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국어기초이론] 국어과의 성격, 목표, 내용, 학년별 내용 분석

 1  [초등국어기초이론] 국어과의 성격, 목표, 내용, 학년별 내용 분석-1
 2  [초등국어기초이론] 국어과의 성격, 목표, 내용, 학년별 내용 분석-2
 3  [초등국어기초이론] 국어과의 성격, 목표, 내용, 학년별 내용 분석-3
 4  [초등국어기초이론] 국어과의 성격, 목표, 내용, 학년별 내용 분석-4
 5  [초등국어기초이론] 국어과의 성격, 목표, 내용, 학년별 내용 분석-5
 6  [초등국어기초이론] 국어과의 성격, 목표, 내용, 학년별 내용 분석-6
 7  [초등국어기초이론] 국어과의 성격, 목표, 내용, 학년별 내용 분석-7
 8  [초등국어기초이론] 국어과의 성격, 목표, 내용, 학년별 내용 분석-8
 9  [초등국어기초이론] 국어과의 성격, 목표, 내용, 학년별 내용 분석-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초등국어기초이론] 국어과의 성격, 목표, 내용, 학년별 내용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국어과의 성격
(1) 전반적인 국어과의 성격
(2) 교육 내용 범주
(3) 창의적인 국어사용능력 향상을 위하여
(4) 국어활동(듣기,말하기,읽기,쓰기) 학습
(5) 문법 학습
(6) 문학 학습
(7) 지향점의 초.중등 분리

2. 국어과의 목표
교육목표 원문
전문
세부목표 (가)
세부목표 (나)
세부목표 (다)
3. 국어과의 내용
(1) 내용 체계
(2) 학년별 내용

본문내용
1. 국어과의 성격


7차 교육과정
2007 개정 교육과정




▪ “한국인의 삶이 배어 있는 국어를 창의적으로 사용하는 능력과 태도를 길러, 정보사회에서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국어 생활을 영위하고, 미래 지향적인 민족 의식과 건전한 국민 정서를 함양하며, 국어 발전과 국어 문화 창달에 이바지하려는 뜻을 세우게 하기 위한 교과”
▪ 국어가 사용되는 맥락과 목적과 대상에 대한 종합적 고려/ 국어사용 양상과 내용에 대한 비판적 이해/ 사상.정서의 효과적.창의적 표현능력에 중점을 둔다고 해석
▪ 국어과 교육의 핵심적 과제 : 창의적인 국어사용능력 향상 (밑줄친 부분에서 알 수 있다.)
▪ “한국인의 삶이 배어 있는 국어를 창조적으로 사용하는 능력과 태도를 길러, 국어를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하게 하고, 미래 지향적인 민족의식과 건전한 국민 정서를 함양하며, 국어 발전과 국어 문화 창달에 이바지하려는 뜻을 세우기 하기 위한 교과”
▪ 기능적 문식성의 신장/ 국어 문화의 창조/ 공동체의 발전과 자아 성장에 중점을 둔다고 해석
☞전반적인 국어과의 성격은 내용이 거의 바뀐 것이 없으나, 해석이 달라졌다. 이는 7차에서 성격을 정의한 내용과 그에 대한 해석이 서로 어떻게 연계되는지 모호하다는 문제를 2007 개정에서 해결한 것으로 보인다. “국어를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하게 하고”→기능적 문식성의 신장, “미래 지향적인 민족의식과 건전한 국민 정서를 함양하며”→공동체의 발전과 자아 성장, “국어 발전과 국어 문화 창달에 이바지”→국어 문화의 창조.

(2) 교육 내용 범주
6영역: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국어 지식, 문학
☞언어(6차) → 국어 지식(7차)
6영역 :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문법, 문학
☞국어지식(7차) → 문법(2007 개정)
☞6차-7차-2007개정으로 올수록 범주명이 더욱 구체화됨을 알 수 있다.
(3) 창의적인 국어사용능력 향상을 위하여
▪ 창의적인 국어사용능력 = 언어를 통합적으로 운용하는 능력 (의미를 언어화하고 그 안에서 의미를 추출하여 재구성하는데 필요한 지식, 기능, 태도의 학습이 균형있게 이루어질 때 신장됨)
▪ 창의적인 국어사용능력 신장하려면 : 국어활동의 지적 기반으로서 지식 학습이 강조되어야 한다. (반복에 의한 숙달보다 언어 활동, 언어, 문학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의 체계적인 학습이 선행되어야 한다.)
▪ 7차와 거의 동일하나, “지식, 기능, 태도의 균형성” → “지식, 기능, 맥락의 균형성”으로 변경하였다. 이 3가지 요소는 국어교과의 내용체계 부분과의 연계성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 지적 기반으로서의 지식 학습은 여전히 강조하고 있다. (다만, 언어 활동, 언어, 문학 → 국어 활동, 국어, 문학으로 변경함으로써 포괄적인 범위를 구체화시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