제도종교에 비하여 성립 시기가 오래 되지 않은 종교를 말한다. 이 용어는 새로운 종교가 교리·의례·조직의 측면에서 기성종교에 비해 정교화 되지 못하다는 의미에서 결핍된 종교라는 부정적인 의미를 포함하고 있다. 신흥종교의 발생 원인은 아노미(anomie), 상대적 박탈감, 전통적 가치관 또는 기성 제도종교의 설득력 상실, 문화접변에 따른 충격 등을 들 수 있다. 그렇지만 모든 ‘위기󰡑마다 신흥종교가 발생하는 것도 아니고, 모든 신흥종교가 사회적 위기에 대한 반응으로 발생하는 것은 아니므로 각각의 구체적 사례에서 출발할 수밖에 없다. 일반적으로 신흥종교는 교리혼합주의(syncretism), 기존 질서에 대한 부정, 현실주의적 구원관, 임박한 종말론의 강조, 선민사상, 신자 집단 내의 강력한 연대감 등의 특성을 지니고 있다.

앞에서 살펴본 대로, 문씨는 자신이 예수의 못 다한 사명을 완수할 인물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소위 `예수의 실패`가 문선명에게 길을 열어 준 셈이다. `원리 강론`에서는 메시야, 즉 재림주는 인간의 육체적인 구원을 성취하기 위하여 지상에 육체로 태어나야만 한다고 말하고 있다. 원리 강론이나 문선명 자신이 공적으로 그가 메시야라고 공표하지는 않지만, 결국 그들은 문선명이야말로 참으로 재림주라고 단정 짓고 있는 것이다.

통일교는 사람을 놀라게 하는 주장을 서슴지 않지만, 실상은 그 주장들이 모두 우스운 얘기들뿐이다. `원리 강론 `의 가르침들은 핵심적인 모든 교리에 있어서 성경과 도무지 어울리지 않는다. 그러므로 그것은 결코 계시의 완성이 될 수 없다. 또한 문씨는 하늘로부터 메시야라는 신임장을 받지도 못했다. 그는 마땅히 거짓 선지자로 정죄 받아야만 한다.

통일교(교주 문선명 77세)의 합동결혼식(95년 36만쌍, 92년 3만쌍)을 생각할 때마다 많은 그리스도인들은 비통해 한다. 문선명을 성경적 `가정파괴범`이라 성토하는 사람도 있다. 다행인지 불행인지 합동결혼식으로 인한 피해가 많지 않다고 한다. 오히려 우리나라보다 이웃 일본이 통일교에 의한 피해가 훨씬 많은 것으로 보도되고 있다.통일교는 우리가 잘 아는 대로 기독교가 아니다. 그 이유는 무엇보다도 성경을 부인하기 때문이다. 그들은 신약성경을 가리켜 지금부터 2000년전에 심령과 지능이 극도로 낮았던 그 시대인들을 위하여 주신 하나의 과도기적인 교과서로 현대인들을 위해서는 고차원적인 내용과 과학적인 표현법에 따른 새 진리가 필요하다고 전제하고 있다. 그래서 원리 강론을 성약성서, 즉 하나님의 약속이 이루어진 참 성경이라고 주장한다.

또 그들은 해(요 1:9)는 예수님의 말씀이고 달의 빛은 진리의 영으로 오신 성령인데 해와 달이 빛을 잃는다(마 24:29)고 한 것은 예수와 성령이 주신 신약성경이 빛을 잃게 된다는 뜻이라고 한다. 그 이유는 예수와 성령이 오므로 구약의 말씀이 빛을 잃듯 예수가 재림하므로(문선명의 출현) 초림 때에 주신 말씀이 그 빛을 잃게 된다고 주장한다.




참고문헌
○오늘의 종교 이대로 좋은가, 황치조, 삼한출판사
○건전 종교 문화 발전을 위한 바람직한 방향 모색, 한국 종교 지도자 협의회&문화관광부
이강오, 1968 「단군신앙(총론)」 『한국신흥종교 자료집 제2부』 전북대학교 논문집 제10집 39쪽
○현대 신종교의 이해, 김종서외 3인 공저,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의 신흥종교, 생활성서사, 91년 7월호
하고 싶은 말
한국의 신흥종교-통일교에
관한 언급이 잘되어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