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미니즘과 미디어 소비 -TV, 영화 속 여성성과 여성 수용자의 미디어 소비에 관하여

 1  페미니즘과 미디어 소비 -TV, 영화 속 여성성과 여성 수용자의 미디어 소비에 관하여-1
 2  페미니즘과 미디어 소비 -TV, 영화 속 여성성과 여성 수용자의 미디어 소비에 관하여-2
 3  페미니즘과 미디어 소비 -TV, 영화 속 여성성과 여성 수용자의 미디어 소비에 관하여-3
 4  페미니즘과 미디어 소비 -TV, 영화 속 여성성과 여성 수용자의 미디어 소비에 관하여-4
 5  페미니즘과 미디어 소비 -TV, 영화 속 여성성과 여성 수용자의 미디어 소비에 관하여-5
 6  페미니즘과 미디어 소비 -TV, 영화 속 여성성과 여성 수용자의 미디어 소비에 관하여-6
 7  페미니즘과 미디어 소비 -TV, 영화 속 여성성과 여성 수용자의 미디어 소비에 관하여-7
 8  페미니즘과 미디어 소비 -TV, 영화 속 여성성과 여성 수용자의 미디어 소비에 관하여-8
 9  페미니즘과 미디어 소비 -TV, 영화 속 여성성과 여성 수용자의 미디어 소비에 관하여-9
 10  페미니즘과 미디어 소비 -TV, 영화 속 여성성과 여성 수용자의 미디어 소비에 관하여-10
 11  페미니즘과 미디어 소비 -TV, 영화 속 여성성과 여성 수용자의 미디어 소비에 관하여-11
 12  페미니즘과 미디어 소비 -TV, 영화 속 여성성과 여성 수용자의 미디어 소비에 관하여-12
 13  페미니즘과 미디어 소비 -TV, 영화 속 여성성과 여성 수용자의 미디어 소비에 관하여-13
 14  페미니즘과 미디어 소비 -TV, 영화 속 여성성과 여성 수용자의 미디어 소비에 관하여-1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페미니즘과 미디어 소비 -TV, 영화 속 여성성과 여성 수용자의 미디어 소비에 관하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들어가기 - 크리스틴 제라프티의 논문을 기반 살펴보는 여성과 미디어 소비 -
Ⅰ. 텍스트와 수용자간의 관계 연구 - 텔레비전과 영화 사이의 차이
Ⅱ. 어머니라는 인물 - 스텔라 댈러스와 영국 솝 오페라를 중심으로
ⅰ) 영화 속 어머니의 이미지
(a) 스텔라 댈러스의 어머니
(b) 린다 윌리엄스 vs 카플란, 공통점과 차이점
ⅱ) 텔레비전 속 어머니 - 영국의 솝 오페라를 중심으로
(a) 타니아 모들레스키 vs 투빈젠 솝 오페라 프로젝트팀
(b) 솝 오페라 연구, 제기되는 이슈들
Ⅲ. 재현
ⅰ) 영화 속에서 재현되는 여성상
ⅱ) 텔레비전 속에서 재현되는 여성상
ⅲ) 영화 속 여성 재현 vs 텔레비전 속 여성 재현
Ⅳ. 동일시
ⅰ) 영화 이론에서의 동일시
(a) 여성들의 의미가 부정되는 곳에서의 가능성
(b) 깨어지는 정신분석학적 입장의 논리
ⅱ) 텔레비전 이론에서의 동일시
a) 특정한 배역들과의 동일시
b) 시청 자체와의 동일시
Ⅴ. 여성성과 소비
ⅰ) ‘여성성의 주장’에서 여성성을 ‘즐거움의 근원’으로 요구하는 경향
(a) 배역에 의한 모델 이론 - 이미지가 여성들에게 무엇을 했는가?
(b) 여성 수용자 중시 - 여성들은 이미지들을 가지고 무엇을 할 수 있는가?
ⅱ) 수용자 중심적 접근
(a) 수용자의‘경험’을 토대로 한 여성성의 구성
(b) 여성 소비와 즐거움
ⅲ) 뚜렷하게 성별화된 입장과 여성 정체성
ⅳ) 새로운 연구 경향의 모색과 미래 저작이 가져야 할 요점들
Ⅵ. 결론 및 제언
ⅰ) 왜 소비하는가?
ⅱ) 젠더에 의한 정체성 형성만이 중요한 것인가?
ⅲ) 왜 여성의 변화를 위한 정치성을 확보해야 하는가?
참고문헌
본문내용
들어가기 - 크리스틴 제라프티의 논문을 기반 살펴보는 여성과 미디어 소비 -

‘미디어’ 속에서 그려지는 ‘여성성’은 어떠한 모습으로 재현되는가? 또, 그러한 재현은 실제 여성 수용자들에게 어떻게 받아들여지고, 선택되며, 소비되는가? 제라프티는 이 논문을 통하여, 영화와 텔레비전 픽션의 여성 소비자들에 관한 연구를 아우름으로써, 그러한 질문에 대한 하나의 맥락을 잡아가고자 하였다.

