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청] 단청의 종류, 단청의 목적, 단청의 양식과 단청의 계승 및 단청의 현대적 개발 방향 심층 분석

 1  [단청] 단청의 종류, 단청의 목적, 단청의 양식과 단청의 계승 및 단청의 현대적 개발 방향 심층 분석-1
 2  [단청] 단청의 종류, 단청의 목적, 단청의 양식과 단청의 계승 및 단청의 현대적 개발 방향 심층 분석-2
 3  [단청] 단청의 종류, 단청의 목적, 단청의 양식과 단청의 계승 및 단청의 현대적 개발 방향 심층 분석-3
 4  [단청] 단청의 종류, 단청의 목적, 단청의 양식과 단청의 계승 및 단청의 현대적 개발 방향 심층 분석-4
 5  [단청] 단청의 종류, 단청의 목적, 단청의 양식과 단청의 계승 및 단청의 현대적 개발 방향 심층 분석-5
 6  [단청] 단청의 종류, 단청의 목적, 단청의 양식과 단청의 계승 및 단청의 현대적 개발 방향 심층 분석-6
 7  [단청] 단청의 종류, 단청의 목적, 단청의 양식과 단청의 계승 및 단청의 현대적 개발 방향 심층 분석-7
 8  [단청] 단청의 종류, 단청의 목적, 단청의 양식과 단청의 계승 및 단청의 현대적 개발 방향 심층 분석-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단청] 단청의 종류, 단청의 목적, 단청의 양식과 단청의 계승 및 단청의 현대적 개발 방향 심층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단청의 종류
1. 가칠단청
2. 긋기단청
3. 모로단청
4. 금단청
5. 금모로단청
6. 고분단청
7. 칠보단청
8. 금은박단청
9. 금은니단청
10. 옻칠단청

Ⅲ. 단청의 목적

Ⅳ. 단청의 양식

Ⅴ. 단청의 계승

Ⅵ. 단청의 현대적 개발 방향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개요
우리의 의식구조는 선대 때부터의 생활습관이 체험을 통해 몸에 베어 온 것으로 이러한 것 가운데 어떤 공통적인 것이 형성되어 왔다. 색채 역시 이를 사용할 때에 보편적으로 생각하는 의식에 따라 판단하여 왔다. 과거의 생활 습속가운데 한국인 특유의 색채의식이 내재되고 있었던 것이다.
전통적 미의식은 어떤 민족이나 국가에 오랜 과거로부터 전해 내려오는 미 개념이며 그 구성원의 집단 경험이 여과된 것으로, 건축, 복식, 의식이나 축제에 쓰이는 기구, 그 밖의 일상생활의 도구들 가운데 자주 나타나는 지배적인 형태나 색이다. 또한 지배적 특색이 아니더라도 다른 민족이나 다른 지역에서 잘 나타나지 않고 그 지역·그 민족에게만 나타나는 독특한 미감이다. 이에 근거하여 먼저 한국미술품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한국적 미감과 오방색의 미감을 살펴보고, 그 근간이 되고 있는 사상적 배경을 고찰해보고자 한다.
전반적으로 한국미술의 미의식이나 한국미의 특색으로 무작위의 미, 무기교의 미, 자연주의, 한의 초극, 적조의 미적조미, 비정제성, 해학, 자유분방함, 소박, 해화미, 담백의 미, 비움의 미 등을 들고 있다. 한국미술은 대체로 예술에 있어서의 절대에의 숭상과 자신의 이미지 실현이라고 하는 이상보다는 생활 속에서 자연스레 탄생시킨 예술이라는 데에서 연유한다고 하겠다. 서양에서는 일상생활에서의 미와 예술적 미를 구분하여 사용한데 반해, 우리나라의 예술은 그 경계가 애매하거나 따로 구별하지 않았다는데서 한국미의 특질을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고유섭은 무기교의 기교에 대해서 설명하기를 한국미술은 상품화된 미술이 아니므로 정치한 맛, 정돈된 맛에서는 항상 부족하나 질박하고 둔후한 맛과 순진한 맛에서 우수하다고 했다.
이러한 무기교의 기교에 의해 표출되는 미의 특성에 대해서 최순우는 의견을 같이하며, 순리의 아름다움, 적조, 소박, 단순한 아름다움, 무심한 아름다움, 고요한 익살의 아름다움, 담담한 색감의 해화미 등으로 정리했다.

참고문헌
◈ 김정신, 단청의 전통색, 단국대학교 건축학과 교수님 논문
◈ 권윤숙, 우리나라 단청의 문양과 색채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2
◈ 남철균, 문양의 의미, 태학원, 2005
◈ 임영주, 한국건축의 위계성에 따른 단청의 특성, 문화재관리국, 1988
◈ 장기인, 단청의 문양, 공간 1월호, 공간사, 1976
◈ 장문호, 동양 미술사, 박영사, 1984
◈ 허균/글, 유남해/사진, 빛깔 있는 책들, 전통 문양, 대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