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 사례조사] 백순실 미술관 사례조사

 1  [건축 사례조사] 백순실 미술관 사례조사-1
 2  [건축 사례조사] 백순실 미술관 사례조사-2
 3  [건축 사례조사] 백순실 미술관 사례조사-3
 4  [건축 사례조사] 백순실 미술관 사례조사-4
 5  [건축 사례조사] 백순실 미술관 사례조사-5
 6  [건축 사례조사] 백순실 미술관 사례조사-6
 7  [건축 사례조사] 백순실 미술관 사례조사-7
 8  [건축 사례조사] 백순실 미술관 사례조사-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건축 사례조사] 백순실 미술관 사례조사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삶과 집의 문화
이 건축은 미술관 기능과 집 주인이며 화가인 백순실의 거주와 작업공간을 프로그램으로 한다. 화가 백술실의 거친 ‘대지의 노래’와 가라앉는 ‘동다송(東茶頌)’이 이 집을 짓는 일에 귀착된다. 그리고 우경국이 추구하는 집이라는 ‘물질의 필획’으로 현상을 그물질한다.
그는 원래 도시 한가운데서 살며 작업하다가 일 년 전에 헤이리에 이주하였다. 원래 그의 도시생활은 환경적인 조건일 뿐 그의 마음은 마치 도자의 생각을 닮았다. 그리고 그림은 번잡한 것을 피하려는 동양 회화의 담채와 같은 삶의 색깔을 지니는 것이다. 그러하고 보면 백순실의 미학이 거기에 있다. ‘여러 생성적인 기호들, 그 작은 단위들이 서로 응집되기도 확산되는, 이 언저리에 끼어드는 자연의 이미지들, 결국 어떤 풍격의 단면을 만드는 일, 전체적으로는 추상의 화면을 유지하면서도 분명한 자연의 이미지.’ 미술이 개인적으로 또는 사회적으로 삶의 질감을 윤기나게 하는 것이며, 그것은 다시 이 집에 연유한다. 그게 헤이리에, 특히 예술가들이 모여 사는 이유인 모양이다.

백순실 화백의 90년대 작업인 ‘대지의 노래’와 그 작품과 소통하며
이 땅의 야생적 흔적을 표현하는 백순실 미술관의 콘크리트 벽면

조선시대 전통가옥인 경북 월성 양동마을의 향단을 재해석하여 디자인한 이 미술관은 경사지에 U자형 배치로 중앙에 마당을 두고 좌 ․ 우측에 작업실과 주거, 그리고 전면 가로변에는 전시실을 배치하였으며 필로티 하부로 진입, 연못위에 설치된 경사로를 따라 건물의 중심공간으로 접근하도록 되어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