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V(케이블TV) 프로그램들의 사회문화적 기능과 역할

 1  CATV(케이블TV) 프로그램들의 사회문화적 기능과 역할-1
 2  CATV(케이블TV) 프로그램들의 사회문화적 기능과 역할-2
 3  CATV(케이블TV) 프로그램들의 사회문화적 기능과 역할-3
 4  CATV(케이블TV) 프로그램들의 사회문화적 기능과 역할-4
 5  CATV(케이블TV) 프로그램들의 사회문화적 기능과 역할-5
 6  CATV(케이블TV) 프로그램들의 사회문화적 기능과 역할-6
 7  CATV(케이블TV) 프로그램들의 사회문화적 기능과 역할-7
 8  CATV(케이블TV) 프로그램들의 사회문화적 기능과 역할-8
 9  CATV(케이블TV) 프로그램들의 사회문화적 기능과 역할-9
 10  CATV(케이블TV) 프로그램들의 사회문화적 기능과 역할-10
 11  CATV(케이블TV) 프로그램들의 사회문화적 기능과 역할-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CATV(케이블TV) 프로그램들의 사회문화적 기능과 역할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문제 제기
2. MPP 채널들의 자체 제작 프로그램들의 현(現)주소
1) 영화 프로그램(분석 채널 : CGV)
2) 음악 프로그램(분석 채널 : Mnet)
3) 스포츠 프로그램(분석 채널 : XTM, Xports)
4) 연예·오락 프로그램(분석 채널 : TVN)
3. CATV 프로그램과 성(性)
4. CATV 프로그램과 폭력성
5. 우리나라 CATV 프로그램들의 사회 문화적 기능과 역할
6. 참고문헌
본문내용
1. 문제 제기
분석신문



1991년 시험방송을 시작으로 1995년 본격적인 방송을 시작한 우리나라의 CATV. 시청자에게 다양한 선택권을 주고, 지상파 방송에는 볼 수 없었던 다양한 영역의 정보들을 쉽게 접할 수 있는 케이블 방송은, 시청자들을 세분화 시킬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하지만 케이블 방송이 대중화 된 10여년이 지난 지금, 케이블 방송은 ‘선정성’이라는 화두에 직면 해 있다.
지난 3월 여성의 벗은 몸 위에 초밥을 올려놓고 시식하는 장면으로 호된 뭇매를 맞은 ETN ‘백만장자의 쇼핑백’의 ‘네이키드 스시’를 비롯해 ‘판도라의 상자’, ‘늑대들의 본능토크’, ‘빤따스틱 핫바디’등의 선정성과 ‘깊은 밤 초이스 2.0’, ‘tvNgels’, ‘원더풀 섹스월드’ 등의 케이블 프로그램들의 음란성은 상상을 초월한다.
지상파보다 훨씬 심한 케이블 TV의 선정성이야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지만, 지난 2월말 기구개편으로 사실상 방송심의 기능이 일시 중단된 동안, 그 도를 넘어섰다. 지난 14일 보건복지가족부가 시민언론단체에 의뢰해 조사한 분석결과에서도 케이블 TV의 심야시간대에 방송된 221개 프로그램 중 56.6%(125개)가 청소년이 보기에 부적합한 것으로 드러났다.
우리 조원들은 과연 CATV 대중 문화적 속성 가운데, 가장 논란이 되는 성(性) 역할의 문제, 폭력성의 문제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했다. 케이블 MPP들의 자체제작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영화 프로그램, 음악 프로그램, 스포츠 프로그램, 연예·오락 프로그램으로 나누어 CATV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CATV 프로그램들이 그려내고 있는 여성의 역할과 이미지는 어떠하며, 폭력성은 어떤 수준인지를 살펴봄으로서, 우리나라 CATV 프로그램들이 사회문화적으로 어떠한 기능을 수행하는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2. MPP 채널들의 자체 제작 프로그램들의 현(現)주소

일단 우리나라 CATV에는 5대 MPP가 존재하고 있었다. 온미디어, CJ 미디어, MBC 플러스, SBS 미디어넷, KBS SKY의 5대 MPP가 존재하였는데, 이 중에서 MBC 플러스, SBS 미디어넷, KBS SKY의 3개 계열은 지상파 계열이라서 CATV만의 대중 문화적 속성을 논하기에는 문제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그리고 온미디어 계열의 채널들은 자체
참고문헌
1) 세부분석 프로그램 : 아찔한 소개팅, 추적 엑스보이 프렌드, 막돼먹은 영애씨, 독고영재의 스캔들, 정조암살 미스터리 8일, 섹시몽 리턴즈, K-1 [5월 19일(월)~5월 23일(금)]
2) 방송진흥원보고서, [TV에 나타난 직업과 이미지 분석], 강익희, 2001
3) 방송위원회, [텔레비전 폭력연구], 1996
4) 나남출판, [21세기 한국방송의 좌표], 김지운외 공저,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