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남아 화인사회 형성과 정체성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필리핀 3국을 중심으로

 1  동남아 화인사회 형성과 정체성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필리핀 3국을 중심으로-1
 2  동남아 화인사회 형성과 정체성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필리핀 3국을 중심으로-2
 3  동남아 화인사회 형성과 정체성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필리핀 3국을 중심으로-3
 4  동남아 화인사회 형성과 정체성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필리핀 3국을 중심으로-4
 5  동남아 화인사회 형성과 정체성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필리핀 3국을 중심으로-5
 6  동남아 화인사회 형성과 정체성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필리핀 3국을 중심으로-6
 7  동남아 화인사회 형성과 정체성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필리핀 3국을 중심으로-7
 8  동남아 화인사회 형성과 정체성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필리핀 3국을 중심으로-8
 9  동남아 화인사회 형성과 정체성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필리핀 3국을 중심으로-9
 10  동남아 화인사회 형성과 정체성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필리핀 3국을 중심으로-10
 11  동남아 화인사회 형성과 정체성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필리핀 3국을 중심으로-11
 12  동남아 화인사회 형성과 정체성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필리핀 3국을 중심으로-12
 13  동남아 화인사회 형성과 정체성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필리핀 3국을 중심으로-13
 14  동남아 화인사회 형성과 정체성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필리핀 3국을 중심으로-14
 15  동남아 화인사회 형성과 정체성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필리핀 3국을 중심으로-15
 16  동남아 화인사회 형성과 정체성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필리핀 3국을 중심으로-16
 17  동남아 화인사회 형성과 정체성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필리핀 3국을 중심으로-17
 18  동남아 화인사회 형성과 정체성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필리핀 3국을 중심으로-1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동남아 화인사회 형성과 정체성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필리핀 3국을 중심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I.서론
II.본론 -- 華人사회 형성과 정체성
1.말레이시아
1)식민지 전후
2)독립이후
2.인도네시아
1)식민지 이전 시기
2)식민지 시기
3)독립 이후
3.필리핀
1)식민지 이전 시기
2)식민지 시기
3)독립 이후
4.중국과 앞으로의 華人 정체성
1)화인 정책과 정체성
2)중국과 화인 내부 정체성 고민
3)화인의 현지 동화 의지
III.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우리에게 익숙한 해외 거주 중국인 명칭은 華僑이다. 華僑의 華는 中華의 華, 僑는 僑居(客地生活) 혹은 僑寓(임시의 住居)를 말하는 글자다. 유인선, 김두진 ,「ASEAN 의 사회정치와 화교문제 (華僑問題)」,『아세아연구』,제 33권 , 1990 , p.200
이에 따르면 화교는 일시적으로 해외에 거주하는 중국인을 의미 한다. 하지만 위와 같은 의미로는 지금 동남아시아에 거주하는 해외 중국인의 존재를 규정하기 부족하다. 오늘날 우리가 화교라고 부르는 이들은 더 이상 동남아시아를 자신들의 임시거처라 생각하지 않는다. 더군다나 이들을 보는 관점은 매우 다양하다. 어느 곳에 살든지 중국인들은 중화세계의 일부라는 중화 민족주의적 사고방식, 화교들을 자국국민으로 간주하는 동남아 토착정부의 관점, 중국국적을 가진 해외시민만을 화교라고 규정하는 중국정부의 인식 전형권 ,「초국가주의적 관점에서 본 화교디아스포라와 네트워크」,『대한정치학회보』,제13집, 2005 , p.103
등이 그것이다. 이와 같이 화교에 대한 개념 규정의 어려움은 동남아시아 해외중국인 정체성 -중국인과 토착사회인으로서- 의 복잡성을 단적으로 드러낸다. 본 발표문에서는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필리핀의 동남아 화교 형성과정을 역사적으로 살펴보며 그들의 정체성이 어떻게 형성되었는지를 탐구해보려 한다. 위 국가들은 남중국해를 배경으로 바다를 통해 중국과 교류해왔다는 공통점을 가진다.
해외 거주 중국인을 지칭하는 용어로는 華人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발표문에서 주목하는 대상은 중국국적을 가진 임시거주자로서의 화교가 아니라 동남아시아 국가의 구성원으로 살아가면서 토착문화와 중국문화의 이중적 배경을 가지는 이들이기 때문이다. 華人은 중국사서인『明史』에서 해외에서 활동하는 지칭할 때부터 사용되었던 용어로서 해외에 거주하며 토착사회의 국민으로 살고 있는 중국인을 가리킨다. (박사명 외,『동남아의 화인사회』,전통과현대 , 2000 , p.22)



Ⅱ. 본론 - 華人사회 형성과 정체성

1. 말레이시아

말레이시아에는 오래 전부터 화인들이 살고 있었다. 그들이 어떠한 촌락을 구성하며 살아왔고 무엇을 하며 살았는지에 대한 자료는 많이 남아 있지 않다. 그러나 확실한 것은 말레이시아에 정착한 화인들은 상인들로서, 그들의 상술을 바탕으로 동남아시아에 독자적 네트워크를 형성하며 여러 형태의 해상 교역에 종사하였다는 점이다. 이에 더하여 말레이시아 정착 초기의 화인 구성원으로 해적을 들 수 있다. 중국 남해의 해적들이 활약했던 해상범위와 활동시기, 해적내부에 비밀결사 조직이 존재한 점 등을 미루어보아 동남아시아 각국에 이주했던 화인들에는 해적이 상당수 포함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1) 서적
박사명 외 5인,『동남아의 화인사회』, 전통과 현대, 2000
박사명,「필리핀 화인사회의 구조와 위상」,『동남아시아연구』, 1999, 제 7호
박사명,「‘탈중국화’와 재중국화‘-필리핀 화인사회의 정치정향」,『동남아시아 연구』, 2000, 제10호
이덕훈,『화교경제의 생성과 발전』, 한남대학교 출판부, 2001
이덕훈,「필리핀화교의 정착과 적응」,『아시아연구』제1권, 1999
이문봉,『동남아 화교기업』, 길벗, 1994
S. 시그레이브, 원경주 역,『보이지 않는 제국, 화교 : 중국인 이야기』, 프리미엄북스, 1997
머레이 와이덴바움, 사뮤엘 휴즈,『華僑네트워크』, 1998, 세종연구원
박지민,『대륙의 찬란한 기억』, 북폴리오, 2004

2) 논문
서진영 외,「화교경제권과 동아시아 정치경제 : 화교경제권과 아세안 국가들」,『평화연구』, 제7권, 1998
유인선, 김두진,「ASEAN 의 사회정치와 화교문제 (華僑問題)」,『아세아연구』,제33권, 1990윤인진, 이유선,「인도네시아의 민족관계 : 화교를 중심으로」,『아세아연구』45권, 2002
전형권,「초국가주의적 관점에서 본 화교디아스포라와 네트워크」,『대한정치학회보』, 제13집, 2005
이진영,「중국의 화교 정책 : 배제에서 이용으로 그리고 네트워크의 구축」,『현상과인식』, 95호, 2005
이재유, 허흥호,「화교기업의 발전과 경영특성」,『중소연구』30호, 2006

3) 기타
『조선일보』(2007년 1월22일자)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