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랑, 정선아리랑, 진도아리랑, 밀양아리랑] 아리랑의 변천사와 아리랑의 어원 및 정선아리랑, 진도아리랑, 밀양아리랑의 비교 분석

 1  [아리랑, 정선아리랑, 진도아리랑, 밀양아리랑] 아리랑의 변천사와 아리랑의 어원 및 정선아리랑, 진도아리랑, 밀양아리랑의 비교 분석-1
 2  [아리랑, 정선아리랑, 진도아리랑, 밀양아리랑] 아리랑의 변천사와 아리랑의 어원 및 정선아리랑, 진도아리랑, 밀양아리랑의 비교 분석-2
 3  [아리랑, 정선아리랑, 진도아리랑, 밀양아리랑] 아리랑의 변천사와 아리랑의 어원 및 정선아리랑, 진도아리랑, 밀양아리랑의 비교 분석-3
 4  [아리랑, 정선아리랑, 진도아리랑, 밀양아리랑] 아리랑의 변천사와 아리랑의 어원 및 정선아리랑, 진도아리랑, 밀양아리랑의 비교 분석-4
 5  [아리랑, 정선아리랑, 진도아리랑, 밀양아리랑] 아리랑의 변천사와 아리랑의 어원 및 정선아리랑, 진도아리랑, 밀양아리랑의 비교 분석-5
 6  [아리랑, 정선아리랑, 진도아리랑, 밀양아리랑] 아리랑의 변천사와 아리랑의 어원 및 정선아리랑, 진도아리랑, 밀양아리랑의 비교 분석-6
 7  [아리랑, 정선아리랑, 진도아리랑, 밀양아리랑] 아리랑의 변천사와 아리랑의 어원 및 정선아리랑, 진도아리랑, 밀양아리랑의 비교 분석-7
 8  [아리랑, 정선아리랑, 진도아리랑, 밀양아리랑] 아리랑의 변천사와 아리랑의 어원 및 정선아리랑, 진도아리랑, 밀양아리랑의 비교 분석-8
 9  [아리랑, 정선아리랑, 진도아리랑, 밀양아리랑] 아리랑의 변천사와 아리랑의 어원 및 정선아리랑, 진도아리랑, 밀양아리랑의 비교 분석-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아리랑, 정선아리랑, 진도아리랑, 밀양아리랑] 아리랑의 변천사와 아리랑의 어원 및 정선아리랑, 진도아리랑, 밀양아리랑의 비교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아리랑의 변천사

Ⅲ. 아리랑의 어원
1. 김지연의 알영설
2. 김재수의 아랑설
3. 김덕장의 아이랑 설
4. 남도산의 아이롱 설
5. 강대호의 아난리 설
6. 권상노의 아이롱 설
7. 일본인 학자의 아미일영 설
8. 이능화의 아랑위 설
9. 양주동의 아리령 설
10. 이병도의 낙랑 설
11. 최재억의 알랑 설

Ⅳ. 정선아리랑, 진도아리랑, 밀양아리랑의 비교
1. 정선아리랑
2. 진도 아리랑
3. 밀양 아리랑
4. 정선, 진도, 밀양 아리랑의 비교

참고문헌
본문내용
국내에서 단편적으로나마 ꡐ아리랑ꡑ에 대한 연구를 시작한 시기는 1930년대를 전후한 시기라 할 수 있으며 이때부터 지금까지 제시된 각 기원설들은 모두 ꡐ아리랑ꡑ과 유사한 음을 전제로 해서 유추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아마도 이것은 논리의 전개면에서 타당한 것이라 생각되는데, 왜냐하면 현대부터 고대까지 올라가는 규명 작업에서 음의 유사성을 배제시킨다면 단서를 발견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자칫 잘못하면 연구의 의의마저 상실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면 각 학자들의 대표적인ꡐ아리랑ꡑ 기원에 대한 설들을 살펴보자.
첫째, 대원군의 경복궁 중건 시기에 파생되었다고 보는 아이롱(나는 귀가 먹었다), 아난리(나는 떠나고 싶어도 못 떠난다), 아리랑(나는 사랑하는 님을 떠난다)설 등은 다분히 대원군 당시 역사적 배경을 저변에 깔고 있으며, 이것을 다시 한문 표기 전설에 나오는 한자어구, 또는 문장을 끌어다 접합시킨 예 즉, 한자적 해석이다.
둘째, 알에 관련된 의견으로 ꡐ알영설ꡑ과 ꡐ알랑설ꡑ이 있는데, 직접적 대상은 ꡐ알ꡑ이고 민간 설화의 뒷받침이 어느 설보다 강하다. 알영이란 특정인의 이름이 『알영→아리령→아리랑』의 식으로 전음된 것이며, 알랑은 특정인이 아닌 ꡐ처녀·총각ꡑ의 의미를 가진다. 이런 식의 고유어적 해석이 제기된다.
셋째, 지명적 해석과 고유어(발 : 光明)+한자(嶺)의 혼합적 해석이 있다. 지명적 해석은 이병도씨가 ꡐ아리랑 아리랑… 아리랑 고개로 넘어간다ꡑ란 구절을 시대와 지방에 따라 공통된 것으로 보고, 그 고개를 역사적 변동기에 유이민이 남하하면서 정든 고향을 등지고 넘던 낙랑과 진번의 경계선 자비령으로 생각한 것이다. 즉, 낙랑-자비령-의 관계를 지나치게 밀착시키려 했다는 점에서 전자의 지명적 해석보다 후자의 고유어+한자의 해석이 많이 사용된다.
참고문헌
▷ 강등학(1998), 한국민요의 현장과 장르론적 관심, 집문당
▷ 기연갑(1998), 아리랑, 집문당
▷ 김연갑(1986), 민족의 숨결, 그리고 발자국 소리, 아리랑, 현대문예사
▷ 무학(1995), 아리랑 -우리정서, 우리문화-, 서문문화사
▷ 문동환(1985), 아리랑 고개의 교육, 한국 신학 연구소
▷ 신경림(1992), 강 따라 아리랑 찾아, 문이당
▷ 임동권(1980), 한국의 민요, 일지사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