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구소련, 러시아혁명] 러시아의 역사와 구소련의 붕괴 과정 및 러시아혁명 심층 분석

 1  [러시아, 구소련, 러시아혁명] 러시아의 역사와 구소련의 붕괴 과정 및 러시아혁명 심층 분석-1
 2  [러시아, 구소련, 러시아혁명] 러시아의 역사와 구소련의 붕괴 과정 및 러시아혁명 심층 분석-2
 3  [러시아, 구소련, 러시아혁명] 러시아의 역사와 구소련의 붕괴 과정 및 러시아혁명 심층 분석-3
 4  [러시아, 구소련, 러시아혁명] 러시아의 역사와 구소련의 붕괴 과정 및 러시아혁명 심층 분석-4
 5  [러시아, 구소련, 러시아혁명] 러시아의 역사와 구소련의 붕괴 과정 및 러시아혁명 심층 분석-5
 6  [러시아, 구소련, 러시아혁명] 러시아의 역사와 구소련의 붕괴 과정 및 러시아혁명 심층 분석-6
 7  [러시아, 구소련, 러시아혁명] 러시아의 역사와 구소련의 붕괴 과정 및 러시아혁명 심층 분석-7
 8  [러시아, 구소련, 러시아혁명] 러시아의 역사와 구소련의 붕괴 과정 및 러시아혁명 심층 분석-8
 9  [러시아, 구소련, 러시아혁명] 러시아의 역사와 구소련의 붕괴 과정 및 러시아혁명 심층 분석-9
 10  [러시아, 구소련, 러시아혁명] 러시아의 역사와 구소련의 붕괴 과정 및 러시아혁명 심층 분석-10
 11  [러시아, 구소련, 러시아혁명] 러시아의 역사와 구소련의 붕괴 과정 및 러시아혁명 심층 분석-11
 12  [러시아, 구소련, 러시아혁명] 러시아의 역사와 구소련의 붕괴 과정 및 러시아혁명 심층 분석-12
 13  [러시아, 구소련, 러시아혁명] 러시아의 역사와 구소련의 붕괴 과정 및 러시아혁명 심층 분석-13
 14  [러시아, 구소련, 러시아혁명] 러시아의 역사와 구소련의 붕괴 과정 및 러시아혁명 심층 분석-14
 15  [러시아, 구소련, 러시아혁명] 러시아의 역사와 구소련의 붕괴 과정 및 러시아혁명 심층 분석-1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러시아, 구소련, 러시아혁명] 러시아의 역사와 구소련의 붕괴 과정 및 러시아혁명 심층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러시아의 역사
1. 고대 러시아
2. 몽고의 침략과 모스크바의 등장
3. 로마노프 시대
4. 나폴레옹의 러시아 침략
5. 러시아혁명
6. 소비에트 시대

Ⅲ. 구소련의 붕괴 과정
1. 발트 3국의 독립 선언
2. 옐친의 공산당 탈당
3. 8월 쿠데타

Ⅳ. 러시아혁명과 공동체의식
1. 1905년의 혁명과 소비에트
2. 1917년의 혁명과 노동자 자율경영

Ⅴ. 러시아혁명의 실패
1. 제3인터내셔널
2. 독일 혁명
3. 실패의 이유

Ⅵ.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러시아는 역사적으로 공동체적 집단주의에 강한 집착을 보여왔다. 19세기의 농민공동체가 그러했었고 러시아혁명은 볼쉐비키의 이데올로기에 의해 이루어졌다기 보다는 러시아인들이 전통적으로 가지고 있던 집단적 평등의식을 추구하는 집단정서가 자연발생적으로 만들어낸 산물이었다. 그리고 1917년 혁명의 결과 만들어진 소비에트 체제 역시 그 모습은 다를지라도 러시아인의 집단주의적 정서에 기반을 두고 정당성을 얻어내고 있었으며 러시아인들은 그 속에서 자신들의 정체의식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사회주의 체제의 붕괴와 함께 집단주의를 떠받쳐주던 이론적 받침대도 함께 사라지면서, 그리고 개인주의를 근간으로 하는 서구 시장경제 제도가 이루어지면서 러시아 역사 속에서 이어져 오던 집단주의적 정체감은 뿌리째 흔들리고 그 자리에는 대신 개인주의적 행동양식으로 채워지고 있다. 그렇다면 과연 러시아는 서구적 의미의 개인주의와 시민사회로 나아가고 그 속에서 전혀 새로운 정체의식을 가지게 될 것인가? 외면적으로 볼 때에는 그렇다. 특히 나이든 세대일수록 과거의 전통적 요소에 대한 향수와 집착이 강한 반면 젊은 세대일수록 개혁적이고 개인주의적인 성향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시간이 흐를수록 지금의 젊은 세대들이 앞으로의 러시아 사회를 주도하게 될 것이라는 점에서는 그렇다고 할 수 있다.
어번은 현재의 정치 및 사회적 정체의식의 문제는 개혁세력인 옐친과 정부집단과 보수세력인 공산주의 및 민족주의 집단 사이의 갈등해결에 달려있다고 보면서 해결방안으로 전 민족적 바탕에서 합의를 이끌어낼 수 있는 새로운 민족이데올로기(national ideology)의 형성을 논의하고 있다. 그러나 새로운 민족 이데올로기는 NATO의 동쪽으로의 확장으로 국가안보와 군사전략, 그리고 서방세계에 대한 신뢰의 문제 등이 야기되었고 이 때문에 개혁세력과 보수세력 사이에 다시 첨예한 대립의 양상을 띠고 있다고 본다. 그리고 어번은 다음과 같이 까라 무르자(Kara-Murza)의 말을 인용한다. ꡒ우리는 문화적 측면에서 우리를 유럽이 한 부분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유럽은 러시아를 유럽의 한 부분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바로 이것이 문제이다. 그들은 우리를 두려워하고 있다. 우리는 유럽의 손님으로 취급되고 있다. .....ꡓ 그리고 어번은 다음과 같이 결론을 내리고 있다. ꡒ민족 이데올로기의 형성여부는 전
참고문헌
김민제 - 러시아혁명의 환상과 현실, 서양근대혁명사 제 3부, 서울 역민사, 1998
빅또르 세르쥬 - 러시아혁명의 진실, 풀무질, 1996
쉴라 피츠페트릭 저&김부기 역 - 러시아혁명(1917~1932), 대왕사, 1990
이인호 엮 - 러시아혁명사론, 까치, 1992
임희완 - 서양사의 이해, 박영사, 1999
장진헌 - 러시아 문화의 이해, 학문사, 2005
한기영 - 러시아혁명의 해석, 제주대학교 출판부, 1998
한국슬라브학회편 - 러시아혁명기의 사회와 문화, 서울 민음사, 1988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