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고분, 고구려벽화] 고구려 고분벽화 A+ 완벽정리

 1  [고구려고분, 고구려벽화] 고구려 고분벽화 A+ 완벽정리-1
 2  [고구려고분, 고구려벽화] 고구려 고분벽화 A+ 완벽정리-2
 3  [고구려고분, 고구려벽화] 고구려 고분벽화 A+ 완벽정리-3
 4  [고구려고분, 고구려벽화] 고구려 고분벽화 A+ 완벽정리-4
 5  [고구려고분, 고구려벽화] 고구려 고분벽화 A+ 완벽정리-5
 6  [고구려고분, 고구려벽화] 고구려 고분벽화 A+ 완벽정리-6
 7  [고구려고분, 고구려벽화] 고구려 고분벽화 A+ 완벽정리-7
 8  [고구려고분, 고구려벽화] 고구려 고분벽화 A+ 완벽정리-8
 9  [고구려고분, 고구려벽화] 고구려 고분벽화 A+ 완벽정리-9
 10  [고구려고분, 고구려벽화] 고구려 고분벽화 A+ 완벽정리-10
 11  [고구려고분, 고구려벽화] 고구려 고분벽화 A+ 완벽정리-11
 12  [고구려고분, 고구려벽화] 고구려 고분벽화 A+ 완벽정리-12
 13  [고구려고분, 고구려벽화] 고구려 고분벽화 A+ 완벽정리-13
 14  [고구려고분, 고구려벽화] 고구려 고분벽화 A+ 완벽정리-14
 15  [고구려고분, 고구려벽화] 고구려 고분벽화 A+ 완벽정리-15
 16  [고구려고분, 고구려벽화] 고구려 고분벽화 A+ 완벽정리-16
 17  [고구려고분, 고구려벽화] 고구려 고분벽화 A+ 완벽정리-1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구려고분, 고구려벽화] 고구려 고분벽화 A+ 완벽정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고대의 고분벽화

2. 고구려 고분벽화의 분류
(1) 주제별 분류
(2) 연대별 분류

3. 초기(약 350 ~ 약 450년)의 고분벽화
(1) 동수묘(冬壽墓)-안악 3호분
(2) 덕흥리 고분벽화

4. 중기(약 450 ~ 약 550년)의 고분벽화
(1) 쌍영총(雙楹塚)
(2) 무용총(舞踊塚)

5. 후기(약 550 ~ 668년)의 고분벽화

6. 그 외의 고분벽화
(1) 모두루총(牟頭婁塚)
(2) 각저총(角抵塚)
(3) 통구12호분(通溝十二號墳)
(4) 삼실총(三室塚)
(5) 장천1호분(長川一號墳)
(6) 오회분5호묘(五灰憤五號墓)
(7) 오회분4호묘(五灰憤四號墓)

7. 고구려 고분벽화의 특성

8. 고분벽화 풍속도에 투영된 고구려인의 사상

9. 고분벽화에 나타난 고구려의 생활풍속

10. 벽화고분의 분포와 조사

11. 맺음말

12. 참고자료
본문내용
1. 고대의 고분벽화

고분의 무덤 칸에 그려진 그림. 고분 벽화는 고대 회화의 제작 과정, 표현 기법과 수준, 안료 및 아교 제조술 등 여러 가지 특징을 잘 보여 준다. 뿐만 아니라 고대 사회의 생활 풍속·신앙·종교·사상 등을 생생하게 담아내고 있어 역사·문화 자료로서 높은 가치를 지닌다. 무덤 칸에 벽화를 그리는 방법에는 벽이나 천장 면에 직접 그리는 조벽지법과 회칠을 하여 벽면을 고른 후 그리는 화장지법이 있다. 화장지법은 다시 회가 마르기 전에 그 위에 그림을 그리는 습지 벽화법인 프레스코법과 회가 마른 후 그 위에 그림을 그리는 건지 벽화법인 세코법으로 나뉜다. 조벽지법에 의한 벽화는 매우 선명도가 높다. 그러나 외부 공기에 노출되거나 습기의 침투를 받으면 안료가 탈색되는 경향이 있어 이미 발굴된 고분 벽화의 경우 보존상 여러 가지 어려움을 야기시킨다. 화장지법에 의한 벽화는 그림의 선명도가 떨어지는 흠이 있다. 그러나 안료의 산화와 퇴색이 상대적으로 덜하여 오랜 시일이 흘러도 처음의 명도와 채도가 잘 유지되는 편이다. 제1기와 제2기로 분류되는 고구려의 고분 벽화는 대부분 이 습지 벽화법으로 그려졌다. 그러나 일부 건지 벽화법으로 그려진 부분도 있다.
한편, 제3기로 분류되는 고구려 고분 벽화는 석면 위에 직접 그림을 그리는 조벽지법으로 그려져 일부 고분 벽화의 경우에는 아직도 그림 속의 사신이 살아 꿈틀거리는 듯 생생하다. 고분 벽화는 성격상 장의 미술에 속하므로 공예화적인 요소를 짙게 지닌다. 때문에 고분 벽화를 그릴 때에는 습지 벽화법의 경우, 먼저 볏짚이나 갈대 따위를 잘게 썰어 넣어 반죽한 진흙을 바른다. 그 위에 다시 생석회와 모래를 짓이겨 만든 회반죽을 1∼3cm 두께로 칠한다. 그 다음에는 모본에 따라 묵이나 목탄, 먹 바늘 등으로 밑그림을 그린 후 채색을 한다. 따라서 밑그림이 어설프거나 그림 주제의 변경이 필요하게 되면, 다시 얇게 회칠을 더한 다음 밑그림을 새로 그리는 경우도 있다. 채색 안료로는 녹청석·군청석·진사·자토·황토, 금과 같은 광물질 가루를 투명성이 높고 점액성이 낮은 특수 아교에 개어 썼다. 색채는 갈색조를 바탕으로 흑색·황색·자색·청색·녹색 등을 자주 써 무덤 칸 내부가 화려하면서도 부드럽고 차분한 분위기를 자아내게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참고문헌
한국 미술사 김원용, 안휘준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3.6.10
동아원색 세계 백과사전 동아출판사 1991.6.1
한국민족문화 대백과 사전 한국정신 문화 연구원 1991.12.30
전호태, 『고구려 고분벽화 연구』, 사계절출판사, 2000
신형식, 국사편찬의원회 위원,
하고 싶은 말
지난 학기에 중간고사 대체 레포트로 작성했던 A+ 보고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