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사] [생체계측 실험] 생체계측실험 보고서 lesson 1 EMG 1

 1  [학사] [생체계측 실험] 생체계측실험 보고서 lesson 1 EMG 1-1
 2  [학사] [생체계측 실험] 생체계측실험 보고서 lesson 1 EMG 1-2
 3  [학사] [생체계측 실험] 생체계측실험 보고서 lesson 1 EMG 1-3
 4  [학사] [생체계측 실험] 생체계측실험 보고서 lesson 1 EMG 1-4
 5  [학사] [생체계측 실험] 생체계측실험 보고서 lesson 1 EMG 1-5
 6  [학사] [생체계측 실험] 생체계측실험 보고서 lesson 1 EMG 1-6
 7  [학사] [생체계측 실험] 생체계측실험 보고서 lesson 1 EMG 1-7
 8  [학사] [생체계측 실험] 생체계측실험 보고서 lesson 1 EMG 1-8
 9  [학사] [생체계측 실험] 생체계측실험 보고서 lesson 1 EMG 1-9
 10  [학사] [생체계측 실험] 생체계측실험 보고서 lesson 1 EMG 1-10
 11  [학사] [생체계측 실험] 생체계측실험 보고서 lesson 1 EMG 1-11
 12  [학사] [생체계측 실험] 생체계측실험 보고서 lesson 1 EMG 1-1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 논문 > 공학계열
  • 2009.06.16
  • 12페이지 / hwp
  • 2,500원
  • 75원 (구매자료 3% 적립)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학사] [생체계측 실험] 생체계측실험 보고서 lesson 1 EMG 1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lesson1 EMG1 lesson2 EMG2
실험목적
실험이론
실험방법
실험결과
고찰
참고
본문내용
 실험 목적
Biopac 이라는 프로그램과 MP35를 사용하여 팔의 근육을 움직일 때 전기적인 신호를 팔 안쪽에 붙인 전극을 통해서 확인하고 이를 분석하여 힘의 세기에 따른 혹은 성별에 따른 근전도그래프를 분석하고 고찰해본다.

 실험 이론
이 실험의 기본 이론이 되는 ECG(근전도)의 측정을 위해서 생리학적인 부분을 알아야한다.
예를 들면 수축 신호가 신경을 타고 근육에 전달된다거나 그 전달 과정에서의 이해가 필요하다.

1. 해부학적 이해
: 인간 몸의 근육은 수축과 팽창을 하여 항상성을 유지하고 특수한 일(사람의 움직임이나 내장기관의 운동)을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인간의 근육은 세 종류로 나눌 수 있는데 Cardiac muscle(심근), Smooth muscle(평활근), Skeletal muscle(골격근) 이다.

1.1 Cardiac muscle(심근)
:심장에만 있는 근조직으로 이 근육이 수축할 때 피의 순환이 이루어져서 세포들에게 영양분을 공급하고 노폐물을 회수 할 수 있다.
경계판에 의해서 세포들이 연결 된다.세포는 상호 연결하는 분지의 그물망으로 배열되어 있다. 세포와 섬유는 밝고 어두운 줄이 교차하는 긴 실 모양을 하고 있다.

1.2 Smooth muscle(평활근)
: 기도 소화관 혈관과 같이 속이 빈 내부기관의 벽에 있다. 수의적으로 움직임을 조절할 수 없다. 이 근육은 수축과 이완을 통하여 내장을 연동 운동시켜 소화를 돕거나 규칙적인 호흡주기를 만들고 혈압을 조절한다.

1.3 Skeletal muscle(골격근)
: 뼈에 부착되어 있으며 수의적으로 통제된다. 이로 인해서 움직임 조절하여 수영을 한다든지 걸을 수 있게 된다.
....

 실험 고찰

근육에 주는 힘을 조금씩 올려가며 그에 따른 EMG신호의 변화를 실험했다. 많은 의문점과 실험에서의 오류들이 있었는데 대부분의 것은 실험결과와 함께 작성했지만 그것들을 정리해보고자 한다.

실험을 하면서 처음 부딪힌 문제는 MP35기기의 드라이브를 설치하지 않고 실험을 하려 했던 것이고(물론 이 문제는 금방 해결됐다.) 하지만 막상 실험을 하면서 연습 없이는 사람이 자신의 힘을 자유자재로 통제하는 것이 힘들다는 것을 알았다. 조금씩만 힘을 더 주면 된다는 것이었지만 예상외로 원하는 모양의 그래프를 얻는 것이 쉽지는 않았다. 또 남성과 여성의 측정치를 보면서 근육량이 많으면 신호의 수치가 더 높아진다는 것을 보았다. 하지만 그렇게 근육량이 많더라도 많은 실험으로 피로가 쌓이고 긴장을 하게 되면 원하는 만큼의 값을 얻을 수 없다는 것 또한 흥미로웠다.

이 번 실험을 통해서 운동신경과 근섬유로 이루어진 Motor unit의 활성 기전이나 EMG로 어떻게 나타나는지에 대한 실질적인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어서 흥미로웠다. 실제로 여성과 남성을 비교하고 왼손과 오른손을 비교하고 이들 데이터를 분석하면서 생리학과 생체계측 수업에서 배웠던 생리학적 기전이나 실제로 기계를 만져보는 공학적 측면을 모두 체험할수 있었다. 앞으로의 실험에서도 이러한 자세를 잃지 않아 좀더 심도있고 유익한 실험이 되었으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