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화사] 종묘란

 1  [한국문화사] 종묘란-1
 2  [한국문화사] 종묘란-2
 3  [한국문화사] 종묘란-3
 4  [한국문화사] 종묘란-4
 5  [한국문화사] 종묘란-5
 6  [한국문화사] 종묘란-6
 7  [한국문화사] 종묘란-7
 8  [한국문화사] 종묘란-8
 9  [한국문화사] 종묘란-9
 10  [한국문화사] 종묘란-10
 11  [한국문화사] 종묘란-11
 12  [한국문화사] 종묘란-12
 13  [한국문화사] 종묘란-13
 14  [한국문화사] 종묘란-14
 15  [한국문화사] 종묘란-15
 16  [한국문화사] 종묘란-16
 17  [한국문화사] 종묘란-17
 18  [한국문화사] 종묘란-18
 19  [한국문화사] 종묘란-19
 20  [한국문화사] 종묘란-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문화사] 종묘란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1. 종묘란

2. 종묘의 구성
1.외대문

2. 외대문 앞 하마비와 어정

3.망묘루

4.향대청

5.공민왕 신당

6.재궁(어숙실)

7.전사청

8.제정

9.수복방

10.정전

*정전 정문인 신문(神門)

*정전의 동문

*정전의 서문

*정전의 운궁

*신실의 감실

*정전 동익실

동월랑의 구름계단 소맷돌

*정전의 서익실

*정전의 월대

★종묘 정전 앞 하월대 돌바닥이 평평하지 않은 이유

*월대의 신로와 판위

*태계

*정전 지붕

*정전 회랑

*신실 판문

11.공신당

12.칠사당

13.영녕전

*영녕전의 신위봉안도

*영녕전이 정전 건물과 다른 점

*영녕전 건축물의 구조 및 특징

*영녕전의 정문인 신문(남문)

*영녕전의 월대

*영녕전의 동익랑

*영녕전의 서익랑

*영녕전 신실의 판문(널문)

*영녕전의 제기고

*영녕전의 중앙계단

*동문 밖의 판위와 찬막단

14.정전 악공청

15.영녕전 악공청

3. 종묘제례의 절차

➀신을 맞이하는 절차

②신이 즐기는 절차

③신을 보내는 절차

**재계

1. 취위

2. 청행례

3.신관례

4.진찬 (천조례)

5.초헌례

6. 아헌례

7. 종헌례

8. 음복례

9. 철변두(철찬)

10. 송신

11. 망료

12. 제후처리

#종묘제례의 의의

#세계무형유산에 등재된 종묘제례

4. 일무

1. 문무
2. 무무

5. 악장

6. 의복

7. 악기

8. 중국의 종묘제례
9. 종묘사직
* 종묘사직의 오늘날 의미

- 참 고 문 헌 -

본문내용
9. 종묘사직종묘사직(宗廟社稷)
종묘는 왕실의 사당이고 사직은 땅의 신인 사(社)와 곡식의 신인 직(稷)을 함께 이르는 말이다. 조선은 농경 중심의 유교사회였다. 그러므로 성리학에 입각해 조상을 모시는 종묘와 농사를 관장하는 사직신을 모시는 사직단이 정신적인 지주가 되었던 것이다. 이로 인해 종묘사직이란 말은 곧 나라의 운명과 같은 뜻으로 쓰였다. 사극에서 가끔 나오는 대사 “폐하, 종묘사직을 지키시옵소서”라는 말은 나라의 근본을 지키라는 말이다. 이 종묘사직은 줄여서 종사(宗寺)라 하기도 한다.

사직단 :종묘(宗廟)와 함께 나라의 신과 곡식을 맡은 신에게 제사지내는 제단. 보통 도성의 서쪽에 설치하며 우리나라에서는 한성부 의인달방(儀仁達坊)에 있는데 지금의 사직공원 자리이다.
-고려 제 5대 성종 때 세움
-종묘와 다른점: 종묘가 한 나라에 한 곳에만 설치될 수 있는 데 반하여 사직은 도성은 물론 지방의 각 행정 단위마다 설치되어 왕을 대신하여 지방 수령이 제례를 지내는 점.
=> 보편적인 점에서는 사직이 오히려 종묘보다 더 비중이 크다고 할 수 있다.
-기원: 중국(종묘와 같음)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음(종묘와 같음)
-부속 건물 가운데 지금 안향청과 정문만 남아있음.
* 종묘사직의 오늘날 의미
조선 왕조가 막을 내린 뒤 사직단에서 드리던 제례는 함께 종식을 고하였다. 종묘 제례는 내용이 축소되어 한동안 지속되다가 1945년 이후로 중단되었다. 제례가 치러지지 않게 되면서 사직단과 종묘는 많은 훼손을 당하였음은 물론이다. 사직단은 이미 일정기에 공원으로 개조되어 조선 최고의 제례 공간이 갖던 신성한 분위기가 사라졌다. 경희궁에 있던 황학정이 이곳으로 이전되고 소나무가 울창하던 주변에는 단풍나무, 벚나무가 심어졌으며 부속 건물이 철거되고 경역이 크게 줄어들었다. 해방 이후에도 사직단은 계속 공원으로 사용되어 60년대에는 도시 계획으로 정문이 뒤로 물러나고 70년대에는 도서관, 동사무소, 수영장 등이 들어섰다. 1985년경에 와서야 뒤늦게 사직단을 복원하기 위한 조사가 이루어지고 단과 그 주변이 일부 복원되었으나 이미 과거의 분위기는 전혀 되찾지 못하고 있다. 종묘는 이미 일제시대 때 치명적인 훼손이 가해졌다. 종묘의 주산인 응
참고문헌
- 참 고 문 헌 -
․위키백과, 다음, 네이버의 각종 사전
․문화재청 종묘 http://jm.cha.go.kr/
․문화재청 http://www.cha.go.kr/
․종묘대제 http://www.jongmyo.net/
․문화콘텐츠닷컴 http://jongmyojeryeak.culturecontent.com/
․http://unesco114.blog.me/110066207941
및 각종 블로그, 카페


․국립국악원,『종묘제례악』,서울: 국립국악원, 2006.
․지두환, 『(세계문화유산) 종묘 이야기 』,파주 : 집문당, 2005.
․김동욱, 『종묘와 사직』,서울 : 대원사, 1990
․송지원 외1인,『종묘제례악-중요무형문화재 제 1호』, 서울: 민속원, 2008.
․국립문화재연구소,『종묘제례 』, 서울: 민속원, 2008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