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재조명] 사헌부 사간원 홍문관 세 기관에 대한 통시적 고찰을 통해 알아 본 조선왕조

 1  [한국사재조명] 사헌부 사간원 홍문관 세 기관에 대한 통시적 고찰을 통해 알아 본 조선왕조-1
 2  [한국사재조명] 사헌부 사간원 홍문관 세 기관에 대한 통시적 고찰을 통해 알아 본 조선왕조-2
 3  [한국사재조명] 사헌부 사간원 홍문관 세 기관에 대한 통시적 고찰을 통해 알아 본 조선왕조-3
 4  [한국사재조명] 사헌부 사간원 홍문관 세 기관에 대한 통시적 고찰을 통해 알아 본 조선왕조-4
 5  [한국사재조명] 사헌부 사간원 홍문관 세 기관에 대한 통시적 고찰을 통해 알아 본 조선왕조-5
 6  [한국사재조명] 사헌부 사간원 홍문관 세 기관에 대한 통시적 고찰을 통해 알아 본 조선왕조-6
 7  [한국사재조명] 사헌부 사간원 홍문관 세 기관에 대한 통시적 고찰을 통해 알아 본 조선왕조-7
 8  [한국사재조명] 사헌부 사간원 홍문관 세 기관에 대한 통시적 고찰을 통해 알아 본 조선왕조-8
 9  [한국사재조명] 사헌부 사간원 홍문관 세 기관에 대한 통시적 고찰을 통해 알아 본 조선왕조-9
 10  [한국사재조명] 사헌부 사간원 홍문관 세 기관에 대한 통시적 고찰을 통해 알아 본 조선왕조-10
 11  [한국사재조명] 사헌부 사간원 홍문관 세 기관에 대한 통시적 고찰을 통해 알아 본 조선왕조-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사재조명] 사헌부 사간원 홍문관 세 기관에 대한 통시적 고찰을 통해 알아 본 조선왕조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사헌부

1. 사헌부란 무엇인가?

2. 사헌부의 구성

3. 사헌부의 구체적인 역할

4. 사헌부와 의금부, 사간원의 관계

5. 사헌부의 변화

사간원(司諫院)

1. 사간원은 무엇인가?

2. 사간원의 구성

3. 사간원의 구체적인 역할

4. 사헌부과 사간원의 관계 : 상호보완 & 견제

5. 홍문관의 관원이 될 수 있는 자격

6. 사간원의 폐단

홍문관[弘文館]

1. 홍문관은 무엇인가?

2. 홍문관의 구성

3. 홍문관의 구체적인 역할

4. 홍문관의 기원과 통시적인 변천

5. 홍문관의 관원이 되는 과정

[맺음말]

본문내용
언론 삼사, 그것이 알고 싶다!
-사헌부, 사간원, 홍문관 세 기관에 대한 통시적 고찰을 통해 알아 본 조선왕조-

사헌부

1. 사헌부란 무엇인가?

시정을 논의하고 백관을 규찰하며 관리들의 기강과 풍속을 바로잡는 관청. 즉 현재의 검찰청과 감사원과 비슷한 역할을 했던 관청. 통일신라시대의 사정부, 발해의 중정대에 연유하여 고려 초 사헌대라는 이름으로 시작, 그 후 1298(충렬왕 24년)에 사헌부로 개칭, 조선시대까지 그대로 이어지게 되었다. 이후 1894(고종 31) 관제개혁 때 폐지되었다.

2. 사헌부의 구성

경국대전에 명시된 사헌부의 구성은 대사헌(大司憲:종2품) 1명, 집의(執義:종3품) 1명, 장령(掌令:정4품) 2명, 지평(持平:정5품) 2명, 감찰(監察:정6품) 13명이며 서리(書吏) 39명을 두도록 하였다.

직책
품계
인원
대사헌
종2품
1명
집의
종3품
1명
장령
정4품
2명
지평
정5품
2명
감찰
정6품
13명
서리

39명


3. 사헌부의 구체적인 역할

가) 언론기능
원칙적으로는 사간원이 언론활동을, 사헌부는 관리 감찰, 법 집행 등을 맡고 있지만 사실 사헌부가 가장 많이 활동한 분야는 언론 분야였다. 간쟁, 탄핵 등 적극적인 언론 활동을 통해 이상 정치의 구현에 힘썼다. 심지어 세종 때 사헌부 집의로 있던 김종서는 도성의 출입이 금지되었던 양녕대군이 이를 어기고 도성을 드나들자 양녕대군의 탄핵을 주장하였다. 이는 사헌부의 강력하고 적극적인 언론활동을 보여준다.

나) 법사기능

왕의 명을 받들어 각종 법령을 시행하고 죄인을 국문하며 백관을 규찰하였다. 법령의 집행으로는 주로 금령(금주, 금렵 등)을 집행하는 것이었고 죄인의 국문은 의금부, 형조와 함께 중대 범죄인을 심문하는 일을 말하는 것이었다. 또한 지방에 분대(어사의 전신)를 파견하여 지방 관리를 규찰하였고 탄핵하는 일을 담당하였다.

다) 서경기능

서경은 동의를 요청하는 통첩을 받아 대간이 내용을 살핀 후 이를 응락할 경우에 한하여 서명하는 절차를 말한다. 고신서경과 의첩서경, 그리고 증유서경으로 나눌 수 있다. 고신서경은 5품이하의 관료의 인사에 동의하는 가장 중요한 서경권이다. 의첩서경은 법의 개폐와 상중에 있던 관리의 복귀가 이루어질 때 이를 대간이 동의하는 권한을 말한다. 증유서경은 각 지방의 지방관이 진상하는 특산물이 뇌물의 성격을 가지고 있는지 판단하는 일을 말한다. 하지만 이것은 법령의 실제화 단계에는 이르지 못했다.

라) 정치참여기능

왕이 중신을 만나서 정치적인 보고와 자문을 구하는 자리인 조계, 상참에 함께 참여하였다. 그리고 의정부, 육조와 함께 입법에 관한 논의에도 참여하는 등 활발한 정치활동을 펼쳤다.

4. 사헌부와 의금부, 사간원의 관계

사헌부는 왕에게 대항할 만큼 막강했기 때문에 견제기관이 필요하였다. 사헌부의 가장 큰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