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물놀이, 사물놀이악기, 사물놀이연주] 사물놀이의 등장, 사물놀이의 표현원리, 사물놀이의 악기, 사물놀이 악기의 잡는법과 연주법, 사물놀이의 연주 갈래 심층 분석

 1  [사물놀이, 사물놀이악기, 사물놀이연주] 사물놀이의 등장, 사물놀이의 표현원리, 사물놀이의 악기, 사물놀이 악기의 잡는법과 연주법, 사물놀이의 연주 갈래 심층 분석-1
 2  [사물놀이, 사물놀이악기, 사물놀이연주] 사물놀이의 등장, 사물놀이의 표현원리, 사물놀이의 악기, 사물놀이 악기의 잡는법과 연주법, 사물놀이의 연주 갈래 심층 분석-2
 3  [사물놀이, 사물놀이악기, 사물놀이연주] 사물놀이의 등장, 사물놀이의 표현원리, 사물놀이의 악기, 사물놀이 악기의 잡는법과 연주법, 사물놀이의 연주 갈래 심층 분석-3
 4  [사물놀이, 사물놀이악기, 사물놀이연주] 사물놀이의 등장, 사물놀이의 표현원리, 사물놀이의 악기, 사물놀이 악기의 잡는법과 연주법, 사물놀이의 연주 갈래 심층 분석-4
 5  [사물놀이, 사물놀이악기, 사물놀이연주] 사물놀이의 등장, 사물놀이의 표현원리, 사물놀이의 악기, 사물놀이 악기의 잡는법과 연주법, 사물놀이의 연주 갈래 심층 분석-5
 6  [사물놀이, 사물놀이악기, 사물놀이연주] 사물놀이의 등장, 사물놀이의 표현원리, 사물놀이의 악기, 사물놀이 악기의 잡는법과 연주법, 사물놀이의 연주 갈래 심층 분석-6
 7  [사물놀이, 사물놀이악기, 사물놀이연주] 사물놀이의 등장, 사물놀이의 표현원리, 사물놀이의 악기, 사물놀이 악기의 잡는법과 연주법, 사물놀이의 연주 갈래 심층 분석-7
 8  [사물놀이, 사물놀이악기, 사물놀이연주] 사물놀이의 등장, 사물놀이의 표현원리, 사물놀이의 악기, 사물놀이 악기의 잡는법과 연주법, 사물놀이의 연주 갈래 심층 분석-8
 9  [사물놀이, 사물놀이악기, 사물놀이연주] 사물놀이의 등장, 사물놀이의 표현원리, 사물놀이의 악기, 사물놀이 악기의 잡는법과 연주법, 사물놀이의 연주 갈래 심층 분석-9
 10  [사물놀이, 사물놀이악기, 사물놀이연주] 사물놀이의 등장, 사물놀이의 표현원리, 사물놀이의 악기, 사물놀이 악기의 잡는법과 연주법, 사물놀이의 연주 갈래 심층 분석-10
 11  [사물놀이, 사물놀이악기, 사물놀이연주] 사물놀이의 등장, 사물놀이의 표현원리, 사물놀이의 악기, 사물놀이 악기의 잡는법과 연주법, 사물놀이의 연주 갈래 심층 분석-11
 12  [사물놀이, 사물놀이악기, 사물놀이연주] 사물놀이의 등장, 사물놀이의 표현원리, 사물놀이의 악기, 사물놀이 악기의 잡는법과 연주법, 사물놀이의 연주 갈래 심층 분석-1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사물놀이, 사물놀이악기, 사물놀이연주] 사물놀이의 등장, 사물놀이의 표현원리, 사물놀이의 악기, 사물놀이 악기의 잡는법과 연주법, 사물놀이의 연주 갈래 심층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사물놀이의 등장