논문에서는 먼저, 영화 이론과 텔레비전 연구의 여성 소비자들에 관한 연구의 다양한 궤적을 살펴보고, 이를 ‘재현’, ‘정체성’ 및 ‘동일시’의 개념으로 접근해 본다. 이러한 작업을 통하여, 여성의 허구적 미디어 소비에 대한 일련의 경향을 탐구하고, 여성들을 좀 더 나은 곳에 위치시기 위한 올바른 연구 방향에 대한 제언으로 마무리 짓고 있다.

Ⅰ. 텍스트와 수용자간의 관계 연구 - 텔레비전과 영화 사이의 차이

논의의 전개 흐름상의 큰 틀은, 미디어와 여성 소비자에 관한 두 가지 연구 경향을 대비시킴으로써 유지되고 있다. 하나는 텔레비전과 시청자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이며, 또 하나는 영화와 관객 사이에 관한 연구이다. 두 경향의 가장 쉽게 드러나는 차이점은, 여성 수용자를 바라보는 관점의 차이, 즉 ‘관객 vs 시청자’간의 차이점이다.
숀 무어지는 영화와 텔레비전 수용자들을 비교하면서, ‘영화 관객의 공적인 배경들에 관한 질적인 경험적 연구’가 부족하다고 지적하면서, 영화 연구는 텍스트적인 기호학과 정신분석학적 관점들의 영향에 계속적으로 놓여있다 고 주장한다. 재키 스테이시 또한, 영화 연구의 여성 관객들을 ‘수동적이고, 무의식적이며, 비관적인 것’으로 보면서, 텔레비전 문화 연구의 전통에서 표현되는 ‘활동적인, 의식적인’ 그리고 ‘낙권적인’ 시청자들과 대조되는 것으로 특성화하는 모델을 제기한 바 있다.

그렇다면, 같은 여성 수용자를 대상으로 진행해 온 연구에서, 왜 이러한 차이점이 발생하는 것인가? 제라프티는 먼저 영화와 텔레비전에서 ‘어머니’가 재현되는 과정과 수용자의 동일시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이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Ⅱ. 어머니라는 인물 - 스텔라 댈러스와 영국 솝 오페라를 중심으로

ⅰ) 영화 속 어머니의 이미지

로라 멀비에 의해 제기된 ‘여성 관객의 배제’는, ‘그렇다면 여성 관객은 어디에 위치하는가?’에 대한 논의를 전개하는 계기가 되었다. 그러한 연구 경향 중, 영화 속의 ‘어머니’라는 개념은, 구체적으로 여성들을 위해 만들어진 것으로 보이는 특정 ‘여성 장르’ 내러티브의 중심에 위치한다. 이러한 영화들은 ‘위피즈’라는 용어로 평가 절하되기도 했지만, 구체적으로 ‘여성 관객’을 다루기 위한 좋은 소재가 되어 주었다.


(a) 스텔라 댈러스의 어머니

논문 내에서 주로 다루어지고 있는 ‘어머니’논의는, 멜로영화 를 중심축으로 전개된다. 이 영화 내에서의 ‘어머니’는 이혼 후 홀로 딸 로렐을 양육하는 스텔라로 재현되는데, ‘부’를 갈망하는 딸의 상류 계층 진입을 위해 자신을 자발적으로 희생시킨다. 즉, 일부러 술주정뱅이 역할을 하여 딸을 전 남편에게 보냄으로써, 로렐이 상류계급으로의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앤 카플란에 따르면, 영화 내에서 그려지는 ‘어머니’는, 극단적인 모성에서만 자신의 즐거움을 추구하고, 아이에게 과도하게 동일시하는 부정적인 여성으로 비판받는다.
카플란은 특히 자기희생 후 스텔라가 창문 너머로 딸의 결혼식을 지켜보는 마지막 장면에 주목하는데, 이는 직접적으로 여성 관객들의 자기희생과 연결되는 부분이기 때문이다. 즉, 영화의 전체적인 내러티브상의 효과로 인해, 여성 관객들은 전통적인 어머니상을 거부하던 스텔라와의 동일시를 잃게 되며, 그녀를 하찮게 여기는 상류 계급의 시선에 점차적으로 동화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거리 두기’는 그녀에게서 멀어지는 카메라워크와 편집을 통해서 심화된다. 여성 관객은 스텔라에게 공감하기 보다는 영화 내에서의 ‘상류 계급’의 시선과 ‘카메라 시선’에 동화되어, 실상은 ‘어머니’인 스텔라와 자신의 입장에 ‘거리를 둠’으로써, ‘부재하는 어머니’로 희생된다는 것이다.

(b) 린다 윌리엄스 vs 카플란, 공통점과 차이점

참고문헌
, 백선기 역, 한울 아카데미, 2004
, 존 스토리, 박모 역, 현실문화연구, 1994
, 앤드류 밀너, 이승렬 역, 한뜻, 1996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