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학] 청계천복원사업과환경

 1  [사회학] 청계천복원사업과환경-1
 2  [사회학] 청계천복원사업과환경-2
 3  [사회학] 청계천복원사업과환경-3
 4  [사회학] 청계천복원사업과환경-4
 5  [사회학] 청계천복원사업과환경-5
 6  [사회학] 청계천복원사업과환경-6
 7  [사회학] 청계천복원사업과환경-7
 8  [사회학] 청계천복원사업과환경-8
 9  [사회학] 청계천복원사업과환경-9
 10  [사회학] 청계천복원사업과환경-10
 11  [사회학] 청계천복원사업과환경-11
 12  [사회학] 청계천복원사업과환경-1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사회학] 청계천복원사업과환경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 청계천의 역사

◎ 청계천 복원의 기본구상

◎ 청계천 복원사업의 목적

◎ 청계천 복원 사업개요

◎ 해외 유사사례 조사

◎ 청계천 복원사업이 환경에 미친 긍정적 영향

◎ 생태환경의 회복과 시민의 삶의 질 향상

◎ 청계천의 생태학적 문제점

◎ 청계천의 시설적 인위적 문제점


본문내용
◎ 청계천의 역사
청계천이 역사의 전면에 나오게 된 것은 조선왕조부터이다. 조선왕조가 한양을 도읍으로 삼아서 한양을 관통하는 청계천의 중요성이 부각되었기 때문이다. 조선시대에는 청계천을 큰 고을의 중심부를 흐르는 자연하천에 홍수방지와 생활하수의 원활한 배수 등을 위한 인공하천을 뜻하는 ‘개천(開川)’ 으로 불렀다. 청계천에 점점 사람들이 모여들어 장시가 이루어지자 왕들도 청계천의 치수공사에 대해 관심을 가지지 않을 수 없었다. 조선 태종 때 대략적인 제방축조 및 개천 바닥 준설공사를 실시했으며 세종 때는 청계천에 쓰레기 투기를 금지하는 법을 만들기도 했다. 상황이 그다지 나아지지 않자 영조 때 대대적인 제방공사를 해서 범람을 막았다.
일제강점기 1936년 황폐화된 청계천을 고치기 위해 광교와 삼각동 사이 복개계획안을 마련했고, 5개년 계획으로 광화문우체국에서 삼각동 사이를 복개하고자 했다. 그러나 전쟁의 장기화 등으로 인해 광화문우체국에서 광교까지 복개하는데 그쳤다.
광복 후 무허가 판자촌이 형성되어 청계천이 오염되자 정부는 청계천 복개사업을 벌이기로 하고 1958년 5월부터 청계천 도심구간 전면 복개공사에 들어갔다. 광교~오간수교에 이르는 청계천 복개공사는 1961년 12월에 마무리되었다. 이후 동대문 외곽구간으로 복개공사를 확대했고 1978년에는 청계천 9가 마장철교까지 복개되었다. 이와 함께 1966년부터 무허가 판잣집이 철거되기 시작했고, 자동차 전용도로인 청계천고가도로가 1971년 8월 15일 완공 되었다.
하지만 이 복개로 인하여 여러 문제점들이 나타나 이를 보수하는 데 많은 비용이 소요되게 되자, 당시 이명박 서울 시장 후보에 의해 복원사업이 시작되었다. 여러 진통을 겪은 끝에 2003년 7월 1일 청계고가도로 철거작업을 시작으로 하여 2005년 10월 1일 준공되었고 지금의 청계천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 청계천 복원의 기본구상
청계천 복원사업의 궁극적 목표는 21세기 문화 환경도시 서울을 건설하는 것이다. 깨끗한 물이 흐르는 생태환경을 조성하고 노후된 구조물에 끊임없이 제기되어 온 안전문제를 근원적으로 해소하여 위해환경이 없는 안전도시 서울을 만드는 것이다. 복원의 기본구상은 역사, 문화, 자연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이것은 각각 전통, 현대, 미래라는 3개의 큰 시간축을 나타내고 있다. 이런 구상을 기본으로 청계천 전체를 세 부분으로 나누어 상류부에는 역사와 전통, 중류부에는 문화와 현대, 하류부는 자연과 미래 개념의 도입을 테마로 삼았다.



◎ 청계천 복원사업의 목적
복개될 당시의 청계천은 고도성장과 발전의 상징이었으며 도심 산업의 중심지였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면서 한때 화려했던 청계천의 모습은 사라지고 많은 차량에 의한 공해가 청계천을 환경오염의 근원지로 만들었다. 또한 이곳저곳을 땜질한 콘크리트 구조물은 도시의 미관을 해치고 시민의 안전을 위협했다.
21세기에 들어서 개발과 성장보다는 문화와 환경에 더 큰 가치를 두게 되어 청계천에도 새로운 모습이 요구되었으며, 현실적으로 시민의 안전과 도심의 발전, 환경보호를 위해서 청계천을 그냥 둘 수 없었다. 40년 전, 도시의 발전과 미관을 위해 청계천을 복개 한 것처럼 이제는 같은 목적으로 청계천을 복원하게 된 것이다.
청계천 복원사업의 목적은 크게 세 가지가 있으며 첫 번째로는 자연환경복원과 삶의 질 향상을 들 수 있다. 이명박 서울 시장이 청계천 공사가 끝난 후 직접 청계천에 발을 담그는 행사를 한 것에서 볼 수 있듯이 청계천 복원의 가장 핵심적인 사업은 청계천을 깨끗한 물이 흐르는 하천으로 복원하고 수중과 수변에 생물이 서식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드는 등의 생태공간을 조성하는 데 있었다. 서울시는 복원된 청계천 양측에 편도 2차로씩 도로를 확보하고 청계천 남북연결에 필요한 교량을 설치할 뿐만 아니라 하천 둔치에는 자전거도로와 산책로가 조성되어 청계천이 시민들이 즐겨 찾는 여가ㆍ휴가공간으로의 역할을 하게 될 것으로 밝혔다. 또한 청계천 사업을 생활권 내 녹지를 100만평으로 늘리고 한강 진입로를 확충하는
참고문헌
홍순민, 『우리 궁궐 이야기』, 청년사, 2002
연합뉴스 2006년 9월27일자
청계천 복원사업 백서, 2006, 서울특별시 홍보기획관
서울의 환경: 환경백서, 2005, 서울특별시
도심재생을 위한 청계천 복원사업의 환경․생태적 특성 변화, 2005, 김운수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청계천복원지원연구단장)
청계천은 미래로 흐른다, 이명박, 랜덤하우스중앙
연합뉴스 2005년 10월31일자
청계천의 생태성 평가 이학영 (한국자생어종연구협회 회장)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