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백제의 마지막 왕 `의자왕의 재해석`

 1  [한국사] 백제의 마지막 왕 `의자왕의 재해석`-1
 2  [한국사] 백제의 마지막 왕 `의자왕의 재해석`-2
 3  [한국사] 백제의 마지막 왕 `의자왕의 재해석`-3
 4  [한국사] 백제의 마지막 왕 `의자왕의 재해석`-4
 5  [한국사] 백제의 마지막 왕 `의자왕의 재해석`-5
 6  [한국사] 백제의 마지막 왕 `의자왕의 재해석`-6
 7  [한국사] 백제의 마지막 왕 `의자왕의 재해석`-7
 8  [한국사] 백제의 마지막 왕 `의자왕의 재해석`-8
 9  [한국사] 백제의 마지막 왕 `의자왕의 재해석`-9
 10  [한국사] 백제의 마지막 왕 `의자왕의 재해석`-10
 11  [한국사] 백제의 마지막 왕 `의자왕의 재해석`-11
 12  [한국사] 백제의 마지막 왕 `의자왕의 재해석`-12
 13  [한국사] 백제의 마지막 왕 `의자왕의 재해석`-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사] 백제의 마지막 왕 `의자왕의 재해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선정이유

2. 백제 사비시대의 개괄적 역사
- 사비시대(후기) 역사, 사비시대 전제왕권의 신진귀족, 사비시대의 문화

3. 의자왕에 대한 보편적 인식

4. 의자왕의 재조명
4-1 의자왕의 실제 정치와 실제 성품
4-2 삼천궁녀의 실존여부
4-3 의자왕이 왜곡 될 수밖에 없었던 이유
4-4 실제 백제의 멸망 이유

5. 왜곡된 역사의 진실은 무엇인가.


6.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선정이유
우리 조가 이번 주제를 "의자왕의 재해석"이라 정한 것은 우선 고대 삼국시대에서 고구려, 백제, 신라 국가 중에 광활한 대륙의 국가-고구려, 찬란한 문화의 국가-신라에게만 관심이 집중 되어 있어 백제 역사에 관해서는 고구려, 신라 역사보다는 기록도 적을뿐더러 백제 역사에 대해 잘 알지 못하고 있어 우리는 찬란한 역사와 전통을 지닌 국가인 백제의 역사에 대해 눈을 돌리게 되었다.
찬란한 역사와 전통을 가진 백제, 한 때 고구려와 신라를 위협할 정도로 부국강병(富國强兵)했던 국가인 백제가 퇴로의 길을 겪다가 하루아침에 멸망한 것에 대하여 우리는 의문을 가지게 되었으며 이 백제 멸망의 가장 큰 원인으로 알고 있는 의자왕에 대한 평가, "한국을 빛낸 100명의 위인들" 노래 속에 등장하는 의자왕과 삼천궁녀, 이것이 정말 사실일까 하는 의문을 가지게 되었다.
'역사는 승리자의 기록이다' 라는 말이 있지 않은가. 해동증자(海東曾子)라 불리었던 의자왕의 평가가 후대 역사가에 의해 평가가 왜곡이 되었지 않았을 까라는 의심 속에 우리 조는 백제의 마지막 왕인 의자왕을 재조명하기로 결정했다.
우리 조는 의자왕을 재조명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의자왕의 실제 정치와 실제 성품', '삼천궁녀의 실존여부', '의자왕이 왜곡 될 수밖에 없었던 이유', '실제 백제의 멸망 이유', 이렇게 4part로 나누어 조사하고 분석해 보고자 한다.

2. 백제 사비시대의 개괄적 역사
(1) 사비시대(후기) 역사
백제의 중흥을 이룩한 성왕 (523-554 재위) 은 강력한 왕권강화책을 추진하기 위하여 사비(지금의 부여)로 천도하면서 국호를 남부여(南夫餘)라 개칭하여 부여족의 전통을 강조했으며, 내외의 관제를 정비하고 집권적 통치 질서를 확립했다.
국제관계에도 힘을 기울여 중국 남조와의 교류를 통하여 그 문물을 받아들이고 일본과도 긴밀한 관계를 유지했는데, 특히 일본에 대해서는 달솔 · 노리사치계를 통해 불교를 전파했으며, 의박사 · 역박사 등의 전문가를 파견하여 선진 문물을 전수해주었다. 그리고 신라와 동맹관계를 강화하고 551년 신라군과 가야군을 동원하여, 귀족세력의 내분에 처해 있던 고구려군을 물리치고서 백제는 한강하류를, 신라는 한강상류를 점령하였다. 그러나 553 년 고구려군과 은밀히 결탁한 신라의 배반으로 한강하류지역을 다시 신라에 빼앗기고 이를 만회하기 위해 신라정벌에 나섰다가 554 년 관산성 전투에서 전사하고 백제군도 대패했다. 이후 백제는 대성팔족(大姓八族) 이라는 귀족의 연합체에 의해 정치가 좌우되고, 이것이 6 좌평제로 왕명의 출납 · 재정 · 의례 · 왕궁숙위 · 형옥 · 병마관계 사무를 관장한 최고 귀족회의체였다.
참고문헌
▣ 삼국사기(三國史記) - 백제본기
▣ 삼국유사(三國遺事)
▣ 역사스페셜 - 이대훈교수
▣ 조동걸, 한영우, 박찬승, 『한국의 역사가와 역사학 상, 하』, 창작과 비평사, 2001.
▣ 신복룡, 『한국사 새로보기』, 풀빛, 2001.
▣ 김재영외,『한국역사인물 뒤집어 읽기』, 인물과사상사, 2001.
▣ 이덕일, 이희근, [우리 역사의 수수께끼2], 김영사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이 분야 인기자료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