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 국어] 연결어미에 대하여

 1  [중세 국어] 연결어미에 대하여-1
 2  [중세 국어] 연결어미에 대하여-2
 3  [중세 국어] 연결어미에 대하여-3
 4  [중세 국어] 연결어미에 대하여-4
 5  [중세 국어] 연결어미에 대하여-5
 6  [중세 국어] 연결어미에 대하여-6
 7  [중세 국어] 연결어미에 대하여-7
 8  [중세 국어] 연결어미에 대하여-8
 9  [중세 국어] 연결어미에 대하여-9
 10  [중세 국어] 연결어미에 대하여-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중세 국어] 연결어미에 대하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ⅰ 대등적 연결 어미

ⅱ. 종속적 연결 어미

ⅲ. 그 밖의 연결 어미들

Ⅲ. 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연결어미는 어간에 붙어 다음 말에 연결하는 구실을 하는 어미이다. 홑문장은 연결 어미와 결합하여 다른 홑문장에 이어질 수 있는데, 이처럼 두 개 이상의 홑문장이 이어져 구성된 겹문장을 ‘이어진 문장’이라고 부른다. 이어진 문장에서 앞에 위치하는 절을 ‘선행절’이라고 하고, 뒤에 위치하는 절은 ‘후행절’이라고 한다. 이어진 문장은 선행절과 후행절의 의미 관계에 따라 ‘대등하게 이어진 문장’과 ‘종속적으로 이어진 문장’으로 나눌 수 있다.
대등하게 이어진 문장에서는 선행절과 후행절이 ‘대등적 연결 어미’에 의하여 대등한 자격으로 이어진다. 종속적으로 이어진 문장에서는 선행절이 ‘종속적 연결 어미’에 기대어 후행절에 종속적으로 이어진다. 중세국어에서는 문장을 종속적으로 이어 주는 연결 어미가 많이 사용되었다. 이 조사에서는 대등적 연결어미와 종속적 연결어미, 그 밖의 연결어미의 층위로 나누어서 중세 국어에서의 연결어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Ⅱ. 본론

ⅰ 대등적 연결 어미
대등하게 이어진 문장은 연결 어미 ‘-고, -며, -나’ 등에 의해 이루어진다. ‘-고’와 ‘-며’는 주로 ‘나열’의 관계로 이어질 때 쓰이며 ‘-나’는 ‘선택’의 관계로 이어질 때 쓰인다.

(1) 가. 부톄 겨샤 일후미 釋迦牟尼(석가모니)시고, 어마님 일후믄 摩耶(마야)ㅣ시고, 아바
참고문헌


고영근(1997), , 서울: 집문당.
국립국어연구원(1996), , 서울: 국립국어연구원.
안병희 ․ 이광호(1990), , 서울: 학연사.
이용(2003), , 서울: 역락.
안주호(2002), 「원인을 나타내는 연결어미에 대한 통시적 고찰 : 류를 중심으로」언어학 34 (2002.12), 한국언어학회.
이내호(2005) 「후기 중세국어의 ‘-거-’통합형 연결어미에 대한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대학원 (2005).
네이버 용어사전 중 고전용어 http://terms.naver.com/list.nhn?dirId=1001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