Ⅱ. 사물놀이의 표현원리

Ⅲ. 사물놀이의 악기
1. 꽹과리
2. 징
3. 장구
4. 북

Ⅳ. 사물놀이 악기의 잡는법과 연주법
1. 꽹과리
1) 꽹과리 잡는법
2) 꽹과리 주법
2. 징
1) 징의 잡는법
2) 징의 주법
3. 장구
1) 장구 잡는법
2) 장구의 주법
4. 북
1) 북의 잡는법
2) 북의 주법
3) 북 장단

Ⅴ. 사물놀이의 연주 갈래
1. 비나리
2. 웃다리 풍물놀이(중부 풍물놀이 가락)
3. 영남농악(경상도 매구 가락)
4. 호남우도농악(전라 우도굿 가락)
5. 삼도설장고(설장구 가락)
6. 삼도농악(삼도 풍물굿 가락)
7. 그 밖의 연주곡
1) 웃다리 풍물굿 가락(중부 풍물놀이 가락)
2) 영남 풍물굿 가락(경상도 매구 가락)
3) 호남 우도 풍물굿 가락(전라 우도굿 가락)
4) 호남 좌도 풍물굿 가락(전라 좌도굿가락)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사물놀이의 등장

건축가 김수근이 1977년에 지은 `공간사랑`이라는 건물이 있다. 이 곳은 그가 문화의 터전을 일구기 위한 장소로써 마련한 곳이었으며 많은 예인들이 즐겨 찾곤 했다. 사물놀이의 탄생도 이곳에서 비롯된다.
늠름한 모습의 청년들이 스스로 `남사당의 후예`임을 자처하며 첫 사물놀이 공연을 가진 것은 1978년 2월 28일 소극장 공간사랑에서 열렸던 `제1회 공간 전통음악의 밤`에서였다. 이 무대에서 김용배(쇠), 김덕수(장고), 최태현(북), 이종대(징) 등 젊은 타악 국악인 4명은 `웃다리풍물[경기.충청]가락`을 발표했고 그날 공연에 참석했던 사람들은 이들이 보여준 진기하고도 신명나는 연주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 사물놀이라는 명칭을 갖지 않은 채 가진 이날의 공연은 사물놀이 탄생의 서주에 해당하는 것이었다. 첫 공연 2개월 후 같은 장소에서 사물놀이의 성립을 알리는 제2회 연주(`영남풍물 12차 36가락`)가 있었으며, 이날 공연이 끝났을 때 민속학자 심우성 씨 등 지기들은 이들의 성공적인 공연을 축하하며 `사물(四物)놀이`라는 이름을 지어주었다. 이어서 1979년 5월에 1978년의 작업을 종합적으로 발표하는 기회를 갖게 되는데, 이는 사물놀이의 희망찬 앞날을 예고하는 것이었다. `사물놀이`는 자신들을 그냥 사물놀이라고 부르지만, 사물놀이단체가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많은 지금, 밖의 사람들은 그들을 다른 단체와 구별하기 위해 `김덕수패 사물놀이`라고 흔히 부른다.
창단멤버였던 김용배, 김덕수, 최태현, 이종대는 곧바로 김덕수, 김용배, 최종실, 최종석으로 새로운 팀을 구성했다가 1979년에 최종석이 이광수로 교체되었다. 이 무렵은 그들이 눈부신 활동이 국내외에서 호평을 받기 시작한 때였는데, 1983년 들어 꽹과리를 치던 김용배가 음악적인 견해차이를 이유로 탈퇴, 국립국악원 사물놀이를 창단했으나 1986년 복잡한 추측을 남긴 채 자살하고 말았다.
참고문헌
김헌선 / 김헌선의 사물 놀이 이야기, 풀빛
문서란(2002) / 사물놀이 자진모리장단이 노인의 상지근력활동도수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이성천 외(1995) / 국악개론
유광수(2003) / 한국 전통문화의 이해, MJ미디어, p234-p252 제 7장, 예술과 공예 참고
음악의 사회 심리학(1998) / 사물놀이 왜 인기인가
유미희(1988) / 한국춤에 나타난 신명에 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최익환(1995) / 풍물놀이 교본, 서울: 도서출판 풍물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