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영화] 누벨바그

 1  [프랑스영화] 누벨바그-1
 2  [프랑스영화] 누벨바그-2
 3  [프랑스영화] 누벨바그-3
 4  [프랑스영화] 누벨바그-4
 5  [프랑스영화] 누벨바그-5
 6  [프랑스영화] 누벨바그-6
 7  [프랑스영화] 누벨바그-7
 8  [프랑스영화] 누벨바그-8
 9  [프랑스영화] 누벨바그-9
 10  [프랑스영화] 누벨바그-10
 11  [프랑스영화] 누벨바그-11
 12  [프랑스영화] 누벨바그-12
 13  [프랑스영화] 누벨바그-13
 14  [프랑스영화] 누벨바그-14
 15  [프랑스영화] 누벨바그-15
 16  [프랑스영화] 누벨바그-16
 17  [프랑스영화] 누벨바그-17
 18  [프랑스영화] 누벨바그-18
 19  [프랑스영화] 누벨바그-19
 20  [프랑스영화] 누벨바그-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프랑스영화] 누벨바그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누벨바그란?
누벨바그의 등장배경
1. 사회적 배경
2. 사상적 배경
3. 문화적 배경
누벨바그 이전 영화사
1. 영화의 탄생 (1890's~ Early 1900's)
2. 프랑스 인상주의 (1920's)
3. 프랑스 시적리얼리즘 (1930's~1940's)
4. 이탈리아 네오리얼리즘 (1940’s~ 1950’s)
5. 프랑스 작가주의 (1950‘s)
누벨바그의 연혁
누벨바그의 영향
누벨바그의 형식
누벨바그 대표 감독
누벨바그 대표작
쥴앤짐 분석

본문내용
◆ 20∼30대의 젊은 영화인들이 전통적인 영화에 대항하여
새로운 영화제작을 시작한 것으로, 직업의식을 갖지 않은
작은 그룹에 의한 제작이 많음.

◆ 줄거리보다 표현에 중점을 두고 현실과 카메라와의 직접적인
접촉을 중시하여, 예컨대 즉흥연출, 장면의 비약적 전개, 완결
되지 않은 스토리, 영상의 감각적 표현 등에 의하여 종래의
영화개념을 변화시킴.

◆ 앙드레 바쟁이 주재하는 잡지《카이에 뒤 시네마》의
비평가 동인이 주류를 이룸

◆ 시네마 테크(영화자료관)에서 고전작품을 공부하고 ‘개인의
영화’와 ‘작가주의’를 주장. 2∼3년 후 자연 도태되었으나
세계 영화에 끼친 영향이 큼



http://100.naver.com/100.nhn?docid=40196


1. 사회적 배경
* 2차 세계대전 기간 중 독일 지배하의 프랑스:

◆ 정치적, 사회적 혼란
◆ 레지스탕스 운동과 씨네 클럽의 활성화 → 문학과 영화 토론

* 전쟁 종식 후의 프랑스

◆ 계속되는 식민지 투쟁과 여전히 불안정한 국내사회
◆ 미국의 재정원조 ‘마셜 플랜’
→ 경제성장, 소비급증, 생활수준 향상
→ 미국 할리우드 영화의 범람
→ 스크린 쿼터 제도 & 사전 투자 제도
→ 비교 통해 자국 영화 비판 (카이에 뒤 시네마)
→ 지나친 소비와 물질주의 → 자성적, 비판적 움직임 시작
◆(1956) 유급휴가제도 도입
→ 新 여가문화 탄생 & 주말 휴가의 보편화
→ 지적 성숙도 향상 → 새로운 문화에 대한 갈증


2. 사상적 배경

* 세계대전, 경제위기, 나치즘, 전후 냉전
◆ 기존의 합리주의적, 낙관주의적 사상에 타격
◆ 타락하고 부조리한 사회에 대한 염세주의적, 비판적 태도 형성
◆‘실존하는 것’에 대한 관심과 현상의 ‘우연성’에 대한 회의, 불안

* 장 폴 사르트르의 무신론적 실존주의:
◆ 인간은 본질을 갖지 않고 (백지 상태로) 태어난다. = 실존 > 본질
◆ 개인은 실존에 기초하여 자발적, 주체적으로 삶을 이끌어 나간다.
◆ 인간이 이 세상에 존재하는 현상 = 부조리
◆ 인간실존 자체의 우연성, 인간과 세상과의 관계 (삶)에서 발생하는 우연성의 강조

* 알베르 까뮈와 :
◆ 주인공 뫼르소: 세상에 무관심한 인간의 전형. 우연하게 저지른 살인으로 사형 선고 받고 세상의 부조리함 인식
◆ 뫼르소의 살인: 본질적으로는 ‘나쁜 행위’ but 실존적으로 파악하면 ‘우연한 행위’ → 실존이 본질에 앞선다면?

* 누벨바그와의 관계
◆ 영화 주인공들의 동기와 목적, 인과관계가 결여된 우연한 행위들
◆ 논리적으로 이해할 수 없는 일탈적 에피소드
◆ 실존주의적으로 바라본다면 이해할 필요도, 비난할 필요도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