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묘 답사보고서

 1  종묘 답사보고서-1
 2  종묘 답사보고서-2
 3  종묘 답사보고서-3
 4  종묘 답사보고서-4
 5  종묘 답사보고서-5
 6  종묘 답사보고서-6
 7  종묘 답사보고서-7
 8  종묘 답사보고서-8
 9  종묘 답사보고서-9
 10  종묘 답사보고서-10
 11  종묘 답사보고서-11
 12  종묘 답사보고서-12
 13  종묘 답사보고서-13
 14  종묘 답사보고서-1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종묘 답사보고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종묘

1. 개관종묘

2. 역사

3. 건조물

Ⅱ. 종묘제례

1. 개관

2. 역사

3. 종묘제례 절차

4. 유네스코 지정 이유

Ⅲ. 종묘제례악

1.개관 및 역사

2. 팔일무(八佾舞)


본문내용
Ⅰ. 종묘

1. 개관종묘

종묘는 1963년 1월 18일 사적 제 125호로 지정되었다. 총면적 5만 6503평의 규모로 서울 종로구 훈정동에 위치한다. 원래는 정전(正殿)을 가리키며, 태묘(太廟)라고도 한다. 중국의 우(虞)나라에서 처음 시작된 종묘제도는 은(殷)·주(周) 시대에는 7대조까지 묘(廟)에 봉안하는 7묘제가 시행되다가 명(明)나라 때에는 9묘제로 바뀌었다. 한국의 경우 종묘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392년(고구려 고국양왕 9)에 보이며, 신라에서는 5묘제, 고려에서는 7묘제로 하였다. 조선 초기에는 7묘제를 따르다가 중기 이후부터는 치적이 많은 왕은 7대가 지나도 정전에 그대로 모셨으며, 그 밖의 신주는 일정한 기간이 지나면 영녕전(永寧殿)으로 옮겨 모셨는데, 이를 조천(祧遷)이라고 하였다. 종묘는 조선왕조 역대 왕과 왕비 및 추존된 왕과 왕비의 신주를 모신 유교사당의 일종으로 가장 정제되고 장엄한 건축물 중의 하나로 꼽힌다. 종묘는 태조 3년(1394) 10월 조선왕조가 한양으로 도읍을 옮긴 그해 12월에 착공하여 이듬해 9월에 완공 하였으며, 곧이어 개성으로부터 태조의 4대조인 목조, 익조, 도조, 환조의 신주를 모셨다. 현재 정전에는 19실에 49위, 영녕전에는 16실에 34위의 신위가 모셔져 있고, 정전 뜰 앞에 있는 공신당에는 조선시대 공신 83위가 모셔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